• 제목/요약/키워드: thematic maps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97초

농업용저수지 재개발을 위한 우선순위 선정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ecision System for Determining Priorities of Re-construction Reservoirs)

  • 이광야;김해도;정광근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26-31
    • /
    • 2005
  • In national prospective, the needs to develop water resources has been increased due to water shortage from diverse use of water resources in agricultural areas. Existing agricultural water demand, which has mainly been limited to the use of farming, are now expanding to diverse water uses such as supporting daily lives, diluting environmental pollution as well as industrial use for agricultural complex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in agricultural region. In this situation, for the sake of effective procurement of water resources and supply method, it is definitely requir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budget investment and project proceedings through integrated re-development which links projects to strengthen existing dams, reservoirs and hydraulic facilities. The major scopes of this research includes developing different types of system such as selecting potential sites to re-construct reservoirs including generating base maps and thematic maps, data collection regarding water demands and reservoir status; analyzing reservoir data; estimating developable capacity and index calculation; and forecasting inundated area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other products such as developing output generation system which can support wide use of data built and analyzed; database generation for better data management; data analysis including selection, extraction, indexation, and calculation of base items through standardization; data security system prohibiting exterior proliferation and malicious manufacturing of data.

  • PDF

Bamboo Distribution Map for Planning the Development of Tourism Potential in Boon Pring Andeman Area

  • Farah, Devy Atika;Dharmawan, Agus;Novianti, Vivi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3호
    • /
    • pp.144-152
    • /
    • 2021
  • Sanankerto is one of pilot projects for tourism villages in Indonesia due to its natural tourism potential with a 24-ha bamboo forest located in Boon Pring Andeman area. However, the distribution of existing bamboo has never been identified or mapped. Thus, the mana gement is facing difficulty in planning and developing tourism potential as well as spatial management in the area.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and analyze the structure of bamboo vegetation in the Boon Pring Tourism village an d to perform vegetation mapping. The type of research was descriptive exploratory with a cluster sampling technique (i.e., a two-stage cluster) covering an area of ± 10 ha. Bamboo veget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calculating diversity index (H'), evenness index (E), and Species Richness index (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local people and the manager to determine zonation division. Mapping of bamboo vegetation based on zoning was processed into thematic maps using ArcG is 10.3. Micro climatic factors were measured with three replications for each sub -cluster.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ly and quantitatively. Nine species of bamboo identified. Diversity, evenness, and species richness indices differed at each location. Activities of local communities, tourists, and manager determined the presence, number, and distribution of bamboo species. These bamboo distribution maps in three zoning (utilization, buffer, and core) can be used by manager for planning and developing natural tourism potential.

지질도 데이터 모델 (Geologic Map Data Model)

  • 연영광;한종규;이홍진;지광훈;류근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42권3호
    • /
    • pp.273-282
    • /
    • 2009
  • 지리정보분야에서는 수치화된 도면자료에서 고 부가가치 정보로 활용되기 위해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파일기반의 주제도에서 데이터베이스로의 변환은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활용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데이터를 통합하고 다양한 정보검색을 용이하게 한다. 지질도는 지질현상에 대한 조사자의 해석을 도식적으로 표현한 결과이기 때문에, 정량적으로 제작되는 다른 주제도와 차별화 된다. 이러한 특징은 지질학적인 다양한 의미에 대해 해석을 필요로 하는 지질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쉽지 않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미국 호주 등에서는 통합적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데이터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나, 지질현상의 표현이 다르기 때문에 국내환경에 적용 하기가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 실정에 적합한 지질도 데이터 모델링을 위해 1:50,000 축척의 지질도와 보다 대축척인 1:5,000 광산지질도 요소를 분석하여 데이터 모델을 제시한다. 제시한 데이터 모델은 ArcGIS Geodatabase에 대한 논리모델로, 설계한 모델을 이용하여 1:50,000 축척 지질도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구현된 데이터 모델은 국내 지질도의 통합적 활용 및 효율적 관리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현황분석과 시설물 입지분석의 과학화를 위한 센서스와 GIS의 연계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f Collaboration between GIS and Census Data for Urban Analysis and Location Analysis)

  • 구자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31-44
    • /
    • 2000
  •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첫째, 수치지도 개발이 완결되고, 센서스트랙제도가 채택되고, 각종 연관자료들이 전산화되면 GIS의 갖가지 표현, 연산, 중첩기능을 통하여 지형, 인구, 주택을 비롯한 각종 경제, 사회자료들이 센서스트랙 내지는 블락그룹 등 소규모 지역 단위의 주제도 혹은 주소 단위의 점묘도로 알아보기 쉽게 화면에 나타내어져 각종 도시현황분석에 신뢰성 있게 쓰일 수 있다. 둘째, 시설물의 입지결정은 사회가 다원화 될수록 시간이 오래 걸리고 구설수를 피할 수 없는데, GIS는 수치지도를 포함한 도시의 각종 자료들을 그대로, 변형하여, 모델링시키며, 또한 다양한 의사결정방법들과 결합하여 화면상에 표현하며 신속하고도 과학적인 의사결정을 이루는데 큰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GIS와 센서스를 비롯한 각종 도시정보들이 이와같이 결합되고 활용된다면 신속하고도 신뢰성 있는 도시현황분석과 시설물입지분석을 가능케하고, 궁극적으로 보다 나은 행정서비스를 이룰 수 있다고 본다.

  • PDF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축척 1/10,000 수치지도 제작 (1/10,000 Scale Digital Mapping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 이병환;김정희;박경환;정일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23
    • /
    • 2000
  • 본 논문은 항공사진측량이 통제되고 있는 수도권 북부 지역 중 파주시 교하지역을 대상으로 러시아의 2m 급 고해상도 인공위성영상인 Alternative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1:10,000 축척의 수치지도제작을 위한 방법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주요 방법론으로는 MK-4(공간해상도 8m) 스테레오 위성영상으로 수치표고모델(DEM)을 추출하여 정사보정을 하였으며, GPS 측량을 통해 지상기준점(GCP)을 얻어 정밀한 기하보정을 하였다. 한편, 현장 지리조사로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각 레이어별 스크린 디지타이징을 하였으며 그 정확도는 평면위치에서 평균제곱근(RMS)오차가 ${\pm}0.4m$, 수직에서의 RMS 오차는 ${\pm}15m$였다. 따라서 평면위치 오차에 대해서는 NGIS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만족시키는 한편, 지리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추가함으로서 도시계획을 위한 현황도 등으로 활용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격자크기가 밀도구분적 인구추정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id Cell Size on the Accuracy of Dasymetric Population Estimation)

  • 전병운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27-143
    • /
    • 2016
  • 본 연구는 상이한 셀 크기에 따라 밀도구분적 인구추정의 정확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탐색하였다. 미국 조지아주 풀턴 카운티를 사례로 한 밀도구분적 인구 지도가 지능적인 밀도구분적 지도제작기법, 인구자료, 원본 및 모의된 토지이용 및 피복 자료를 이용하여 30m에서 420m의 해상도까지 매 30m 간격으로 생성되었다. 밀도구분적 인구 지도의 정확성은 RMSE 및 수정 RMSE 통계치를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프랙털 차원 값은 TPSA 방법을 사용하면서 30m에서 420m의 해상도까지 생성된 밀도구분적 인구 지도에 대해 각각 계산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속성의 정확성 측면에서 인구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서 210m 이하의 격자 셀 크기가 적절하였나, 사례지역에서 밀도구분적 인구추정의 허용가능한 공간적 정확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30m의 격자 셀 크기가 적절하였다. 또한, 프랙털 분석은 120m의 격자 셀 크기가 사례지역에서 밀도구분적 인구추정을 위한 최적의 해상도 이다는 것을 보여준다.

개선된 DRASTIC 기법과 퍼지기법을 이용한 밀양지역 지하수오염 취약성 평가 (Assessment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in Miryang City, Korea using Advanced DRASTIC and fuzzy Techniques on the GIS Platform)

  • 정상용;후삼 엘딘 엘자인;벤카트라마난 세나파티;박계헌;권해우;유인걸;오해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3권4호
    • /
    • pp.26-4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Original DRASTIC Model (ODM) for the assessment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on the GIS platform. Miryang City of urban and rural features was selected for the study area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Advanced DRASTIC Model (ADM) was developed adding two more DRASTIC factors of lineament density and landuse to ODM. The fuzzy logic was also applied to ODM and ADM to improve their ability in evaluating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lthough the vulnerability map of ADM was a little simpler than that of ODM, it increased the area of the low vulnerability sector. The groundwater vulnerability maps of ODM and ADM using DRASTIC Indices represented the more detailed descriptions than those from the overlap of thematic maps, and their qualities were improved by the application of fuzzy technique. The vulnerability maps of ODM, ADM and FDM was evaluated by NO3-N concentrations in the study area. It was proved that ADM including lineament density and landuse factors produced a more reliable groundwater vulnerability map, and fuzzy ADM (FDM) made the best detailed groundwater vulnerability map with the significant statistical results.

GIS 기반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시스템 구축 (The Establishment of the GIS based Resource Map System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 윤창열;김광득;정재혁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9-152
    • /
    • 2006
  • New and renewable energy information becomes one of the greatest issues because of serious environment problems and limited fossil resources However, There are few system to manage and utilize new and renewable energy information e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 the GIS based Resource Map System to save and analyze new and renewable energy Informal ion about solar energy, wind power, small hydro, biomass, and geothermal. This Resource Map System is composed of the management system, practical system, field system and Web-service system. This System can Provide var ious spatial analysis tools such as data searching, treating thematic maps, evaluating location requirements for energy facilities.

  • PDF

하천주제도의 효율적 구축을 위한 데이터 모델 설계에 관한 연구 (Building a Data Model for Efficient Generation of River Thematic Maps)

  • 김계현;김한국;양수명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3년도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3-628
    • /
    • 2003
  • 현재 정부는 다양한 행정서비스를 온라인화하는 전자정부 구현을 위해 여러 분야에서 관련 사업들을 진행 중에 있다. 수자원 분야에서는 하천관련 업무의 전산화 사업의 일환으로 하천지도전산화 사업을 진행 중에 있으며, 그 결과로 구축된 각종 DB를 종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의 하천주제도 구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 구축 DB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보다 생산성 있는 하천주제도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하천공간정보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였다. 본 모델은 하천정보의 통합처리를 위해 미국의 USGS에서 사용하고 있는 ArcGIS Hydro Data Model을 기반으로 하였다. 이렇게 설계된 하천공간정보 데이터 모델은 다양한 하천주제도의 효율적 구축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GIS 기반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시스템 구축 (The Establishment of the GIS based Resource Map System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 윤창열;김광득;정재혁
    • 신재생에너지
    • /
    • 제2권4호
    • /
    • pp.27-32
    • /
    • 2006
  • New and renewable energy information becomes one of the greatest issues because of serious environment problems and limited fossil resources. However, There are few system to manage and utilize new and renewable energy information efficiently.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 the GIS based Resource Map System to save and analyze new and renewable energy information about solar energy, wind power, small hydro, biomass, and geothermal. This Resource Map System is composed of the management system, practical system, field system, and Web-service system. This System can provide various spatial analysis tools such as data searching, creating thematic maps, evaluating location requirements for energy facil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