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feeling of grasping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9초

샤프펜슬의 사용편의성과 그 구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Usability and Structure of the Mechanical Pencil)

  • 윤형건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63-72
    • /
    • 2002
  • 우리 일상생활에서 밀접하게 접하고 사용하고 있는 샤프펜슬에 사용편의성(쓰기 편한 정도)을 1.사용 전 보았을 때 예전 경험치로 직감적으로 느끼는 감, 2.직접 잡았을 때 느낌(착용감), 3.직접 종이 위에 쓰면서 느끼는 느낌 (필기감), 이 세 가지 주요평가항목으로 설정한 후 36개의 대표샘플을 가지고 실증적 실험방법으로 서로의 관계 및 직접 영향을 미치는 항목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편의성과 사용 전 보았을 때 예전 경험치로 직감적으로 느끼는 감의 항목에서는 서로는 높은 상관관계는 없었다. 이는 경험치에서 얻은 기대치가 실제로 사용에서는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한다. 사용편의성과 착용감, 필기감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있었다. 이는 사용편의성에 있어 착용감과 필기감은 서로 밀접한 관계이기 때문이라고 판단한다. 사용편의성이 좋은 샤프펜슬은 구조적으로 전체길이가 길며(169mm), 굵기는 보통(8.5mm), 무게는 약간 무거운(21.4g), 중심은 야간 아래쪽인(60mm)에 위치하며, 단면형상은 정원이 아닌 변형형상이며, 손가락 접지부의 표면처리는 가로 홈이 나있는 것이고, 몸통은 광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구강 내와 마네킹에서 기구 조작시 근골격계 통증과 불편감 (The Musculoskeletal Pain and Inconvenient Feeling During Hand Instruments with Mannequin and Intra-oral Cavity in Dental Hygiene Students)

  • 유자혜;노효련;이민영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47-254
    • /
    • 200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ome factors that can cause incidence of the muscle and skeletal system trouble, by which Dental Hygiene Students examine the pain and the inconvenient feeling according to kinds in manual implements and the usability in the level of manipulating and maintaining the manual implement, in the actual training of the intra oral cavity along with mannequin given the scaling practice. Methods : Targeting 18 female juniors for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ho had directly practiced oral prophylaxis for 2 years,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arried out right after the mutual practice in the intra oral cavity along with mannequin. Results : It was indicated that there is no big difficulty both in intra oral cavity and mannequin in terms of manipulating implement with a method of maintaining the rightly hand fixing or of grasping the trans formative pencil and of controlling force given manipulating the implement. How to grasp a trans formative pencil was indicated to be more difficult in the intra-oral manipulation(p<.05). Pain and inconvenient-feeling level, which occur in muscle and skeletal system during practicing the scaling in mannequin, were indicated to be in order of shoulder, wrist, neck, waist, elbow, and headache. Conclusion :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the pain and the inconvenient feeling in muscle and skeletal system according to mannequin and intra-oral environment given manipulating tile manual implement. However, there was difference in manipulating the implement with a method of grasping transformative pencil. The pain and inconvenient feeling in muscle and skeletal system were the highest both in shoulder and wrist.

  • PDF

높은 파지력을 가지며 촉감을 전달할 수 있는 유연한 글러브 (A Tactilely Transparent Soft Glove with High Grasping Force)

  • 정용준;김종인;전형석;이덕원;김용재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011-1020
    • /
    • 2016
  • This paper introduces a tactilely transparent soft glove composed of soft materials and flexible structures. Although it is hard to achieve a high grasping force with conventional grip-assist gloves made from soft material, the proposed glove can exert a high force by using a novel structure. This structure has a triangular shape composed of flexible structural frames, soft fabric, and belts. It can produce grip-assist moment compliantly without harmful force or misalignment with the human fingers. The whole finger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objects is made of thin and soft fabric in order to facilitate sensation transference. The proposed tactilely transparent soft glove enables the user to manipulate various objects owing to both the softness and high grasping force; it helps lifting heavy weight objects as well as permitting delicate tactile feeling on the palm and fingers. The proposed concept was applied to a two-finger grip-assist device for validation.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regarding grasping objects, fingertip force, and grasping force are presented.

중학생의 성격 유형이 사고 경험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Accident Experience accord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Personality Type)

  • 김수진;이명선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5-75
    • /
    • 2012
  • Objectives: This study aims at graspi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 safety education experience, personality type and accident experience and analyzing if the personality type influences on the accident experience. Methods: For 330 third-year students at one middle school located at Gyeonggi-Do,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on 16th, October, 2010. Excepting data of 19 students poor in contents, 311 students' data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like followings. 1. As for relation betwee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 and accident experience, i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ex and how to go to school.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arents' job,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residential type, school record and allowance. 2. As for relation between safety education experience and accident experience, safety education doing school than family lowered accident incidence outstandingly. When safety education frequency increased one time, possibility to experience accident decreased to 30%. 3. As for relation between 4 personality types of MBTI and accident experience, Thinking(T) experienced accident more than Feeling(F). Moreover, it showed difference in accident type and injuried degree. This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juried degree by sex only in Thinking(T) and Feeling(F), female student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Health care providers should develop school safety programs by characteristics of personality.

  • PDF

인간의 감성적 행복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Happiness of Human)

  • 정철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11-220
    • /
    • 2019
  • 인간의 감성은 인간관계 속에서 발현되는 선험적으로 주체하지 못하는 감정의 오류를 현명하게 절제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감정에 명령하기 때문에 나와 타인의 행복(幸福)에 기여하게 된다. Abraham은 하나밖에 없는 아들, 그것도 백 세가다되어 얻은 아들을 제물로 바치라는 신의 명령에 고민에 빠졌을 것이다. 이때 그의 이성은 과연 합리적이었을까? 이성적 사유로는 자신의 아들을 바치는 행위가 적합한 행위라고 사유할 수 있겠지만, 인간의 마음으로는 그것이 과연 가능할 것인가? 또한 Aristoteles는 인간을 위한 선(善)에 있어서 인간적인 덕에 대해 정신의 덕이라고 하였다. 행복(幸福)도 정신의 활동이기 때문에 우리는 정신에 대해 어느 정도 알아야 한다고 말하였다. 이 ψυχή(psyche, 영혼) 정신(精神)은 비이성적인 요소로 눈에 보이지 않지만 이성적 원리에 개입하는 어떤 작용이다. 또한 C. G. Jung은 모든 인간은 눈에 드러나지는 않지만 역동적인 네 가지 심리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마음이 움직이는 것은 이러한 4가지 기능적 차원에 의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감각(S, Sensing), 직관(N, Intuition), 사고(T, Thinking), 감정(F, Feeling)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David Hume은 도덕은 이성에서 유래될 수 없다고 단정하면서 공감의 원리를 역설하였으며, Max Ferdinand Scheler는 어떤 사람의 시각적 특징을 파악하기 전에 이미 그 사람에 대한 전체적인 느낌을 마음속에 포착해 대응 태세를 취하게 되며, 이 느낌 속에 주어지는 것이 바로 가치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가치가 부여됨으로써 인식 대상으로 고양되고, 가치를 파악하는 감정의 작용은 언제나 이성보다 선행하여 일어난다고 하였다. Emmanuel Levinas는 지극히 감정적인 사랑의 감정은 이성에 앞서며, 감성이 인간의 이성적 사유와 합리성에 앞선다는 것은 감정의 통제 불능에서 우리는 통제가능성과 절제의 요구로서 이성적 사유와 합리적이고 현명한 실천이성을 요구하게 되기 때문이라고 언급하였다. 인간의 감성적인 교육의 일환으로 도덕윤리과 교육과정에서는 Bloom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영역의 통합적인 사고를 갖춘 존재로서 도덕적 실천행위를 하는 존재를 이상형으로 지향하고 있다. 어떻게 하면 덕스러운 행위에 대한 감정의 지향성을 따르는 행위를 할 수 있으며, 또 어떻게 하면 부덕한 행위에 대한 감정의 지양성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의 방향성은 바로 '덕감(德感) 강화'의 원리와 '부덕감(不德感)제거'의 원리로 우리는 인간의 감성(感性)과 행복감(幸福感) 함양에 대한 가능성과 방향성을 설계할 수 있다.

주거공간의 시각적 차별화를 위한 마감재 혼합적 표현방법 연구 (A Study on Mixing Expression Methods of Finish Materials for Visual Differentiation in Housing Space)

  • 서지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47-15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for plan methods through analyzing preferences on expression methods of materials for visual differentiation in hosing spa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we could know that finish material is the important element to make differential design in housing space. It is a effective method to use the color and material of finish materials. Second, we could find they preferred woods in materials and Y color, N9.5, bright and light in colors through grasping preference about types in material elements. The preferred texture is soft and the preferred patterns are solid and geometry. Third, it is a good method to mix materials which give us different season feeling, and to mix colors which are different tones to lead the differential design by materials in housing space. In case texture and patterns, what we mix similar things is the effective method. Fourth, preference of the expression method is manifes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elected elements. so when we plan the housing, we have to consider that. lastly, I think this study will be a basic data on a study to differentiate the design of the residential space.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계획을 위한 거주자 의식조사연구 (A Study on Inhabitants' Mental Survey for Apartment House's Underground Parking Lots)

  • 정영석;조성우;오세규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3-117
    • /
    • 2009
  • By statistics in August, 2007, currently Korean motors registration number broke through 16 million units. The demand of motors is being increased as time goes on and the demand of parking lot within apartment complex is increased together.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expand underground parking lots. Underground parking lots have relatively weaker environment than the ground and physical/psychological problems as distance far away from the main building, fear for vehicle damage and crimes, impure air, darkness and closed feeling take place. Underground parking lots also occupy a lot of area ratio within apartment complex and have a lot of effects on other facilities. Therefore, underground parking lots are neglected for all that underground parking lots have deep relations with satisfaction for public space within apartment complex.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ake reference materials when underground parking lots are planned by grasping satisfaction of underground parking lots through inhabitants'mental survey and surveying preferential location and requirements of parking lots.

  • PDF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구취실태와 스트레스 및 강박증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and Stress & Compulsion in Some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 지민경;이미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221-1228
    • /
    • 2012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인자각구취의 관련요인과 스트레스 및 강박증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구취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전체 대상자의 스트레스 평균은 1.76점, 강박증의 평균은 1.62점, 본인자각구취도의 평균은 1.84점으로 나타났다. 혀에 흰 막이 가끔 끼는 군에서 스트레스 1.79점(p=0.003), 강박증 1.64점(p=0.042), 본인자각구취 1.89점(p=0.001), 본인의 구강 내 증상에서는 혀가 하얗고, 입안이 끈적인다고 느끼는 군에서 스트레스 2.02점(p=0.000), 본인자각구취 2.00점(p=0.000)으로 나타났다. 구강건조감에서는 자주 느끼는 군이 스트레스 2.23점(p=0.000), 강박증 1.95점(p=0.000), 본인자각구취 1.89점으로 나타났다(p=0.046). 본인자각구취는 강박증과 r=0.133으로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스트레스와 강박증은 r=0.425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에 구취의 다양한 원인을 파악함과 더불어 정서적 요인에 대해 관심을 가지며, 미래의 환자 구취 관리를 담당할 치과위생사로서 꾸준한 교육을 통한 인식의 고취가 필요하다.

여성의 범죄불안심리를 고려한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계획 연구 - 수원A지구 공동주택 현상설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s of Apartments Underground Parking lots to Prevent Women's Criminal fear Psychology - Focused on apartment design competitions of Suwon A region -)

  • 리금희;김남효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04-114
    • /
    • 2009
  • The purpose of study was understanding necessity of environment design for underground parking lot in residential design plan and grasping design plans of 'Activity Support' that considerate women, exclude women's unsecured feeling at underground parking lot. The inquiry analyzed 6 design plan in design competition that considerate women according to precede studies, a theory of CPTED, a design guide for wayfinding, and survey. A ramp, circulation, entrance, lighting, ventilation, and space design plan are proceed on this study The result are as below. First, a rectilinear figure ramp suits entrance plan on the circulation, but if it is not possible, cross-using of rectilinear and curvilinear figure ramp plan is desirable. Second, on the circulation plan, vehicles circulation plan and equality parking distribution plan got accomplished generally, and help senses of direction because it is planed network systemize. On a large scale underground parking lot, simplify parking circulation to convenience entrance and exit for weak in sense of direction. Third, the shape and material that‘s environmentally conscious will be in use to the entrance plan. As the first stage to the underground, artwork that women prefer can modulate the rejection of underground space. Forth, natural lighting system and ventilation can make the environment-friendly space, decrease the women’s rejection to the underground, it can also keep a natural watch on the space. Fifth, on the space design plan, it can use bright and comfortable design of wall and ground to decrease the women‘s rejection, also it is useful to the sense of direction. LED indirect lighting plan that 58.7% of women prefers on survey reflects women’s state of desire that bright and atmosphere. In addition, proper use of plans that subsidiary facilities, rest area with Sunken, and nature-friendly material can minimize differences of underground and ground parking lot.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및 교수몰입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teaching flow on Happiness)

  • 박승연;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299-30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교수몰입,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U시 보육교사 1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 요인은 행복감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사의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공감 요인은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수몰입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수몰입 요인은 행복감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 요인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아지며, 교수몰입 요인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교수몰입, 행복감과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보육교사들의 행복감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