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Uncanny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초

영화 <아바타>가 보여주는 극사실적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특이성 연구 (A study on the uniqueness of 's hyper-realistic animation style)

  • 이윤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0호
    • /
    • pp.47-61
    • /
    • 2010
  • 언캐니 밸리는 로봇학자 모리 마사히로에 의해 도입된 가설로, 사람들은 대상이 인간과 유사성이 있을수록 호감을 느끼지만, 인간과의 유사성이 매우 높지만 똑같지는 않은 지점에서 급격한 기괴함을 경험한다는 주장이다. 그 과학적 타당성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지금까지 관객들은 극사실적 스타일을 사용한 애니메이션에 대해 어느 정도 이상의 거부감을 표현해온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은 최근 언캐니 밸리를 넘어 대대적인 성공을 거둔 영화 <아바타>의 성공요인을 분석하고, 무엇이 이 차이를 가지고 왔는지를 연구하였다. 이 영화들의 가장 큰 차이는 그들이 재현하는 것의 지시체라고 볼 수 있다. 기존의 극사실적 애니메이션들은 현실적 장면을 똑같이 재현하려고 노력하였는데, 그 결과 완전하게 성공적인 장면은 평범하게 느껴지는 반면 덜 성공적인 장면에서 나타나는 오류는 극도로 눈에 거슬린다는 단점을 낳았다. 극사실적 캐릭터들과 현실적 배우 사이에 느껴지는 미세한 차이는 관객의 몰입을 방해하기 때문에, 매우 설득력 있는 내러티브로 그것이 보상되지 않는 한 흥행에서 실패해왔던 것이다. 반면 <아바타>는 똑같이 극사실적 시각 스타일을 추구하면서도, 그것이 지시하는 대상은 관객들이 잘 알고 있는, 그래서 비교가 가능한 지시체가 아니기 때문에 언캐니 밸리로부터 자유롭다.

  • PDF

마하스웨타 데비와 안젤라 카터의'아시아'읽기 -'전지구적 비교문학'의 가능성을 위하여 (Mahasweta Devi's and Angela Carter's readings of Asia: Toward the Possibility of 'Planetary Comparative Literature')

  • 유제분
    • 영어영문학
    • /
    • 제55권4호
    • /
    • pp.517-538
    • /
    • 2009
  •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finding intersections of commonness and differences between Mahasweta Devi's short stories, "The Hunt" and "Douloti the Bountiful" and Angela Carter's "Flesh and the Mirror" and "Master" in Fireworks. At appearance, Carter as a writer of Great Britains and Devi as a writer of India in postcolonial period do not seem to share any commonness. This study, however, tried to find "common differences," to quote Chandra Mohanty's terminology, as a basis of solidarity possible between these two different feminist writers. Another concept appropriated in this process of comparing Carter and Devi is Gayatri Spivak's 'planetary comparative literature,' which contends the necessity of critical regional studies and the study of Asian Literature in the study of English literature. Devi and Carter, despite their historical, geopolitical and racial differences, share commonness in depicting Asian or colonized women not only as the oppressed others but also as the subjects who show potential for resistance and independence. Carter portrays Japanese women as the colonized and oppressed others of Japanese society, even though Japan did not have any colonial history. Devi finds in the postcolonial Indian women both the oppressed in the interstice of colonial/postcolonial/patriarchal Indian history and the potential for resistance. Despite some limitation in her understanding of Asia, Carter shows her insight to accept Asia as a true origin of her self-knowledge and performativity of her woman's role. Despite their differences, these two writers use Freud's 'unheimlich' from the feminist point of view, in general. Devi's depiction of the heroine's dead body at the end of the story implicates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through women's 'uncanny' bodies. Carter converts Freudian and negative connotation of woman's body into positive and comfortable 'home' as a starting point of her self knowledge.

3D 애니메이션의 추상적 표현에 관한 분석 및 제안 (Analysis and Proposal of Abstractive Expression of 3D Animation)

  • 박성대;정예지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7호
    • /
    • pp.1-24
    • /
    • 2014
  • 현재 3D 애니메이션의 영상 표현은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실사 영화와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그 경계를 줄여나가고 있다. 이러한 영상 표현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관객의 호응은 실사 영화 같은 애니메이션보다 추상적인 표현이 적절하게 이루어진 애니메이션에서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모리 마사히로 박사의 '언캐니 밸리'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애니메이션만이 가지는 추상적 미학이 표현될 때 실사적 표현의 애니메이션보다 더 큰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는 전적으로 캐릭터에 한해서만 적용되고, 실사적 표현이 가능한 기술은 3D 애니메이션의 배경에 한해서만 그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분명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만이 표현할 수 있는 무한한 세계가 있으며 그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은 더 이상 기술만의 문제로 삼을 수 없다. 본 논문은 3D 애니메이션의 추상적 표현을 캐릭터와 배경으로 나누어 분석해보고, 현재 발전한 애니메이션의 영상 표현 기술이 3D 애니메이션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는 현재 발전되어 있는 3D 애니메이션의 기술이 향후 애니메이션에 보다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존 헤이덕 건축에서의 시선과 응시 (The Eye and the Gaze in John Hejduk's Architecture)

  • 이종건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3호
    • /
    • pp.7-21
    • /
    • 2005
  • This paper is an attempt to find/make an entrance to John Hejduk's architecture. Based explicitly on both Karl Popper's model of knowledge production called 'conjecture and refutation' and Harold Bloom's theory of poetry called 'revisionism', this paper, in order to produce a new problem, mainly deals with an existing knowledge as an object to refute, that is, Michael Hays' interpretation of Wall House by Jacques Lacan's notion of the gaze, Hejduk's a pivotal architectural finding. The arguments underlying this paper are two: First, Hejduk, just like this paper, follows Popper's model and Bloom's theory in conducting his own architectural research. Secondly, he takes what might be called artist's attitude when absorbing previous knowledge and producing new one. These two arguments are made in the first part and then served as a basic propositions for further arguments. In the process of criticizing the way in which Hays explicates Hejduk's Wall House, this paper reaches two main arguments. First, Lacan's notion of the gaze is not proper specifically for the explication of it. However, it may be useful and even promising when dealing with other works such as Subject/Object and House of the Inhabitant Who Refused to Participate. Secondly, Freud's notion of 'uncanny', arguably Hejduk's strong architectural orientation, may serve much better as a main gate among possibly many ones in trying to open his architecture. It is considered that this might also serve as an important clue to solving mysticism remaining yet untouched in his architecture.

  • PDF

올라퍼 엘리아슨의 작품에 나타난 블러 색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lur Color in Olafur Eliasson's Works)

  • 김선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87-94
    • /
    • 2012
  • This thesis has purpose of explaining that blur color is not only appreciated but also undecided spacial color in contemporary space design and examining effects of space experience through the light. In keeping such developments, blur color has been perceived as the object of another tool in contemporary space and has provided us with new views by providing various program, sensor and screen from digital media. With the expansion of blur color, light has changed a spacial color structural that is not simple meaning factor into the essential concept. So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blur color in Olafur Eliasson's work, which of the fine artist in diverse fields from installation art to media art. The principle of blur color such as deconstruction of vanishing point, dimensional transfer, color gradation, and fiction of visual perception makes it possible to extract the expressed element and method of blur color. Meanwhile, the features of blur color such as sense of depth from viewpoint changes, hybrid from collapse of order, media metamorphosis from reconstitution and interaction from uncanny can be inferred from case analysis.

  • PDF

'오브제(Object) 애니메이션'의 미학적 정서와 창의성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교육 결과물의 '오브제(Object)' 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esthetic Emotion and Creativity of 'Objet Animation' -Focused on the analysis of 'Objet' type of cultural arts education outcomes-)

  • 김현영;김재웅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50호
    • /
    • pp.43-73
    • /
    • 2018
  • 연구는 애니메이션 문화예술교육 중 '오브제(Object)'에 관한 연구이다. 현대 예술에서 오브제의 활용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큐비즘부터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미래파, 팝아트에 이르기까지 오브제는 현대미술과 발걸음을 함께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또한 오브제는 키네틱 아트, 비디오 아트, 미디어 아트, 애니메이션 등 '움직임'을 표현하는 영상예술 분야에서도 주목할 만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예술작품에 사용되는 오브제의 유형을 분류하고 연구한 사례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자는 초현실주의 담론에서 영향을 받아 6가지 오브제 유형분석 틀을 마련하고 오브제 애니메이션의 '미학적 정서와 창의성 향상의 교육적 측면'을 고찰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형분석틀은 드로잉 오브제, 실재(존재)의 오브제, 몰핑 오브제, 표피의 오브제, 대입된 오브제, 아상블라주 오브제로 명명하였고 이 유형을 사례 이미지와 함께 제시하며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문화예술교육에서 비전문가를 대상으로 교육한 오브제 애니메이션 결과물을 중심으로 하였다. 미학적 정서는 프로이드가 말한 생명에 대한 욕구(Eros)를 Attraction(매혹)으로, 죽음에 관한 욕구(Thanatos)를 Uncanny(두려운 낯설음)으로 칭하며 상반된 개념을 토착신앙인 Animism과 연결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게슈탈트 심리학자인 카를 던커(Karl Duncker, 1903-1940)가 말한 '기능적 고정성(Functional fixedness)'이란 용어와 관련지어 오브제 애니메이션의 교육적 측면인 '창의성'에 관하여 논하였다. 기능적 고정성 극복이란 사물이 가진 기능적인 측면에만 고착되어 발상의 전환을 하지 못하는 현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브제 애니메이션'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기능적 고정성을 극복한 사례로 창의성 향상의 교육적 측면을 논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오브제 애니메이션의 미학적 정서와 창의성 향상의 교육적 측면을 '오브제 유형 분석'을 통해 고찰하는 것이다. 나아가 '오브제 애니메이션'을 문화예술교육에서 활용할 때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몰입형 VR 환경에서 가상 반려동물과 상호작용에 관한 패시브 햅틱 요소의 영향 분석 (Exploring the Effects of Passive Haptic Factors When Interacting with a Virtual Pet in Immersive VR Environment)

  • 김동근;조동식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125-132
    • /
    • 2024
  • 최근, 몰입형 가상현실(IVR) 환경에서 가상 객체(Virtual Object)를 이용한 상호작용을 통해 교육, 의료, 산업, 원격지 협업 등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하여 가상 휴먼을 사용자에게 가시화하고,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이를 확장한 가상 반려동물에 관한 연구도 시작되고 있는 단계이다. 몰입 VR공간에서 가상 반려동물과 상호작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실제 환경에서 반려동물과 신체 접촉(쓰다듬기 등) 및 제스처와 같은 비언어적 상호작용(Non-verbal Interaction)이 소통을 위해 중요한 것처럼 가상 환경에서도 이러한 상호작용의 재현을 통해 몰입 경험을 높이는 요소에 대한 영향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몰입형 VR 환경에서 사용자가 가상 반려동물과 상호작용 체험을 수행할 때 패시브 햅틱(Passive Haptic)을 제공하고, 그 촉각(Tactile) 요소에 대한 영향 분석을 수행하였다. 패시브 햅틱의 촉각(Tactile) 요소를 모양(shape), 재질(texture) 항목으로 분류하여 그 변화의 정도에 따라 상호작용 효과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패시브 햅틱 피드백이 제공되는 몰입형 가상 환경에서 가상 반려동물 상호작용을 수행할 때 재질 요소의 단계(Level)의 차이에 따라 몰입감(Immersion), 공존감(Co-presence), 사실감(Realism), 친근감(Fridenliness)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재질과 모양에 따른 통계적 상호작용 영향 분석에서 친근함 측정 결과에서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가상 반려동물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콘텐츠 개발에 가이드라인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후기 라깡이론에서 실재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Real in the Post-Lacanian Theory)

  • 박수진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6권
    • /
    • pp.60-80
    • /
    • 2004
  • This study aims at the observation of the Real in the Post-Lacanian theory. It is focused on two questions as ideology and fantasy. On this basis Slavoj $\v{Z}i\v{z}ek$ has rearticulated the theory of ideology by reexamining Althusser's version of it critically. The ideology is the logic of fantasy based on the foreclosure. And the ethical act of identifying with the symptom is absolutely called for in order to radically rearticulate it. The really key element in the concept is now found to be Lacanian object a, the symptom as jouissance. In additional, the two part of the study, far from belonging to two different domains, that of political analysis and artistic analysis, relate to each other like the two surfaces of a Moebius band. Finally, the role of the Lacanian real is radically ambiguous: true, it erupts in, the form of a traumatic return, derailing the balance of the Order, but it serves at the same time as a support of this very balance. The real functions here not as something that resists symbolization, as a meaningless leftover that can not be integrated into the symbolic universe, but on the contrary, as its last support.

  • PDF

"Entanglement of Echoes in Near / Miss" Bernstein, Charles. Near / Miss Chicago: U of Chicago P, 2018.

  • Feng, Yi
    • 영어영문학
    • /
    • 제64권2호
    • /
    • pp.299-305
    • /
    • 2018
  • Near / Miss, Charles Bernstein's poetry collection, is replete with poems of distinctive styles and pluralistic forms in his idiosyncratic and artistic cosmos. With poetic antics, queerness, sarcasm, irony, and humor, the book showcases the motif of loss, chaos and trauma in postmodern America and the world. The multiplicity and multi-dimensional $M{\ddot{o}}bius$ effect in Near / Miss echo earlier Bernstein's poems, as well as poems by ancient and contemporary poets, with visual artists and musicians, and rabbis and Jewish philosophers. I argue that Near / Miss offers an apotheosis of echopoetics, which has been launched in his previous book Pitch of Poetry. Poems in the book reveal the dark and thick "pitch," namely the queer, the uncanny, the invisible, the disabled, the dispossessed, and the silenced poetic Other and make it explicit. The estrangement and alienation of $clich{\acute{e}}$ through diverse malaprops, mondegreens, non-sequiturs and fragmentations in Near / Miss aim at deconstructing the fixation of language so as to display the poetic Other. The motif of "nothingness" in echopoetics significantly multiplies its meanings. Nothingness mainly refers to the loss of origin, the defiance of tyranny, and the sublimity of the universe and the poetic Other. Melding his personal loss and misfortune, the current political discontent and the postmodern chaos in America and the world, nothingness in echopoetics resonates with American literary tradition and Zen with a healing and transforming power.

비기하학적 현대건축의 초월론적 추상 - 들뢰즈의 사유를 중심으로 - (Transcendental Abstraction in Non-geometric Contemporary Architecture - focused on Deleuze's Thinking -)

  • 조용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5호
    • /
    • pp.107-116
    • /
    • 2019
  • Non-geometric shape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was explained from the transcendental schema of Deleuze with his abstraction theory. In this explanation, the intensity, the movement and change and the sublime were suggested as the expressional elements of the transcendental abstraction related with the artistic sensation of architecture. First, the intensity as a power of sensation which acts to the body before the recognition of brain is mainly expressed with the movement of curved lines of architectural space. Second, the movement of change is expressed as the de-centralized and de-formalized nomadic curve as the line in architectural 'smooth space' which has unrestrained orientations. Third, the sublime is expressed in the hugeness, enormousness or sometimes uncanny in void space, which could be contradictively mixed with senses of displeasure and pleasure. The sublime feelings in architecture can be emerging by rationally overcoming the unpleasant senses of contradictive spaces in architecture or urban fabric. This study has explained those expressional elements with the architectural works of Steven Holl, Frank Gehry and Zaha Had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