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1970s

검색결과 2,226건 처리시간 0.03초

농촌지역 수자원개발에 있어 새마을 운동의 역할과 의의에 대한 실증적 연구 (Implication of the Saemaul Undong on water resources development in rural communities during 1970's)

  • 황준식;서용원;정진영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99-705
    • /
    • 2016
  • Although it has been well known that the Saemaul Undong had a direct relation with th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during 1970's, its contribution to the water resources and increased income in rural communities has not been thoroughly quantified so far. In order to assess the contribution of the Saemaul Undong in terms of rural water resources development, we investigated various historical data produced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relation to water resources development. The results show the direct and indirect contribution of the Saemaul Undong to th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in rural communities such as sewage works, water supply facilities, shared wells, and river works. The results also showed a positive relation between per-house income in rural communities and areas of irrigated paddies, which were rapidly increased during 1970's.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to transplant the positive aspect of the Saemaul Undong to developing countries focusing on water resources development in rural areas.

도시화의 특징과 불평등도 분석 (Measuring Inequalities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Urban Population)

  • 박주문
    • 한국인구학
    • /
    • 제18권2호
    • /
    • pp.98-114
    • /
    • 1995
  • 이 연구는 급격한 변동을 겪어 온 한국사회에서 도시화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고 도시인구의 분포의 측면에서 불평등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이 연구결과 1966-70년 사이에 급격히 이루어진 도시화의 성격이 부각되었고, 또 도농간의 성장속도의 차이도 아주 높았음이 드러났다. 무엇보다도 서울의 수위도시성이 명백히 드러났다. 하지만 서울의 수위도시성은 1970년이래 서서히 감소되기 시작했고, 불평등지수인 지니계수를 통해 검증한 결과 1970년에 비해 1990년의 도시인구분포의 불평등성은 완화된 것으로 보이나, 여전히 큰 불평등이 존재하고 있다.

  • PDF

한국농촌의학회지(韓國農村醫學會誌)에 게재된 연구논문의 분류 및 연구동향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Research Trends of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Rural Medicine)

  • 위유미;김석일;박향;류소연;박종;김기순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2호
    • /
    • pp.231-244
    • /
    • 2000
  • 한국농촌의학회지 창간호(1976년 발행)부터 24권2호(1999년 발행)까지 총 3호에 게재된 연구논문을 종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34호에 게재된 전체논문수는 337편이었고 이중 원저논문수는 240편(71.2%)이었다. 원저논문은 1970년대에 13편, 1980년대에 73편, 1990년대에 154편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었다. 2. 원저논문 240편의 저자수는 1명에서 10명까지였고 3인인 경우가 55편(22.9%)으로 가장 높았다. 공동저자수가 점차 증가하는 추이를 나타냈다. 연구기관수는 l개에서 5개까지였고 단일기관인 경우가 106편(44.2%)으로 가장 높았다. 1990년대에 오면서 3개이상의 연구기관들이 공동연구하는 양상을 뚜렷이 나타냈다. 3. 게재논문의 사용언어는 97.5%가 한글로 기술되었으며, 영어논문은 2.5%이었다. 원저논문에 연구비를 받았다고 표시된 논문은 24편(10.0%)이었다. 4. 원저논문의 연구영역별 분류에 의하면 보건 관리에 관한 논문이 105편(43.8%), 질병역학 연구논문이 96편(40.0%), 농촌환경 및 농민의 직업성 질환분야는 39편(16.3%)으로 순이었다. 1970년대에는 질병역학 12편(92.3%), 보건관리 1편((7.7%)이었다. 1980년대에는 질병역학 33편(45.2%), 보건관리 29편(39.7%), 농촌환경 및 농민의 직업성질환 11편(15.1%)이었다. 1990년대에는 보건관리 75편(48.7%)으로 가장 많았고 질병역학 51편(33.1%), 농촌환경 및 농민의 직업성질환 28편 (18.2%) 순이었다. 5. 각 영역별 연구주제별 분류에 의하면 농촌 환경 및 농민의 직업성질환 논문 39편중 농약중독 8편(20.5%)으로 가장 많았고 농부증, 비닐하우스증에 관한 논문은 각각 7편(17.9%), 사고손상 및 기타중독 6편(15.4%) 순이었다. 질병역학 논문 96편중 기생충 56편(58.3%)으로 가장 많았고, 비감영성질환 16편(16.7%), 감염성질환 12편(12.5%)순이었다. 보건관리 논문 105편중 의료이용행태 25편(23.8%)으로 가장 많았고, 보건의료체계 18편(17.1%), 모자보건 13편(12.4%)순이었다. 연대별 다빈도 10순위 연구주제별 분포에 의하면 1970년대에는 기생충 6편(46.2%), 비감염성질환 4편(30.8%)순이었다. 1980년대에는 기생충 28편(38.4%)으로 가장 많았고, 보건의료체계 9편(12.3%), 의료이용행태 7편(9.6%), 모자보건 5편(6.8%), 농약중독 4편(5.5% )순이었다. 1990년대에는 기생충 22편(14.3%), 의료이용행태 18편(11.7%), 노인보건 16편(10.4%), 보건의료체계 14편(9.1%), 감염성질환 10편(6.5%), 비감염성질환 10편(6.5%) 순이었다. 6. 원저논문의 연구설계방법은 분석적연구 115편(47.9%), 기술적연구 92편(38.3%), 실험적 연구 21편(9.2%), 증례보고 6편(2.5%)순이었다. 1970년대에는 기술적연구 13편(100%)이고, 1980년대에는 기술적 연구 47편(64.4%), 분석적연구 19편(26.0%)이었으며, 1990년대에는 분석적연구 96편(62.8%), 기술적연구 32편(20.9%)으로 나타났다. 통계처리방법으로는 3개 연구영역 모두 지술적통계량을 모든 논문에 시도하였고, ${\chi}^2$-검정, t-검정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한국농촌의학회지에 원저 논문의 게재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저자수 및 연구기관수도 1990년대에 들어 증가하여 농촌의 보건의료에 관한 연구가 계속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연구영역을 분석한 결과 보건관리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았는데 1970, 1980년대에 질병역학 논문이 가장 많았지만 1990년대에 와서 보건관리 논문이 급증한데 기인한다. 연구주제별 분석결과 1970, 1980, 1990년대 공히 질병역학 영역에 속한 기생충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아서 그동안 우리나라 농촌에 기생충 문제가 현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음을 반영 할 수 있다. 그러나 1990년대에 그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이며 앞으로 의료 이용행태, 노인보건 등 보건관리에 관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 PDF

한국근해 참조기의 자원량 변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uctuations in Biomass of Small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polyactis, off Korea)

  • 장창익;김용문;유신재;김종관;안순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7-44
    • /
    • 1992
  • 한국근해 참조기 자원의 연도별 연령별 어획량 자료를 사용하여 생체량을 기초로한 코호트 분석법(Zhang, 1987)에 의하여 참조기의 1970-1988년 자원량을 추정하였다. 연도별 자원량은 1974년 약 10만톤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1981년부터는 2-3만톤의 수준으로 떨어졌다. 성어자원량에 있어서는 1974년 약 5만톤의 최대수준을 보인 이후, 계속 감소되어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연령별 자원량의 경년변동에 의하면 1970년대와 80년의 연령조성은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1980년대의 연령조성에서는 5세 이상의 대형어는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1세-4세까지의 소형어 수준도 70년대 수준에 크게 못미치고 있다. 1968, 1972 및1978 연급군이 비교적 탁월연급군으로 나타났다. 코호트 분석에 의해 추정된 연도별 순간어획사망 계수에 있어서도 1980년대는 70년대 수준의 2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어자원 량-가입 량 관계는 직선식으로 적합되었다.

  • PDF

우리나라 사망수준의 추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ing Patterns of Mortality in Korea)

  • 윤영희
    • 한국인구학
    • /
    • 제9권2호
    • /
    • pp.53-66
    • /
    • 198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mortality level and it's related demographic factors in Korea since 1942. In order to clarify the changes in structure of mortality and the causes of death, the indices such as Crude Death Rate(CDR) or Life Expectancy at Birth were used. The author examined the mortality levels and major causes of death and performed the relevant demographic analysis.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is study: 1. The CDR declined rapidly till 1960's. Such improvement slowed down from 1960's to mid 1970's and stabilized afterwards. It was due to the change of age composition, namely, the increase of aging population. 2. The Life Expectancy at Birth increased rapidly till mid 1960's. But elongation of the Life Expectancy slowed down after then. Especially in female, it slowed down more. 3. Changing patterns of major causes of death summarize that, till 1960's infectious diseases were major causes of death, but recently non-infectious diseases like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became more prevalent. 4. The elongation of Life Expectancy at Birth till mid 1960's was mainly resulted by $_4{q}_1$. But the major contributing factor of the improvement in Life Expectancy at Birth in female is he reduction of $_$\infty${q}_{50}$ recently. In male, the improvement in Life Expectancy at Birth is due to the reduction of $_1{q}_0$. recently. 5. The age-sex-specific mortality rates revealed that $_n{q}_x$ declined in common throughout the period, even though there exists some variability of their ranges as age changes. Consequently, this study seems to suggest that the demographic transition in Korea occurred between late 1960's and early 1970's. In other words, the rapid change before late 1960's was eased in early 1970's. The slow change in this period caused a stabilizing pattern. Therefore, the population change is expected to be stabilized continuously.

  • PDF

Cross-currents of Change and Continuity: Korean National Literature and Korean National Cinema

  • Kim, Daniel H.
    • 인문언어
    • /
    • 제7집
    • /
    • pp.247-269
    • /
    • 2005
  • The decade of the 1960s in Korea is normally regarded as a transitional period, but this transition has been consistently viewed in either economic or political terms. In this paper I examine the 1960s and the 1970s as a period of cultural transition―from a neo-Confucian emphasis on "high" art to a broader, more inclusive acceptance of "popular" forms of cultural expression. Although these two realms of cultural production are often viewed as fundamentally antithetical, I argue that there is actually significant continuity in terms of both artistic expression and cultural engagement. In particular, I look at the trajectories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 and cinema and their areas of confluence. I examine the career of Kim $S{\breve{u}ng-ok$, who in the 1960s was the preeminent literary voice of a new generation and who in the 1970s was the screenwriter for some of the most popular films of that era, and I show how Kim's career changes track parallel changes in both literature and cinema. Artistically, Kim continued his literary expressions of a new sensibility in his screenplays, bringing to cinema a new infusion of seriousness and respectability. Culturally, Kim continued his explorations of the ways in which rapid changes in Korean politics and the booming economy led to miscommunication and chaos in society. By consistently exploring processes of national identity formation and re-formation, Kim's 1960s literature can be seen as crucial instances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 (minjok munhak). In the same manner, Kim's 1970s screenplays can be seen as foundational moments in a Korean national cinema.

  • PDF

플라스틱 가구디자인의 조형세계에 관한 연구 (1960년대부터 1970년대 반디자인을 중심으로) (A Study of Formative World with Plastic Furniture Design (Focused on the anti-design in 1960s ${\sim}$1970s))

  • 오세자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21
    • /
    • 2008
  • For ages, Furniture, it has been improved for human aesthetic needs as well as human life as a tool. In the 1960s, it's the age of an ideological conflict. And its war made the hippie-culture come out. And, it was economically bountiful. The epoch-making development of the scientific technology made the result of space development, conquering the moon in the first of the mankind. Made the appearance of the Anti-design against the modern design which was the also, it traditional values and the mainstream. The plastic has merits, low-priced, light, being perfectly able to do mass production of the all kind of shapes' furniture with all-desired colors. It was the wonderful material for the expression of the short-life character, the irony, the kitsch, and an intentional decoration to being chased by anti-design. And the result, the plastic furniture in the people's daily-life has well represented with reflecting the mind of the people in that age.

  • PDF

초기 부산 노래방 문화 형성의 사회적 맥락과 매체사적 의미 1980년대 가라오케 문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Social Contexts and Media-Historical Meaning of the Early 'Noraebang' Culture in Busa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raebang and Karaoke Culture in 1980s)

  • 윤상길;장일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7권
    • /
    • pp.164-199
    • /
    • 2016
  • 본고의 연구 목적은 일본산 가라오케가 부산에 유입된 사회경제적 배경을 검토하고, 1980년대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번졌던 가라오케 문화가 1990년대 노래방 문화의 태동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를 기술의 사회적 구성주의론이라는 시각에서 해명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 1980년대 가라오케의 부산 유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회경제적 배경에는 1970년대 동아시아 기생관광산업의 구조 변동 속에서 정부의 관광객 유치 정책에 의해 부산을 방문하는 일본인 관광객이 늘어났다는 요인이 자리를 잡고 있지만, 1982년 정부의 국제여행 알선업체의 등록제 전환과 그에 따른 여행업체와 가라오케 업소 간의 사업적 제휴, 가라오케 업소 간의 일본인 관광객 유치 경쟁 또한 부산 지역 가라오케의 증가를 가져온 요인이었음이 밝혀졌다. 한편, 1980년대 부산의 노래방 문화 형성이 가라오케 문화와 맺는 관련성을 매체사적인 시각에서 살펴본 결과, 초창기 직접적으로 노래방기계를 접했던 부산 지역의 사람들은 노래방의 '새로움'을 주로 전자오락기와의 비교를 통해 인지했었던 데 반해, 가라오케와 노래방을 비슷한 것으로 잘못 인식해 노래방을 '왜색 문화'라고 비판했던 언론은 비록 부정적 방식이긴 하더라도 노래방의 사회적 인지 확대에 매우 큰 역할을 담당했음이 밝혀졌고, 그런 점에서 1980년대 부산의 가라오케 문화는 노래방의 사회적 인지 획득 과정에 연관되어 있음이 드러났다.

  • PDF

국제가요제와 세계 감각 -냉전 시기 대중음악사 연구의 인터아시아적 관점과 유라시아적 상상력 (International Song Festivals and Musicians' Sense of the World -Inter-Asian Perspective and Eurasian Imagination in the Study of Korean Popular Song during the Cold War)

  • 김성희
    • 대중서사연구
    • /
    • 제27권1호
    • /
    • pp.187-225
    • /
    • 2021
  • 이 연구는 1970년대와 1980년대 초 국제가요제가 어떻게 한국 대중음악가들의 세계 감각을 형성하게 했는가에 대해 살펴본다. 1970년 이봉조가 일본 야마하 세계가요제에서 입상한 이후, 한국의 작곡가와 가수들은 일본의 국제가요제에 참가하였다. 일본 국제가요제는 한국과 일본 간의 대중음악 교류를 활발하게 하였다. 단순히 교류에 그치지 않고, 일본 국제가요제의 자극을 받아, 1978년에는 문화방송이 MBC 서울국제가요제를 1979년에는 동양방송이 TBC 세계가요제를 개최하였다. MBC는 1978년과 1979년 가요제를 아시아 국가 중심으로 치렀다. 반면, TBC는 국제가요제연맹(FIDOF)의 도움으로 미주와 유럽, 특히 유고슬라비아의 가수들까지 참여시켰다. 이에 MBC도 1980년부터는 국제가요제연맹의 협력을 얻어 유럽의 유명 작곡가들을 유치했다. 이 논문은 한국 대중음악 연구의 공백이었던 국제가요제를 중심으로 냉전 시대 한국 대중음악과 세계 대중음악의 연결망을 재발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