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ure profiles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31초

약용버섯(꽃송이버섯) 분말의 첨가가 밀가루 반죽과 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ied Medicinal Mushroom (Sparassis crispa) Powder on Wheat Flour Dough and Bread Properties)

  • 오원정;한인화;박병건;이지순;양해통;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31권3호
    • /
    • pp.171-177
    • /
    • 2016
  • The effects of medicinal mushroom (Sparassis crispa) powder supplementation on the rheological property of dough and the quality of bread were investigated. Naturally dried S. crispa powders (NDSCP) and freeze-dried ones (FDSCP) were prepared. Farinograph profiles of dough showed that mushroom powder addition at levels higher than 1% led to reduced dough stability suggested by decreased development time and increased weakness. The incorporation of S. crispa powders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compared to other mushrooms which might be attributed to its high content of beta-glucan. FDSCP was chosen over NDSCP because of its fragrant flavor which could be ascribed to the preservation of volatile polyphenol components. The quality of FDSCP bread was evaluated with respect to specific volume, texture, color, and organoleptic qualities. The specific volume of bread with S. crispa powder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while textural properties, such as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were enhanced.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0.3% FDSCP incorporation presented the highest bread quality. With its daily consumption, S. crispa supplemented bread can provide consumers with multiple health benefits.

Sensory Profiles of Protein-Fortified Kefir prepared Using Edible Insects (Silkworm Pupae, Bombyx mori) : A Preliminary Study

  • Kim, Young-Ji;Chon, Jung-Whan;Song, Kwang-Young;Kim, Dong-Hyeon;Kim, Hyunsook;Seo, Kun-Ho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262-265
    • /
    • 2017
  • Bombyx mori (silkworm pupae) is a unique and biologically significant insect, which is a recognized source of high quality protein that provides all the essential amino acids required for human health. Recently,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various biomedical applications of B. mori protei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nufacture protein-fortified kefir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B. mori powder according to pH and sensory evaluations. The value of the protein-fortified kefir increased but the pH decreased with increasing incubation time, indicating that the amount of B. mori powder did not affect and pH. Addition of B. mori powder also did not affect the sensory properties of overall acceptability, texture, and color compared to control group without addition of B. mori powder. However, flavor and taste were affected by increasing the amounts of B. mori powder,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flavor and taste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ed groups (both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acceptability, texture, and color.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producing kefir as a dietary supplement utilizing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B. mori.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옥수수 전분의 호화 및 겔 특성 (Gelatinization Behaviours and Gel Properties of Hydroxypropylated Corn Starches)

  • 육철;백운화;박관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7-324
    • /
    • 1991
  • 옥수수 전분을 propylene oxide와 반응시켜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옥수수 전분을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DSC, Amylograph 등을 이용하여 호화특성을 조사한 결과 치환기가 증가할수록 호화온도가 낮아져 치환도가 DS 0.068 이상에서는 호화개시온도가 $59^{\circ}C$로 감자 전분의 호화온도인 $62^{\circ}C$ 보다도 낮았으며 DS $0.120{\sim}0.147$에서는 $53^{\circ}C$까지 떨어졌다. 호화시킨 전분을 $4^{\circ}C$에 저장하면서 노화속도를 측정한 결과 DS 0.120 이상에서는 $4^{\circ}C$에서 7일간 방치하여도 거의 노화가 일어나지 않아 하이드록시프로필화에 의하여 크게 억제되었다. 또한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시킨 옥수수 전분은 빛 투과도 증가 시작온도가 낮아졌으며 빛 투과도는 현저히 증가되었다. 옥수수 전분을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시켰을때 gel 형성시간은 늦어졌으며 gel 조직이 연해지고 겔 강도도 떨어졌다.

  • PDF

국내 해안의 해빈-해안사구 지형 및 퇴적물 특성과 입도기반 사구유형 분석 (Morphological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each-dune System in South Korea, with the Possibility of a Dune Type Scheme Based on Grain-size Trend)

  • 류호상;강지현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3-73
    • /
    • 2020
  • Morphology and grain size distribution of coastal dunes should be well documented because they are critical to dune's buffering capacity and resilience against storm surges. The nationwide coastal dune survey produced the dataset, including beach-dune topographic profiles and grain size parameters for frontal beaches, foredunes, and inland dune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dataset to describe geomorphic and textural properties of coastal dunes: foredune slopes, dune heights above approximately highest high water, mean size, and sorting, together with associated variables of coastal setting that influence coastal dunes. It also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dune type scheme based on gran size tren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ast in which dunes are developed is the primary control on foredune morphology and sediment texture. Coastal dunes on the east coast were developed more alongshore rather than inland, with gentler slopes on the higher ground and out of coarser sand. The shore aspect contributes to this pattern because the east coast cannot benefit from prevailing northwesterly. Second, grain size trends from beaches through foredunes to inland dunes were little identified. Third, 12 dune types were identified from 69 dunes, showing the indicative capability for the status of beaches and dunes. We confirmed that the dataset could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coastal dune morphology and texture, though there is something to be improved, for example, establishing the refined and comprehensive field survey protocol.

가열온도가 두류전분의 가용성 탄수화물의 용출양상과 전분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ing Temperature on Elution Patterns of Soluble Carbohydrate of Legume Starches and the Properties of Starch Gels)

  • 권미라;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98-702
    • /
    • 1993
  • 온도 증가에 따라 용출되는 soluble carbohydrate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더 큰 분자들이 많이 용출되었고 동부나 녹두는 아주 유사한 용출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팥은 동부나 녹두보다는 분자량이 작지만 강낭콩보다는 큰 분자들이 용출되었고 $95^{\circ}C$에서의 용출양상이 동부나 녹두의 $85^{\circ}C$에서의 용출양상과 비슷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강낭콩은 온도가 증가되어도 아주 작은 분자들이 계속 많이 용출되어 강낭콩 아밀로오스가 작은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 텍스쳐실험결과 전분겔의 특성은 녹두가 가장 견고성이 크고 동부는 응집성이 가장 컸다. 팥이나 강낭콩은 견고성과 응집성 모두 동부나 녹두에 비해 낮았다. 15분간 가열하여 제조한 전분겔의 경우 가열온도가 증가할수록 견고성과 응집성이 증가하였다. 1시간 가열하여 제조한 전분겔의 경우 동부와 녹두는 $85^{\circ}C$에서보다 $95^{\circ}C$에서 견고성이 감소하였으나 팥이나 강낭콩은 가열온도 증가에 따라 견고성이 증가하였고 시료 전분겔 모두 응집성은 증가 하는 양상을 보였다.

  • PDF

여러가지 조리방법에 따른 송피떡과 모시풀떡의 관능적, 기계적 텍스쳐 특성 (Sensory and Instrumental Texture Properties of Songpypyuns and Mosipulpyuns According to the Cooking Conditions)

  • 김순임;한영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87-194
    • /
    • 1993
  • 송피와 모시풀을 첨가하여 시루, 찜통, 압력솥 그리고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떡을 제조하고 관능검사 및 기계적텍스쳐 측정을 통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떡의 품질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송피와 모시풀의 첨가량을 17.28%로 하여 이용 조리기기를 달리하여 제조한 경우의 수분함량은 시루, 찜통, 그리고 압력솥 조리가 각각 약 44∼48%였고, 송피와 모시풀떡 모두 전자레인지에 의한 조리에서 약 39∼4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송피와 모시풀의 첨가량을 17.28%로 하여 조리기기를 달리하여 제조한 경우의 호화도 변화는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조리한 시료가 가장 급격한 감소현상을 보여주었으며, 시루를 이용하여 조리한 시료가 가장 완만한 감소현상을 보여주었다. 송피와 모시풀의 첨가량을 17.28%로 하여 조리기기를 달리하여 제조한 시료의 저장기간별 관능검사 결과 조직의 부드러운 정도, 촉촉한 정도, 쫄깃한 정도는 시루와 찜통을 이용한 것이 가장 높았고, 전자레인지 조리에서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바람직한 정도는 시루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찜통, 압력솥, 전자레인지 조리의 순서로 선호도를 보였다. 이들 모두 저장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평가치가 낮아졌다. 조리기기별 기계적 측정에서는 견고성, 씹힘성은 전자레인지로 조리한 것이 가장 높았으며, 시루와 찜통을 이용하여 조리한 것이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점착성은 시루와 찜통을 이용하여 조리했을 때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압력솥, 전자레인지 조리시료가 가장 큰 감소를 보여주었다.

  • PDF

Evaluating the Potential of Korean Mudflat-Derived Penicillium nalgiovense SJ02 as a Fungal Starter for Manufacturing Fermented Sausage

  • Sujeong Lee;Jeehwan Choe;Minji Kang;Minkyoung Kang;Sooah Kim;Sangnam Oh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912-933
    • /
    • 202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identify, and evaluate novel Korean starter cultures for use in fermented sausages. A total of 72 strains were isolated from various indigenous sources, including Nuruk, Jeotgal, and mudflats o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Two strains were identified as Penicillium nalgiovense (SD01 and SJ02), a traditional starter used in the production of fermented sausages. A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SD01 and SJ02 using the commercial starter culture (M600). Strain SJ02 exhibited superior lipolytic and proteolytic activities, as well as an enhanced growth rate at the optimal salinity level of 2% NaCl compared to M600.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values, sausage colors, and texture properties between SJ02 and M600 fermented sausages, except for adhesiveness. Profiles of mycotoxin-related genes were similar for both strains. Electronic nose analysis revealed distinct aroma profiles between SJ02 and M600 fermented sausages, with a relatively higher levels of propan-2-one and butyl butanoate in SJ02, and a higher level of ethanol and propanal in M600. In electronic tongue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aste characteristics between SJ02 and M60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 nalgiovense SJ02 is a potential starter culture to produce dry fermented sausages, enhancing Korean style cured meat processing industry.

자외선 조사 표고버섯 분말과 해조칼슘이 첨가된 냉면의 제조 (Preparation of Buckwheat Cold Noodles with UV-irradiated Shiitake Mushroom Powder and Seaweed Derived Calcium)

  • 윤교희;오혜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5-62
    • /
    • 2007
  • 본 연구는 표고버섯에 많이 함유된 ergosterol을 비타민 D로 전환시킨 표고버섯 분말을 메밀 냉면에 첨가함으로써 우리 국민의 골격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편의식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표고버섯 분말의 활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제조한 냉면의 종류는 기본 메밀 냉면 외에 3% 표고버섯분말 첨가냉면, 5% 표고버섯분말 및 해조칼슘 첨가 냉면, 3% 표고버섯 분말 및 해조칼슘 첨가 냉면 등 총 5종이었다. 표고버섯 분말은 총 반죽 무게의 3%와 5% 수준으로 첨가하였고, 해조칼슘의 첨가량은 냉면 1회 분량 당 1.4g의 칼슘이 함유되도록 하였다. 냉면의 질감에 대한 기계적 측정 결과, 버섯분말 혹은 해조칼슘 첨가로 인해 조리면의 경도, 응집성, 검성 및 탄력성 등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착성은 3% 버섯분말첨가 냉면에서만 약하게 나타났으며, 씸힘성은 특히 해조칼슘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버섯분말 첨가량이 증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냉면의 색도는 버섯분말 첨가로 농도와 황색도가 낮아진 반면 해조칼슘은 이를 보완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생면에 비해 조리면에서 L값은 높아진 반면, a, b 값은 모두 감소하였다. 조리면의 농도는 기존 메밀냉면에 비해 버섯분말이나 해조칼슘을 첨가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황색도는 버섯분말 첨가로 감소하였다가 해조칼슘 첨가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적색도는 대조군과 3% 버섯분말 첨가냉면의 경우에는 적색보다는 오히려 녹색 쪽으로 기울었다. 버섯분말 및 해조칼슘 첨가에 따른 메밀냉면의 기호도를 비교한 결과, 풍미, 맛, 질감은 기존의 메밀냉면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색깔과 수응도에서 5% 버섯분말 첨가 냉면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냉면에 풍미는 버섯분말 첨가에 의해, 그리고 맛과 질감은 해조칼슘을 가함으로써 개선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PDF

전통 명태식해의 숙성중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of Sensory Properties of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Fermentation)

  • 김소정;정은정;김훈;조우진;김광호;임치원;차용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05-411
    • /
    • 2004
  • 명태식해를 제조하여 온도조건(5$^{\circ}C$, 2$0^{\circ}C$, 변온조건)에 따른 관능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기계적 조직감의 변화는 5$^{\circ}C$의 경우 경도, 부착성, 응집성 및 씹힘성에서는 증감은 있었으나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2$0^{\circ}C$에서는 경도, 응집성 및 씹힘성이 전반적으로 숙성 12일까지 증가하다가 그 후로는 감소하였으나, 변온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감소폭도 적었다. 숙성 온도별에 따른 기호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5$^{\circ}C$, 2$0^{\circ}C$ 및 변온은 각각 14일, 9일 및 13일이 관능적으로 가장 좋았으며, 종합적 기호도가 5점 이상점을 유지하는 시점은 각각 14일, 12일 및 21일로 변온의 경우가 가장 양호하였다. 그리고 관능적 조직감은 씹힘성과, 전반적 기호도는 맛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정량적 묘사분석(QDA) 결과 일정 숙성기간 후에 변온조건으로 저장함으로써 신맛과 신냄새는 일정 강도를 유지한 반면에 5$^{\circ}C$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변온조건이 다른 온도조건에 비해 관능적 품질(조직감 및 기호도)의 유지가 양호하였으며, 종합적 기호도(5점 이상)가 저장 21일까지 유지되어 5$^{\circ}C$의 14일, 2$0^{\circ}C$의 12일에 비해 연장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산업화를 위한 명태식해 제조에서는 저온저장의 고려는 필수적이라고 생각되었다.

호정화에 의한 백설기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cksulgi with Dextrinized Rice)

  • 두화진;이은숙;김용노;심재용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4호
    • /
    • pp.289-29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호정화 방법을 달리하여 만든 호정화 쌀을 이용 멥쌀가루를 대체하여 첨가비율을 달리한 백설기를 제조하고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수분함량은 호정화 방법과는 상관없이 호정화 쌀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저장동안에 큰 변화는 없었다. 백설기의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대조구와 10-50% 첨가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100% 첨가구만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a값과 b값은 호정화 쌀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는데 특히 dry oven으로 제조한 호정화 쌀의 첨가군에서 증가폭이 컸다. 이는 dry oven 방법으로 만든 호정화쌀의 갈변화 현상이 roaster 방법보다 큼을 알 수 있었다. Texture analyzer를 사용한 기계적 물성 측정 결과 경도(hardness), 응집성(cohesiveness), 검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은 호정화 방법에 상관없이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경도가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보여 단단함이 적었지만 씹힘성은 감소하였다. 전체적으로 dry oven 방법에 의한 호정화 쌀의 첨가가 노화로 인한 경도 증가를 감소시키는데 좀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Avrami 방정식에 의한 노화특성의 시간상수(1/k) 값은 호정화 쌀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노화 억제에 호정화 쌀의 첨가가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관능검사 결과는 제조직후에는 대조구와 첨가군간의 유의적인 기호도 차이는 적었으나 저장 1일 후에는 호정화 쌀의 첨가로 인해 전체적인 품질 기호도가 증가하고 경도도 감소하는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호정화시킨 쌀의 첨가는 저장 시 떡의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호정화 방법으로는 쌀의 갈변현상을 최소화한 roaster 방법이 좀더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호정화 쌀의 첨가량은 30% 정도가 효과적인 비율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