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books improvement plan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2초

초등학생 식생활교육을 위한 '바른식생활 길라잡이' 교재의 개발과 활용방안 (The Development of 'Good Dietary Life Guide'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상은영;김정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4-83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dietary education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focusing on the three core values of environment, health and gratitude from the National Food Education Plan. Methods: The contents of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were developed with brainstorming of the authors as well as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by considering not only the three core values of environment, health, and gratitude, but also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2nd National Food Education Plan and the key competencies and creative convergence approach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sults: A total of 12 different dietary education textbooks named 'Good Dietary Life Guide' and the teachers' guidebooks from the first to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ere developed. The textbooks were fundamentally developed connecting the three core values, the outcome indices of the 2nd National Food Education Plan and the key competence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such as thinking, debate, writing,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practice were included to promote students' participation. These books could be utilized in every field of dietary education targeting elementary students such a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convergent classes (integrated subjects, Practical arts, Social studies, Science, Moral education and Korean), after school classes, rural experienc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after-school child care services and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Conclusions: The continuous and repetitive use of the textbooks from the first to the sixth grade w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food habits and the persona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onsequently make the students grow up as healthy citizens.

환경교육 차원에서 검토된 중학교 과학 자연환경과 우리 생활 단원의 탐구활동 내용에 대한 분석 및 그 개선방안 (An analysis and their improvement plan on the inquiry activity contents presented at a chapter on natural environment and our lives in science textbook of Middle school investigated in viewpoi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 이창석
    • 한국환경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교육학회 2002년도 후반기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79-85
    • /
    • 2002
  • Inquiry activity contents presented at a chapter on natural environment and our lives in 6 science textbooks of the middle school were analyzed based on kinds of the inquiry Loaming classified by textbook.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y subjects showed severe variation as mean value was 8.3${\times}$3.7 ranged from 4 to 15. Moreover, textbooks had little common point among each other as the percentage of subjects appeared together in the textbooks more than 3 kinds, 50% of total ones investigated, was just 26.3%. Data interpretation occupied significant position in the inquiry activity as 42% of total activity contents, whereas observation and experiment (or survey) did slight part of the activity as 10% and 16%, respectively even though they are main factors of science education. A model for field education based on the reasonable common subjects was prepared in the Gildong ecological park located In the eastern fringe of Seoul as a pla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 PDF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개선과 편찬 상의 이슈 분석: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국정 교과용 도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Improvement and Compilation Issues of Mathematics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Government Published)

  • 이화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4호
    • /
    • pp.411-431
    • /
    • 2022
  • 본 논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국정 교과용 도서 편찬의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교과용 도서 편찬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2015 개정 초등 수학 국정 교과서 편찬은 전국의 학계와 학교 현장 전문가들이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편찬 시스템을 갖추고 운영되었다. 내용상의 개선 사항으로는 기초 계산 능력 강화를 위한 단원과 차시를 증대하고, 수학 개념과 원리 도입 방식이나 알고리즘 제시 방식 개선 및 내용 간의 내적 연결성을 강화하였다. 학생들에게 이해가 어려운 내용은 상위 학기나 상위 학년으로 이동 배치하여 학습 시기를 조정하였다. 1~2학년군에서는 학생들의 한글수준에 맞게 읽을 분량을 대폭 축소하고, 문장과 어휘 개선 및 지시문을 간결하게 수정하였다. 편집·디자인 개선 사항으로는 단원별 도입 차시의 삽화와 차시별 맥락 그림을 세밀화로 연계하여 제시하였고, 교과서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전 학년군에 걸쳐 일관성있게 제시하였다. 편찬 과정에서 교과서의 문장과 어휘 수준, 교과서 분량, 수학 익힘 문제 난이도 등 이슈가 제기되었으며, 이에 따른 교과서 편찬 개선 노력과 그 결과를 조망하였다. 위와 같이 전반적인 분석을 통하여, 향후 국정 교과서 및 검정 교과서 등 편찬을 위해 학생과 교사를 위한 교과서 편찬 개선 방안과 편찬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 따른 초등 수학교과서 통계 지도 방식 분석 (An Analysis on Statistical Unit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 배혜진;이동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5-69
    • /
    • 2016
  • 본 연구는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초등 수학교과서의 통계 영역 지도 방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통계적 문제 해결의 4단계 중에서 자료 분석단계에 대한 집중도가 심한 것으로 드러났고, 문제 설정과 자료 수집, 결과 해석단계의 비중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토대로 초등 수학교과서의 통계 영역 교과서 개발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교육 과정 개선을 위한 국내 패션일러스트레이션 교재 콘텐츠 연구 (Improv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Fashion Illustrations Textbooks)

  • 김미현
    • 복식
    • /
    • 제65권5호
    • /
    • pp.103-112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fashion illustrations textbook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the domestic market, and identifies its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n regards to its use in developing creative studen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ways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the fashion illustration textbook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materials on fashion illustration in Korea were research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publication. Second, its contents were analyzed to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Third, an improvement plan of educational materials on fashion illustration in Korea were proposed. As for the scope of study, 18 volumes of fashion illustration teaching materials published in Korea during 2004-2014 were targeted. It should be noted that translated publications, digital fashion illustration materials and teaching materials for specialized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were exclude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amination of the textbooks revealed that additional content is needed regarding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fashion illustration, as well as illustrations of men and children, as there was an insufficient amount of those topics. Second, the contents on the illustration application using current trends were lacking in the unit on illustration applica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s that reflect these trends. Lastly, the textbooks should be packaged with compact discs CDs containing video clips to assist students to get a better grasp of the material.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new teaching materials on fashion illustration, and be utilized as basic information in the curriculum design of fashion illustration.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어휘 분석 및 개선 방안 한국어 '상징부사+용언'을 중심으로 (A Vocabulary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of Korean textbooks for Chinese learners: focusing on Korean "symbol adverb+predicate")

  • 종예
    • 한국교육논총
    • /
    • 제42권1호
    • /
    • pp.35-72
    • /
    • 2021
  •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세밀한 느낌과 다양한 감정을 표현할 때 보다 정확하게 말할 수 있도록 한국어 '상징부사+용언'형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교재 개선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수 외국인 학습자들이 어휘를 습득할 때 개별 단어를 암기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어휘간의 결합을 중시하지 않으므로 한국어 어휘를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징부사는 고립되어 사용하지 않으며 특정 어휘와 자주 공기하기 때문에 개별 어휘가 아닌 '상징부사+용언' 형태로 가르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고는 상징부사 뒤에 오는 특정 어휘 또는 공통적인 의미자질을 가진 어휘 군과 자주 공기할 수 있는 것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에 상징부사 뒤에 서술어가 함께 사용되는 양상의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국내·외 대학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7종 교재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상징부사+용언'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 (Teachers' Perceptions of Softwa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Improvement Plan)

  • 이재호;조윤선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2호
    • /
    • pp.99-109
    • /
    • 2021
  •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시작되고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교육도 이를 반영하게 되었다. 이미 여러 나라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19년부터 정규 교육과정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한 교사들의 느낀 점과 어려움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9년 초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담당한 교사 96명을 대상으로 개인 역량, 수업 운영 방식, 교과서 및 교육자료, 수업 운영 내용, 교육환경과 관련하여 36개의 문항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3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 시설과 환경 개선, 양질의 수업자료 개발 및 보급 활성화, 교사 대상의 참여형 연수와 교사 동아리 지원 확대 등의 개선사항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공간적 사고 관점에서 천문 분야 교과서 삽화 및 탐구활동에 대해 예비교사가 인식한 문제점과 개선안 (Problems and Suggestions for Astronomy Textbook Images and Inquiries Raised by Pre-service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Thinking)

  • 김종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3호
    • /
    • pp.501-520
    • /
    • 2022
  • 천문학 학습 과정에서 공간적 사고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교원 양성 단계에서부터 공간적 사고를 고려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공간적 사고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 후 이들이 천문 단원 교과서의 삽화 및 탐구활동에 대해 인식하는 문제점과 개선안의 양상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천문 영역의 공간적 사고를 공간 개념, 표상, 추론 과정으로 구성된 것으로 정의하였다. 수도권 소재 A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2주에 걸쳐 공간적 사고에 대한 교육이 실시되었으며 예비교사들은 천문 단원 중 1개 차시를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공간적 사고 측면에서 현행 교과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22명이 제시한 33개의 사례가 분석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교사들은 공간 개념과 추론 과정 측면에서 교과서 삽화 및 탐구활동의 한계를 인식하고 그것을 보완하기 위한 개선안을 제안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그러나 일부 예비교사는 문제점을 타당하게 인식하더라도 적절한 개선안을 제안하지 못하거나, 공간적 사고 측면에서 삽화나 탐구활동을 분석하지 못하는 경향도 나타냈다. 본 연구는 공간적 사고에 대한 일련의 교육을 통해 예비교사가 천문 교수 실행시 공간적 사고 측면에서 교과서 삽화나 탐구활동을 인식하고, 그 한계를 보완할 능력을 갖출 수 있음을 보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가 공간적 사고와 관련된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시사하는 바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헤어 미용 교과서 분석 (A Study on the Hair Beauty Textbook Based on the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 심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00-22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준으로 고등학교 헤어 미용 교과서의 수록 범위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NCS 기준에 의하면, 헤어 미용의 모든 직무능력 수준은 1~5수준에 속하며, 고등학교 과정 동안 헤어 미용 분야 40개 능력단위 중에서 습득 가능한 능력단위는 30개 항목이다. 고등학교 헤어 미용 교과서는 NCS 직무능력 중 75%에 해당하는 19개 능력단위를 중심으로 발간되었으며, 서술된 교과서 내용은 요구되는 직무 능력의 약 85% 정도를 포함하고 있다.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교과서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수준에서 습득 가능한 NCS 능력단위 11개에 관한 교과서가 발간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추가되는 내용을 학습할 수 있는 전문교과 수업 과정이 동시에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헤어 미용 분야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의 정립이 필요하다. 셋째, 교과서에 실린 사진 자료와 삽화 자료의 질적 개선작업이 필요하다. 넷째, 교과서의 오타 수정과 함께 사진 및 삽화 자료의 일관된 편집 형식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취업과 동시에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일본, 미국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지구온난화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lobal Warming Education Contents in Science Textbook of the Korea, Japan and U.S.A.)

  • 정윤정;최돈형;조성화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3호
    • /
    • pp.50-61
    • /
    • 2010
  • As the influence of mankind's actions grows on the earth's climate, the necessity of climate change education is increasing everyday. Therefore, this study will discuss desirable courses about climate changes education that can be used throughout the world. It is meaningful to try to compare the contents and scope of earth global warming education courses of different nations. where education and a research about earth global warming occur simlutaneously. This is key because global warming is not just a national issue, but an international issue. Therefore this study need to understand the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over the world to devise an improvement plan help to solve the problem of climate change on an international level.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global warming educational contents which appeared in Korean textbooks to Japanese and American textbooks, and analyze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each. Also, we will discuss desirable global warming educational instructional strategies. This study analyzed the present situation of nations by looking at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using an analysis form. Even though the researchers of an each nation analyzed the teaching material through common analysis forms, this study utilized a common analysis method with a colleague researcher regarding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 environmental science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study in each nation. Also the difference and similarities were aggregated as This study collected the analysis results of each nation. The researchers utiliz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o engage in repeated discussion and the sharing of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