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Vocabulary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of Korean textbooks for Chinese learners: focusing on Korean "symbol adverb+predicate"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어휘 분석 및 개선 방안 한국어 '상징부사+용언'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1.03.26
  • Accepted : 2021.04.27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This study is to form develop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centered on the Korean "symbol adverb + predicate" type, helping Chinese students to learn Korean to communicate more accurately when expressing detailed complex feelings and various emotions.Manyforeignlanguage learners try to memorize individual words when they acquire the new vocabulary, this may lead to a problematic in that they cannot use Korean vocabulary accurately and naturally because they do not value the combination of vocabulary words. Since symbolic adverbs are not used in isolation and being frequently used with certain vocabulary words, it is more effective to teach them in the form of instruct learners using "symbol adverb + predicate" forms rather than individual vocabulary words. Accordingly, this research considers a particular vocabulary following symbolic adverbs or vocabulary groups with common semantic qualities that could be frequently introduced. Seven Korean language textbooks used by university in domestic Korea and China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reveal the aspects of differences in the use of descriptive words after symbolic adverbs. Finally, based on the textbook analysis results, the government propose a plan to improve the Korean "symbol adverb + predicate" type for Chinese learners. However, this study was limit to being unable to present specific educational measures for Chinese learners in the form of "symbol adverb + predicate". This is expected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 subsequent studies, and lead to more specific discussions.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세밀한 느낌과 다양한 감정을 표현할 때 보다 정확하게 말할 수 있도록 한국어 '상징부사+용언'형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교재 개선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수 외국인 학습자들이 어휘를 습득할 때 개별 단어를 암기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어휘간의 결합을 중시하지 않으므로 한국어 어휘를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징부사는 고립되어 사용하지 않으며 특정 어휘와 자주 공기하기 때문에 개별 어휘가 아닌 '상징부사+용언' 형태로 가르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고는 상징부사 뒤에 오는 특정 어휘 또는 공통적인 의미자질을 가진 어휘 군과 자주 공기할 수 있는 것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에 상징부사 뒤에 서술어가 함께 사용되는 양상의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국내·외 대학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7종 교재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상징부사+용언'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경태(2009), 반복 합성 의성, 의태 부사의 말뭉치 빈도 연구 -한국어 학습용 4음절의 반복 합성 부사 선정을 위한 시론, 우리어문연구, 우리어문학회.
  2. 고영근(2006),「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3. 김윤경(2009), 한국어 '상징부사+용언'형 연어의 목록 선정과 교수 활동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홍법(1994), 한국어 상징어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딩리민(2017),「한국어 의성어.의태어의 교육 방안 연구-외국인 학습자 교육용 어휘선정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문정현(2012),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징부사+용언'형 연어 연구,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영수(2009), 상징부사의 연어적 공기관계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손남익(1998), 국어 상징부사어와 공기어 제약,「한국어의미학」3집, 한국어의미학회.
  9. 신지영(2008),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류+용언'형 연어 교육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유정(2015),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징부사의 연어구성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Liu,Huiwen(2014),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의성어와 의태어 교육 연구: 교육용어휘선정과 교육 방안 설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윤희원(1993), 의성어 의태어의 개념과 정의,「새국어생활」3-2, 국립국어연구원
  13. 장언청(2009),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중 의태어 대비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은주(2017), 한국어 교육에서의 의성어.의태어 결합형 연어교육 방안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한주연(2015), 연어 관계를 이용한 의성어.의태어 교육 방안 연구: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함윤희(2011),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상징부사 중심 연어 연구, 연세대하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17. 李镜儿(2007),《現代漢語擬聲語硏究》, 學林出版社
  18. 刘月华1993, (潘文娱,1993),「实用现代汉语语法」,外语教学与研究出版社
  19. 王力(1995),《現代语法》, 商务印书馆
  20. 夏征农(1999)「辞海」,上海辞书出版社.
  21. 朱德熙(1982),《语法讲义》, 商务印书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