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terpretive comparison of the education as event in The Structure of World History and Anti-Oedipus

『세계사의 구조』와 『안티 오이디푸스』에 나타난 사건적 교육의 해석적 비교

  • Received : 2021.03.02
  • Accepted : 2021.04.27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The thesis tries to compare The Structure of World History with Anti-Oedipus in the textual context, and to re-compare in the educational context. I mean by the education an event which contrasts starkly with an essence. It adopts 5W1H, a general reporting form of an accident or event, as the distinctive features at twice comparisons.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not evaluative but interpretive comparison. In the textual context, the thesis discusses, 1) as WHAT, the use of Marx from Kant vs. Nietzsche's point of view, 2) as WHO, the actual subjects of the exchanging human vs. the productive machine, 3) as WHEN/WHERE, the society of the modes of exchange vs. the modes of inscription, 4) as HOW, the revolutionay means of the simultaneous revolution of the world vs. the schizophrenic process, 5) as WHY, the ideal subjects of the associative human vs. the non-human of liberation of desire. In the educational context, the thesis discusses, 1) in the WHAT as educational way, autonomous morality vs. active power, 2) in the WHO as the affirmity of actual subjects, that of the ideal idea vs. that of real power, 3) in the WHEN/WHERE, as the in-between time-space of education, the incommensurable communicative situation of humans vs. the conflictive of machines, 4) in the HOW, as the educational method of achieving the ideal, the involuntary restoration of the already-had ideal vs. the now-have completion and break-through of the schizophrenic process, 5) in the WHY, as the aim of education, cosmopolitan vs. overman.

이 논문은 세계사적 단계들과 그 구분 원리를 제시하는 柄谷行人(가라타니 고진)의 『세계사의 구조』와 Deleuze와 Guattari의 『안티 오이디푸스』를, 사건을 보고하는 육하원칙이라는 공통항에 입각하여 해석하고 비교한다. 평가적 비교의 전 단계로서의 해석적 비교는 두 저서의 텍스트적 해석과 비교, 그리고 교육적 측면에서의 해석과 비교로 반복하여 두 번 시행된다. 이 논문에서 사용한 사건적 교육은 본성적 교육과 대비된다. 텍스트적 비교에 있어서, 1) 육하원칙의 What은 Kant와 Nietzsche적 Marx 활용, 2) Who는 교환하는 인간과 생산적 기계라는 현실적 주체, 3) When/Where는 교환양식과 기입양식이라는 사회, 4) How는 세계동시혁명과 분열증적 과정이라는 혁명의 방도, 5) Why는 연합적 인간과 욕망해방적 비인간이라는 이상적 주체이다. 교육적 비교에 있어서, 1) 교육의 경로로서의 What은 자율적 윤리성과 능동적 힘, 2) 교육의 현실적 주체의 긍정성으로서의 Who는 이념적 긍정성과 실재적인 힘의 긍정성, 3) 교육의 사이-시공간으로서의 When/Where는 개체들 사이의 공약불가능한 소통적 시공간과 기계들 사이의 갈등적 시공간, 4) 이미-있음의 이상에 도달하는 교육의 방법으로서의 How는 과거에 이미 있던 이상의 비자발적 회복과 현재에 이미 있는 과정의 완성과 돌파, 5) 교육의 목적으로서의 Why는 코스모폴리턴과 위버멘쉬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학년도 충북대학교 연구년제 사업의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김상혁(2018). 가라타니 고진의 사상체계에서 발전의 양상과 주체의 의미에 관한 교육론적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논문.
  2. 김영철(2013). 사건으로서의 교육: 육하원칙에 따른 「천 개의 고원」의 교육학적 해석. 교육철학연구, 35(2), 25-48.
  3. 김영철(2017). 가라타니 고진의 「세계사의 구조」에 나타난 교환양식과 교육의 양상. 아시아교육연구, 18(4), 539-561.
  4. 김영철(2021). Deleuze와 Guattari의 「안티 오이디푸스」에 나타난 기입양식과 교육의 양상.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6), 257-274.
  5. 김재인(2013). 들뢰즈의 비인간주의 존재론.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박사논문.
  6. 김종욱(2002). 용수와 칸트. 서울: 운주사.
  7. 김진(2004). 칸트와 불교. 서울: 철학과현실사.
  8. 박찬국(2013). 니체와 불교. 서울: 씨아이알.
  9. 윤수종(2014). 네그리, 하트의 <제국>, <다중>, <공통체> 읽기. 서울: 세창미디어.
  10. 柄谷行人(2004). トランスクリテイ-ク. 이신철 역(2013). 트랜스크리틱. 서울: b.
  11. 柄谷行人(2010). 世界史の構造. 조영일 역(2012). 세계사의 구조. 서울: b.
  12. 柄谷行人(2012). 哲學の起源. 조영일 역(2015). 철학의 기원. 서울: b.
  13. 柄谷行人(2013). 自然と人間. 조영일 역(2013). 자연과 인간. 서울: b.
  14. 中澤新一(2003). 愛と經濟のロゴス. 김옥희 역(2004). 사랑과 경제의 로고스: 물신숭배의 허구와 대안. 서울: 동아시아.
  15. Artaud, A. (1974). Van Gogh le suicide de la societe. 조동신 역(2003). 나는 고흐의 자연을 본다. 서울: 숲.
  16. Deleuze, G. (1962). Nietzsche et la philosophie. 이경신 역(2001). 니체와 철학. 서울: 민음사.
  17. Deleuze, G. (1962). Nietzsche et la philosophie. Tomlinson, H. (2006)(Trans.). Nietzsche and philosophy. New York: Columbia Univ. Press.
  18. Deleuze, G. (1968). Difference et repetition. 김상환 역(2004). 차이와 반복. 서울: 민음사.
  19. Deleuze, G., & Guattari, F. (1973). L'anti-Oedipe. 김재인 역(2014). 안티 오이디푸스: 자본주의와 분열증. 서울: 민음사.
  20. Deleuze, G., & Guattari, F. (1980). Mille plateaux. 김재인 역(2001). 천 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분열증 2. 서울: 새물결.
  21. Diamond, J. (1997). Guns, germs, and steel. 김진준 역(1998). 총, 균, 쇠. 서울: 문학사상사.
  22. Harari, Y. N. (2011). Sapiens. 조현욱 역(2015). 사피엔스. 파주: 김영사.
  23. Kant, I. (1784). Idee zu einer allgemeinen Geschichte in weltburgerlicher Absicht. 이한구 역(2009). 세계시민적 관점에서 본 보편사의 이념. 이한구 역(2009). 칸트의 역사철학(pp.23-45). 파주: 서광사.
  24. Kant, I. (1788).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백종현 역(2009). 실천이성비판. 서울: 아카넷.
  25. Negri, A., & Hardt, M. (2009). Commonwealth. 정남영, 윤광영(2014). 공통체. 고양: 사월의책.
  26. Nietzsche, F. (1887). Die flohliche Wissenschaft. 안성찬, 홍사현 역(2005). 즐거운 학문. 서울: 책세상.
  27. Nietzsche, F. (1883-1885). Also sprach Zarathustra. 정동호 역(2003).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니체전집 13). 서울: 책세상.
  28. Nietzsche, F. (1885-1887). Nachgelassene Fragmente Herbst 1885 bis Herbst 1887. 이진우 역(2005). 유고(1885년 가을-1887년 가을)(니체전집 19). 서울: 책세상.
  29. Spinoza, B. (1677). Ethica. Curley, E. (1996)(Trans.). Ethics. Penguin Books.
  30. Zizek, S. (2006). The parallax view. 김서영 역(2009). 시차적 관점. 서울: 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