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st chamber

검색결과 1,542건 처리시간 0.035초

고단 직립식 산란계 케이지내의 병계 및 폐사계의 유무를 자동 판정하기 위한 영상처리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Automatic Finding the Sick or the Dead Layers in the Multi-tier Layer Battery)

  • 장동일;임송수;정쌍양;이승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5-44
    • /
    • 2005
  • 본 연구는 병계 및 폐사계의 자동 판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하여 산란계의 질병증상 및 행동을 분석하였고 개발된 알고리즘으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병$\cdot$폐사계의 판정을 위한 적정 촬영시간을 찾아내기 위해 산란계의 먹이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한 결과 관심도가 $90\%$를 넘는 급이후 5분 30초 이내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외부의 빛을 차단하고 균일한 조도의 영상 얻기 위하여 illumination chamber를 설치하였으며 보조 조명장치를 부착하여 조도를 45 lx 로 균일하게 하였다. 3. 산란계의 영상을 추출하기 위한 RGB의 농도범위를 Red 0${\~}$140, Green 0${\~}$130, Blue 0${\~}$130 으로 하였을 때 가장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4. 병계 및 폐사계의 판별을 위하여 CCD 카메라로부터 얻은 이미지를 2진화하고 수축 및 팽창 처리를 하여 Noise를 제거하였으며, Label-ing 작업 후 중심점을 계산하여 정상인 산란계의 이미지를 제거하였다. 5. 개발된 알고리즘을 LABWindows/CVI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6. 개발된 감시시스템을 이용하여 실험 유형별로 4개의 케이지 산란계 20마리에 대하여 100회의 판별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A형의 실험에서 $92\%$의 정확도를 나타냈고, B형의 실험에서 $96\%$의 정확도를 나타냈다. 7. 개발된 영상처리알고리즘을 영상처리시스템에 적용하여 실험산란계사내의 고단직립식산란계케이지에서 실험을 실시한 결과 높은 성공률을 보였으며 앞으로 개발될 고단직립식산란계케이지의 원격자동화감시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적합한 영상처리알고리즘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Interactions between Climatic Conditions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n the Agronomic Traits of Soybeans Grown in Six Different Experimental Fields

  • Park, Myoung Ryoul;Cai, Chunmei;Seo, Min-Jung;Yun, Hong-Tae;Park, Soo-Kwon;Choi, Man-Soo;Park, Chang-Hwan;Moon, Jung Kyu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3호
    • /
    • pp.246-268
    • /
    • 2019
  •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a species of legume native to East Asia. The interactions between climatic conditions and genetic characteristics are known to affect the agricultural performance of soybean. Therefore,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ain elements affecting the agricultural performances of 11 soybean varieties/lines from China [Harbin ($45^{\circ}12^{\prime}N$), Yanji ($42^{\circ}53^{\prime}N$), Dalian ($39^{\circ}30^{\prime}N$), Qingdao ($36^{\circ}26^{\prime}N$)] and the Republic of Korea [Suwon ($37^{\circ}16^{\prime}N$), and Jeonju ($35^{\circ}49^{\prime}N$)]. The days to flowering (DTF) of soybeans with the e1-nf and e1-as alleles and the E1e2e3e4 genotype, except in 'Keumgangkong', 'Tawonkong', and 'Duyoukong', were relatively short compared to those of soybeans with other alleles. Although DTF of the soybeans was highly correlated with all climatic conditions [negative: precipitation, average temperature (AVT), accumulated temperature; positive: day-length (DL)], days to maturity and 100-seed weight of the soybean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y climatic conditions. The soybeans with a dominant Dt1 allele, except 'Tawonkong', had the longest stem length (STL). Moreover, STL of the soybeans grown in the test field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nly DL; however, the results of our chamber test that was conducted to complement the field tests showed that STL of soybean was positively affected by AVT and DL. Although soybean yield (YLD)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latitude and DL (except L62-667, OT89-5, and OT89-6), the response of YLD to the climatic conditions was cultivar-specific. Our results show that DTF and STL of soybeans grown in six different latitudes are highly affected by DL, and AVT and genetic characteristic also affect DTF and STL.

Evaluating and predicting net energy value of wheat and wheat bran for broiler chickens

  • Ning, Ran;Cheng, Zichen;Liu, Xingbo;Ban, Zhibin;Guo, Yuming;Nie, Wei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1호
    • /
    • pp.1760-1770
    • /
    • 2022
  • Objective: It is crucial to accurately determine the net energy (NE) values of feed ingredients because the NE system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formulation of broilers feed. The NE values of 5 wheat and 5 wheat brans were determined in 12-to 14-day old Arbor Acres (AA) broilers with substitution method and indirect calorimetry method. Methods: A total of 12 diets, including 2 reference diets (REF) and 10 test diets (5 wheat diets and 5 wheat bran diets) containing 30% of test ingredients, were randomly fed to 864 male AA birds with 6 replicates of 12 birds per treatment. These birds were used to determine metabolizable energy (ME) (8 birds per replicate) in the chicken house and NE (4 birds per replicate) in the chamber respectively at the same time. After a 4-d dietary and environment adaptation period, growth performance, energy values, energy balance and energy utilization were measured during the following 3 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further performed to generate prediction equations for NE values based o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ME values. The NE prediction equation were also validated on another wheat diet and another wheat bran diet with high correlation (r = 0.98, r = 0.75). Results: The NE values of 5 wheat and 5 wheat bran samples are 9.34, 10.02, 10.27, 11.33, and 10.49 MJ/kg, and 5.37, 5.17, 4.87, 5.06, and 4.88 MJ/kg DM, respectively. The equation with the best fit were NE = 1.968AME-0.411×ADF-14.227 (for wheat) and NE = -0.382×CF-0.362×CP-0.244×ADF+20.870 (for wheat bran). Conclusion: The mean NE values of wheat and wheat bran are 10.29 and 5.07 MJ/kg DM in AA broilers. The NE values of ingredients could be predict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and energy value with good fitness.

전자파차폐 및 방열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시트 성능측정 (Performance Measurement of The Hybrid Sheet with Dual Function of Electromagnetic-Shielding and Heat-Dissipating)

  • 안성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30-53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전자기기 등에서 전자파 차폐 및 방열소재로 많이 채택되는 동 메쉬 시트와 천연그라파이트 시트를 감압 접착제없이 합지시켜 개발된 차폐 및 방열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하이브리드시트의 성능 측정결과를 제시하였다. 객관적인 방열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2개의 다른 제품들과 수직 및 수평 열전도도를 각각 측정하여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전자파 차폐 성능은 CISPR 11규격에 따른 복사방출시험을 3m 전자파 무향실에서 진행하여 확인하였다. 수직 열전도도의 경우 제안된 하이브리드 시트가 방열코팅이 된 알루미늄 시트 대비 약 8.63배, 감압 접착제로 인조 그라파이트를 합지시킨 구리 시트에 비해 18.7배 높은 수준이였으며, 수평 열전도도는 인조 그라파이트를 합지시킨 구리 시트에 비해 약 0.64배, 방열 코팅된 알루미늄 시트에 대해서는 약 1.76배로 나타났다. 동일한 열원에서 각 시트들을 적용 후 측정한 결과에서는 제안된 하이브리드 시트가 열방출 기능이 가장 우수하였고 복사방출시험에서는 방사노이즈들이 상당 부분 제거되는 결과를 얻었다.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배면의 공동 탐사 (Detection of Cavities Behind Concrete Walls Using a Microphone)

  • 강성훈;이종섭;한우진;김상엽;유정동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8권12호
    • /
    • pp.19-28
    • /
    • 2022
  • 벽체 배면에 발생한 공동은 벽체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내 실험을 통해 콘크리트 벽체 배면에 발생한 공동을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철근이 매설된 콘크리트 판과 건조토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과 배면의 흙을 모사하였으며, 속이 빈 반구형 플라스틱 통을 콘크리트 판과 건조토 사이에 설치하여 벽체 배면의 공동을 모사하였다. 누설 탄성 표면파는 해머로 콘크리트 판을 타격하여 발생시켰으며,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획득한 마이크로폰 신호의 고유주파수를 분석하여 공동이 존재하는 구역을 평가하였다. 공동이 존재하는 구역에서는 콘크리트 판의 굽힘 진동 거동에 의하여 1차 고유주파수가 감소하였다. 또한 1차 고유주파수에 해당하는 진폭은 공동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하였으며, 철근에 인접한 측점에서는 더 큰 감소폭을 보였다. 본 연구는 마이크로폰이 콘크리트 벽체 배면에 발생한 공동의 위치를 평가하기 위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말뚝보강기초의 하중-침하량 거동 및 침하감소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Load-settlement Behavior and Settlement-reducing Effect of the Disconnected Piled Raft Foundation)

  • 이영생;홍승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95-104
    • /
    • 2006
  • 최근 경제적이고 안전한 기초 설계를 위하여 말뚝지지 전면기초(Piled raft) 또는 말뚝보강기초(Disconnected piled raft)에 대한 설계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연구가 미진한 말뚝보강기초의 거동과 그 효과를 실내 모형 시험을 대신하는 삼축압축시험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주문진 표준사와 탄소봉을 각각 지반과 말뚝으로 사용하여 삼축압축시험기에 보강 지반을 성형한 후 구속응력 상태에서 재하 시험을 실시하였다. 말뚝 보강에 따른 거동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말뚝 개수, 말뚝 직경 및 말뚝 길이 등의 변화를 주어 하중-침하 관계를 도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시험 결과 기초지반 면적에 대한 보강 말뚝 면적비를 보강률이라 정의할 때 말뚝 수평단면 보강률이 약 18%이고, 수직단면 보강률이 약 70%일 경우 침하량은 무보강시에 비하여 약 80%까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평단면 보강률 및 수직단면 보강률에 따른 말뚝보강기초 지반의 변형계수 변화는 각각 직선식 E(Mpa) = 8.3p(%)+121.2와 E(Mpa) = 1.8p(%)+105.5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말뚝보강기초에서 소구경, 소량의 말뚝 보강으로도 비교적 큰 기초지반 침하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딜라토미터 시험을 이용한 사질토의 상태정수 평가 (Evaluation of State Parameter of Sands Using Dilatometer Test)

  • 최성근;이문주;홍성진;이우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27-36
    • /
    • 2010
  • 사질토의 상태정수를 현장시험으로부터 추정하기 위해 실내 챔버에 조성된 부산사에 대해 딜라토미터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수평증폭계수($K_D/K_0$)와 상태정수($\Psi$)의 관계는 반대수축상에서 선형관계를 보였으나, 응력이력에 의한 잔류수평응력의 영향으로 과압밀 시료가 정규압밀 시료에 비하여 동일한 상태정수에서 수평증폭계수의 값이 작게 평가되었다. 유효응력으로 정규화된 딜라토미터 계수($E_D/\sigma_m'$)와 상태정수의 관계는 반대수축상에서 선형관계를 만족하였으며, 다소의 분산은 있으나 응력이력에 관계없이 하나의 관계식으로 표현 기능하였다. 다만 응력수준의 영향으로 과압밀 상태보다 정규압밀 상태의 분산이 약간 크게 발생되었으며 구속압이 증가할수록 관계곡선이 하향 이동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기존에 연구된 Ticino sand 및 Toyoura sand와 비교한 결과, $K_D/K_0-\Psi$ 관계는 혼재되어 분포하였으나, $E_D/\sigma_m'-\Psi$ 관계는 시료 압축성의 영향으로 Toyoura sand가 Ticino snad 및 부산사의 상부에 위치하였다.

다양한 접착제로 제조한 단열재용 저밀도섬유판의 특성(II) - 폼알데하이드·총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특성 및 연소 형상 - (Characteristics of Low Density Fiberboards Bonded with Different Adhesives for Thermal Insulation (II) - Formaldehyde·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ssion Properties and Combustion Shapes -)

  • 장재혁;이민;강은창;이상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580-587
    • /
    • 2017
  • 목섬유 단열재는 친환경 고단열성에 기인하여 저에너지 및 쾌적하고 안전한 주거 공간 형성을 위한 핵심 건축재료로 고려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접착제로 제조한 단열재용 저밀도섬유판의 폼알데하이드(HCHO)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방출 및 화염에 의한 연소 형상을 조사하였다. 멜라민 요소 폼알데하이드(MUF), 페놀 폼알데하이드(PF), emulsified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eMDI) 및 라텍스 수지 접착제 등으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 4종의 HCHO TVOC 방출 특성 및 연소 형상은 각각 챔버법과 화염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MUF, eMDI, 라텍스 수지 접착제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들은 Super $E_0$급의 우수한 HCHO 저방출 성능을 나타냈다. 반면 PF 수지로 제조된 저밀도섬유판은 $E_0$급 성능을 나타내었다. TVOC 방출량은 모든 저밀도섬유판이 국내 실내공기질 기준(이하 $400{\mu}g/m^2{\cdot}h$)을 만족하였으며, 기존 석유계 합성원료 기반의 단열재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그중에서도 특히 eMDI 수지 접착제로 제조한 경우에서는 HCHO 및 TVOC 방출량이 각각 $0.14mg/{\ell}$, $12{\mu}g/m^2{\cdot}h$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eMDI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에서 방출된 VOC의 성분을 조사한 결과, 톨루엔 성분($3{\mu}g/m^2{\cdot}h$)이 소량 검출되었다. 화염에 의한 연소시험에서는 MUF 수지 접착제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이 다른 경우에 비하여 연소 후 비교적 가장 양호한 형상을 나타내었다. HCHO 및 TVOC 방출 특성, 연소 형상을 고려하였을 때 단열재용 저밀도섬유판은 MUF 수지 접착제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중극 질량 분석기의 이온소스 오염이 이온전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tamination of Ion Source on Ionic Current of Quadrupole Mass Spectrometer)

  • 이규찬;박창준;김진태;오은순;홍기성;홍승수;임인태;윤주영;강상우;신용현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7-202
    • /
    • 2009
  • 사중극 질량분석기(Quadrupole Mass Spectrometer, QMS) 이온전류의 안정성은 진공공정 가스를 모니터링 하는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진공챔버에 질소가스를 주입하여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시간에 따른 이온전류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진공챔버는 측정하기 전에 잡음신호를 줄이기 위해 ${\sim}3{\times}10^{-9}\;Torr$ 까지 배기하였고, 두개의 이온소스를 측정했다; 하나는 오염된 것으로 갈색 또는 검은색을 띄고 있고 다른 하나는 새 것이다. 질소 압력 $1{\times}10^{-5}\;Torr$에서, 오염된 이온소스의 이온 전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빨리 감소했다. 대략 5.5 시간이 지난 후, 감소율은 새 것이 ${\sim}46%$이고 오염된 것은 ${\sim}84%$였다. 필라멘트 재질이 이온 전류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서 텅스텐 선의 반을 산화이트륨($Y_2O_3$)으로 코팅하여 필라멘트를 제작하였다. 유사한 이온전류 감소현상이 재질이 다른 두 필라멘트에서 나타났는데 이것은 필라멘트 재질에 의한 온도의 변화 즉 baking 효과로는 이온전류 감소의 원인을 개선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반적으로 이온전류의 감소율은 필라멘트 재질보다 이온소스의 오염과 더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다.

환자에게 주입된 18F-FDG 의한 선량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ose Assessment by 18F-FDG injected into Patients)

  • 김창주;김장오;정근우;신지혜;이지은;전찬희;민병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67-475
    • /
    • 2020
  • 본 연구는 PET 검사 중 방사성의약품인 18F-FDG에 대한 선량을 평가하여 환자와 보호자의 방사선에 대한 불안감을 완화하고, 의료기관 인력 및 공간 확보 문제, 건강검진으로 인한 무분별한 검사 진행을 최소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선량평가는 방사선조직가중치 중 높은 조직 세 부위인 경부(갑상선), 흉부(심장), 하복부(생식선) 위치에 열형광선량계(TLD)와 전자개인선량계(EP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GM 계수기와 전리함을 이용하여 공간선량률과 소변에서의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선량계인 TLD는 경부에서 0.0425±0.0277 mSv, 흉부에서 0.0485±0.0386 mSv, 하복부에서 0.0485±0.0436 mSv 측정되었고 방사선 민감도에 따른 심부선량 차이는 거의 없었다. EPD는 경부 위치에서 직후 0.942±0.141 mSv/h, 120분 후 0.192±0.031 mSv/h로 측정되었다. 흉부 위치에서 직후 0.516±0.085 mSv/h, 120분 후 0.128±0.040 mSv/h로 측정되었다. 하복부 위치에서 직후 0.468±0.091 mSv/h, 120분 후 0.105±0.021 mSv/h로 측정되었다. GM 계수기에서 공간선량률은 직후 0.041±0.005 mSv/h, 120분 후 0.014±0.002 mSv/h로 측정되었다. 전리함을 이용한 소변 내 방사능은 60분 후 0.113±0.24 MBq/cc, 120분 후 0.063±0.13 MBq/cc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18F-FDG를 투여하고 PET 검사가 끝나는 2시간 후 선량 재평가를 하고 귀가 시점을 정하도록 해야 하며 보호자와의 접촉도 피해야 한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충분한 설명과 함께 피폭선량 예상 값을 제공하여 무분별한 검사를 지양해야 하도록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실측 실험한 데이터를 통해 환자와 가족들이 방사선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를 바라며, 방사선 종사자의 피폭관리 시스템과 제도적 개선을 통해 의료방사선 발전에 힘이 되리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