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restrial orchid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초

함백산의 난초과 식물의 뿌리에서 난균근균의 분리 및 동정 (Identification of Orchid Mycorrhizal Fungi Isolated from Terrestrial Orchids in Mt. Hambaek, Korea)

  • 이봉형;한한결;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9-13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함백산에서 제비난초속(Platanthera) 난초인 제비난초(Platanthera chlorantha), 산제비난초(Platanthera mandarinorum) 2종과 은대난초속(Cephalanthera) 난초인 금난초 (Cephalanthera falcate), 은대난초(Cephalanthera longibracteata) 2종을 채집하였고, 식물 뿌리에서 균근균을 순수 분리 하였다. 분리한 균주는 형태적인 관찰과 난균근균 특이적 primer 인 ITS1-OF 와 ITS4-OF를 이용하여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을 통해 동정하였다. 그 결과 P. chlorantha에서 분리된 균주는 Epulorhiza anaticula로 동정되었는데, 이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이며, 그 외 각 난초에서 Ceratobasidium sp., Tulasnella calospora, Tulasnella sp. 등을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한국에 자생하는 5종의 지생란에서 분리한 난균근균의 동정 (Identification of Orchid Mycorrhizal Fungi Isolated from Five Species of Terrestrial Orchids in Korea)

  • 염재영;한한결;정재민;조용찬;이병천;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32-135
    • /
    • 2012
  • 제주도와 완도에서 채집한 총 5종의 자생란의 뿌리에서 미동정 1종을 포함한 총 4종의 균을 순수분리하였으며, 추출한 DNA를 ITS지역을 증폭하여 분자적 동정하였다. 이중 3종이 Tulasnella속이었으며, 1종은 Sebacina vermifera로 일반적인 난균근균이었다. 제주도와 완도에서 모두 채집한 보춘화(Cymbidium goeringii)의 경우 제주도에서 채집한 뿌리에서는 Sebacina vermifera가, 완도에서 채집한 뿌리에서는 Tulasnella calospora가 분리되어 같은 종의난과 식물에서도 서식지에 따라 공생하는 난균근균이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울릉도의 자생란과 공생하는 난균근균의 분자생물학적 동정 (Molecular Identification of Orchid Mycorrhizal Fungi of Native Orchids in Ulleung Island)

  • 염재영;정재민;이병천;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10
    • /
    • 2011
  • 울릉도에서 채집된 6종의 지생란의 뿌리에서 난균근균을 확인하였다. 난균근균의 감염이 확인되었다. 각 종의 뿌리로 부터 분리된 난균근균이 분자적인 분석을 통하여 확인되였다. 뿌리로부터 분리된 균에서 DNA를 추출하여, 담자균류에 특이적인 프라이머인 ITS1-OF와 ITS4-OF를 사용하여 ITS 지역을 증폭한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두 식물의 뿌리에 공생하는 난균근균을 동정하였다. 분자적인 분석을 통해 Tulasnellaceae 와 Ceratobasidaceae에 속하는 난균근균이 확인되었다.

멸종위기 흰복주머니란 종자발아에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on the asymbiotic germination of white lady's slipper orchid(Cypripedium macranthos Sw. albiflorum))

  • 이정관;권영희;김희규;김경옥;박재성;정미진;손성원;서강욱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3-53
    • /
    • 2019
  • Cypripediums, popularly called lady's slippers or moccasin flowers, are the showiest and most sought after hardy terrestrial orchids, collected and grown by orchid and alpine plant enthusiasts alike. In Korea, 4 species of cypripedium are reported as Cypripedium japonicum, C. macranthos, C. guttatum, and C. calceolus. We had already reported the feasibilities of C. macranthos and C. guttatum with in vitro germination methods from immature seeds. The seeds of white lady's slipper orchid (Cypripedium macranthos Sw. alba) were collected 65 days after pollination in 2018. The green pods were sterilized with flame and sowed immediately on the POM(Phytomax orchid maintenance media(R), Sigma) supplemented with BAP 0, 0.5, 1.0 mg/L and NAA 0, 1, 2mg/L. The germination of seed was observed 90 days after sowing, and the plantlets were subcultured to the same medi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otocorm with 1~2, 2~3, 3~4, 5~6, 7~8mm. The time of the subculture to the new media seems to be critical factors of forming rhizoids which is the hairy root of the cypripediums. As a results, the protorms of the white lady's slipper orchid was successfully germinated in the POM media supplemented BAP 0.5 and NAA 1.0 mg/L. The roots and rhizoids were formed in 5~6mm protocorms subculture over 95% survival ratio. We also tried to subculture to liquid medium without activated charcoal, however the browning or malformation of the roots was observed in the root. The formation of shoots from the protocorm was effectively enhanced in the POM media with non-additives of plant growth regulators. These results indicate the possibility of high and stable production and practical industrialization of endangered white lady's slipper orchids.

  • PDF

광릉요강꽃과 복주머니란의 뿌리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Roots of Cypripedium japonicum and C. macranthum in Korea)

  • 이봉형;한한결;권혜진;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0-2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포천과 강원도 춘천에 자생하는 광릉요강꽃과 강원도 삼척에서 자생하는 복주머니란의 뿌리에서 내생균을 순수 분리하였고, 분리된 균주의 ITS 부위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계통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릉요강꽃에서는 11종의 균주가 분리되었고, 복주머니란에서는 15종의 균주가 분리되었으며, Leptodontidium orchidicola, Humicola fuscoatra var. fuscoatra, Umbelopsis dimorpha 등의 균주는 공통으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균주 중 Oidiodendron echinulatum, Pseudogymnoascus roseus, Geomyces vinaceus, Cryptosporiopsis ericae, Umbelopsis dimorpha, Chaetomium cupreum 은 국내 미기록종으로 확인하였다.

Effects of NaOCl treatment on in vitro germination of seeds of a rare endemic plant, Oreorchis coreana Finet

  • Bae, Kee-Hwa;Ko, Myoung Suk;Lee, Mi Hyun;Kim, Nam Young;Song, Jae Mo;Song, Gwanpil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43-48
    • /
    • 2013
  • Oreorchis coreana Finet is threatened globally by over-collection from its natural habitats for horticultural purposes. Its rarity in nature makes this plant one of the most endangered species in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dium hypochlorite (NaOCl) on orchid seed viability and seed germination. An in vitro bioassay swelling test using immature seeds was compared with a standard chemical procedure using triphenyl tetrazolium chloride (TTC) to test seed viability. In general, the bioassay was more appropriate for estimating embryo viability after a prolonged pre-treatment (more than 1 h) in 1% NaOCl, a surface sterilant often used to enhance germination of seeds of terrestrial plants. Therefore, an efficient method for investigating in vitro swelling of immature seeds is urgently needed. We established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viability and swelling of O. coreana seeds via in vitro examination of immature seeds. Treatment of immature seeds with 1% NaOCl for 10 min greatly enhanced the extent of swelling of immature zygote embryos when compared to untreated seeds. These data obtained here appear to be comparable to viability and swelling that occurs in O. coreana seeds via asymbiotic germination.

Asymbiotic seed germination and in vitro propagation condition in Calanthe discolor Lindl.

  • Kwon, Huyk Joon;Shin, So Lim;Bae, Kee Hwa;Kim, Soo-Young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68-75
    • /
    • 2017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dium hypochlorite (NaOCl) and culture medium on embryo swelling and germination of Calanthe discolor Lindl., and established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swelling and protocorm formation of C. discolor seeds via in vitro examination of immature seeds. Treatment of immature seeds with NaOCl greatly enhanced the extent of embryo swelling and protocorm formation of immature zygote embryos compared to seeds without NaOCl treatment. The effects of the culture media were also evaluated with regard to embryo swelling and protocorm formation of in vitro cultured seeds with and without NaOCl treatment. Additionally, the effects of white fluorescent light and red and blue LEDs lights on seedling growth in in vitro culture were examined. The most suitable condition for seedling growth after 12 weeks of culture was the red LEDs light with POM medium. These results show effective asymbiotic germination and growth of C. discolor.

한국남부 자생 닭의난초 (난초과)의 시 공간에 따른 결실률 변이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n fruit set in Epipactis thunbergii (Orchidaceae) from southern Korea)

  • 정미윤;정명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53-361
    • /
    • 2015
  • 난초 열매의 결실의 시 공간적 변화가 장기적으로 개체군의 생존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수 세대에 걸쳐 유전적 다양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화밀을 분비하는 육상 난초인 닭의난초를 대상으로 자연 조건에서 시 공간의 결실 수준을 조사하고 교배계를 파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자들은 전라남도 해남군 징의리 해안 1.5 km 걸쳐 위치한 4곳 집단에서 2년간의 조사 기간 동안 수분실험을 행하였다. 2년 동안 결실률이 집단 내 작은 슈트의 모임인 패치 내에서 유사했다. 대조적으로, 패치 간에는 결실룰이 유의 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큰 화서를 지닌 식물이 작은 화서를 지니는 식물보다 훨씬 더 많은 열매 생성을 보였다. 닭의난초의 결실률은 2 년의 조사 기간 동안 비슷하였으나(14.1%) 연구된 보상을 주는(rewarding) 난초84종의 평균 결실률(37.1%) 보다 낮았다. 인위적인 자가 수분(90.5-95.2%), 인위적인 인화(隣花)수분(geitonogamy: 94.7-95.0%), 그리고 인위적인 타가 수분(91.3-91.4%)등에 의해서는 결실률이 상당한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꽃피기 전 수술을 제거 한 경우에 열매가 전혀 맺히지 않았으며 꽃 스스로 자동으로 수분이 일어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닭의난초는 자가화합성이고, 열매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수분매개체인 곤충류가 필요하며, 2년간 조사 기간 중 징의리 집단들의 환경이 비슷하였음을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결실률이 시간보다 공간적으로 더욱 뚜렷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Evaluation of the taxonomic rank of the terrestrial orchid Cephalanthera subaphylla based on allozymes

  • CHUNG, Mi Yoon;SON, Sungwon;CHUNG, Jae Min;LOPEZ-PUJOL, Jordi;YUKAWA, Tomohisa;CHUNG, Myong Gi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18-126
    • /
    • 2019
  • The taxonomic rank of the tiny-leaved terrestrial orchid Cephalanthera subaphylla Miyabe & $Kud{\hat{o}}$ has been somewhat controversial, as it has been treated as a species or as an infraspecific taxon, under C. erecta (Thunb.) Blume [C. erecta var. subaphylla (Miyabe & $Kud{\hat{o}}$) Ohwi and C. erecta f. subaphylla (Miyabe & $Kud{\hat{o}}$) M. Hiro]. Allozyme markers, traditionally employed for delimiting species boundaries, are used here to gai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taxonomic status of C. subaphylla. To do this, we sampled three populations of five taxa (a total of 15 populations) of Cephalanthera native to the Korean Peninsula [C. erecta, C. falcata (Thunb.) Blume, C. longibracteata Blume, C. longifolia (L.) Fritsch, and C. subaphylla]. Among 20 putative loci resolved, three were monomorphic (Dia-2, Pgi-1, and Tpi-1) across the five species. Apart from C. longibracteata, there was no allozyme variation within the remaining four species. Of the 51 alleles harbored by these 17 polymorphic loci, each of the 27 alleles at 14 loci was unique to a single species. Accordingly, we found low average values of Nei's genetic identities (I) between ten species pairs (from I = 0.250 for C. erecta versus C. longifolia to I = 0.603 for C. falcata vs. C. longibracteata), with C. subaphylla being genetically clearly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species (from I = 0.349 for C. subaphylla vs. C. longifolia to 0.400 for C. subaphylla vs. C. falcata).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C. subaphylla is not genetically related to any of the other taxa of Cephalanthera that are native to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C. erecta. In a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CoA), C. subaphylla was positioned distant not only from C. falcata, C. longibracteata, and C. longifolia, but also from C. erecta. Finally, K = 5 was the best clustering scheme using a Bayesian approach, with five clusters precisely corresponding to the five taxa. Thus, our allozym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C. subaphylla merits the rank of species.

금새우난초(Calanthe striata f. sieboldii Decne. ex Regel)종자의 비공생 발아 및 신초증식 (Asymbiotic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Calanthe striata f. sieboldii Decne. ex Regel)

  • 배기화;김수영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239-244
    • /
    • 2015
  • 본 연구는 자생 난초과식물인 금새우난초의 기내 비대배 유도, 발아 및 배직경에 미치는 몇 가지 영향(NaOCl, 배지, 식물생장조절제)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 NaOCl을 30분간 처리한 후 POM배지에 배양할 경우, 비대배 유도는 28.3%, 발아율은 54.8%, 배직경은 $205.8{\mu}m$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NaOCl 무처리 종자를 POM배지에 배양할 경우, 비대배 유도는 8.5%, 발아율은 13.4%, 배직경은 $14.6{\mu}m$로 조사되었다. 또한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1.0 mg/L의 BA 처리구(95.6%)의 발아율은 대조구(54.5%)에 비해 1.75배 높게 조사되었다. AC와 sucrose의 처리 농도가 기내 식물체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엽장은 10 g/L의 sucrose 처리구에서 6.8 cm로 가장 길었고, 대조구는 3.3 cm로 가장 짧았다. 근장은 50 g/L의 sucrose 처리구에서 5.8 cm로 가장 길었고, 대조구는 1.7 cm로 가장 짧았다. 생중량과 건중량은 AC와 sucrose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2~5배 이상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금새우난초의 기내 발아 및 증식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에 관해 구체적인 결과를 제시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향후 자생 난초과식물의 증식 및 보존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제공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