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mites repellen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Citronella 및 lemongrass oil의 생리활성 및 단회 경구 투여 독성시험 (Biological activities and acute oral toxicity of citronella and lemongrass oil)

  • 박지용;김진윤;장승희;김해중;이승진;박승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3-20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termite repellent effects of citronella oil (CiO) and lemongrass oil (LO). When th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S.) aureus with various levels of antibacterial resistance were tested, a 0.05% concentration of CiO and LO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all tested S. aureus strains.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effect demonstrated that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iO was 2~3 times greater than that of LO. Among trial products made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CiO and LO, a CiO : LO ratio of 6 : 4 had the most potent termite repellent effects. Assessment of acute toxicity of the trial product showed that the $LD_{50}$ was more than 2,000 mg/kg. Based on the above results, CiO and LO have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termite repellent activities. Therefore, both compounds could be potential termites repellent reagents.

Resistance to Subterranean Termite (Reticulitermes speratus) in Wood Species Used as Members in South Korea's Major Wooden Building Heritage

  • Ik-Gyun IM;Gyu-Seong HA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5호
    • /
    • pp.405-422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istance of domestic wood species used as wood members in general wood construction and Korean wood cultural properties to the termite Reticulitermes speratus using no-choice and two-choice tests. The results of the no-choice experiment confirmed that hardwood has higher termite resistance than that of softwood. In addition, R. speratus prefers softwood, including Abies holophylla, which has low density, is easy to feed on, and does not contain repellent extracts. In a two-choice test, Zelkova serrata was found to be the most termite-resistant wood species used in wooden cultural building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wood extraction methods and their components on termite resistance. The cold-water extraction of softwood increased the feeding activity of termites; however, the cold-water extraction of hardwood had little effect on the feeding activity of termites. In natural environments with repeated exposure to moisture, such as rainfall, water-soluble extracts present in wood species are relatively more likely to dissolve and removed, making softwood more likely to be damaged by termites than hardwood. Untreated Quercus variabilis showed an extremely weak feeding activity of termites compared with that in other wood species; however, feeding termites with the alcohol-benzene extract of Q. variabilis had no inhibitory effect on their feeding activity.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high density of Oriental cork oak wood inhibits the feeding activity of R. speratus. In contrast, the alcohol-benzene extracts of Z. serrata, Prunus sargentii, and Castanea crenata showed a strong inhibition of the feeding activity of termites.

목조건축물의 흰개미 방제에 대한 국외 현황조사(I)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of the present situation on the termite control of wooden structures(I) - Focused on the case of US)

  • 정소영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2호
    • /
    • pp.123-136
    • /
    • 2011
  • 우리나라에는 지중흰개미의 일종인 큐슈흰개미 1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흰개미 피해가 발견되었을 경우 훈증처리, 토양처리, 방충방부처리, 흰개미 군체제거시스템 등 4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방제하고 있다. 그러나 점차적으로 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흰개미 피해가 심각한 미국, 일본 등 다른 나라의 피해 현황 및 방제 방법에 대해서도 조사할 필요가 있다. 본 고에서는 1950년경부터 흰개미 피해가 발생한 미국을 중심으로 흰개미 분포 현황 및 방제 체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에는 지중흰개미, 건재흰개미, 습재흰개미 등 다양한 종류의 흰개미가 분포하고 있어, 우리나라에 비해 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더 심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흰개미 피해를 조사하고 적절한 방제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 과정은 흰개미 피해 조사, 화학적 방제처리(토양 약제 처리, 흰개미 군체제거시스템), 건축물 유지보수, 주기적인 모니터링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분포하는 흰개미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흰개미 피해로부터 방제작업을 진행할 때도 흰개미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각 다르게 적용된다. 지중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건축물에 대한 기피성 또는 비기피성 살충제를 이용하여 처리하거나 흰개미 군체제거시스템을 이용하여 처리한다. 반면, 건재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훈증처리,열처리 등을 통해 방제하고 있다.

  • PDF

흰개미 토양처리제 효과 평가 및 시험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Soil Treatment Termiticide)

  • 임익균;정선혜;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7-186
    • /
    • 2019
  • 국내 목조문화재 흰개미 방제법 중 하나인 토양처리법에 적용되는 약제는 우천이나 지중의 수분 거동에 의해 방의 효력 저하가 진행되어 재처리가 요구되지만 현재 해당 기준 및 평가 방안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약제의 방의 효력 평가 및 재처리 기간 산정을 위한 기초 실내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약제 방의력 평가를 위해 흰개미에 대한 기피성 및 접촉 독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번 실험에 사용된 약제는 비기피성이며, 접촉에 의한 사멸이 확인되었다. 이후 모의 강우 실험과 토양 관통 시험을 통해 토양 내 약제의 방의 효력 임계점을 산정하는 지속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해당 자료를 기상 자료와 비교하여 재처리 기간을 산정하였다. 지속성 평가 결과, 약 160~170 mm 이상의 지속적인 수분 노출 이후에는 약제 처리 토양에 대한 흰개미의 천공이 확인되었다. 해당 결과를 최근 5년간 기상 자료와 비교한 결과, 본 실험에서 사용된 농도의 약제는 우리나라 장마철과 여름철 집중호우 기간이 지난 9월 이후 처리할 경우 약 1년 정도 방의 효력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향후 국내 흰개미 방제를 위한 토양처리용 약제의 선정 매뉴얼 작성과 재처리 기간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크로파 가열 목재의 방염·방충 복합 보존처리 특성 (Characteristics of Flame Retardent and Mothproof Conservation of Microwave Heated wood)

  • 김종근;박철우;윤태호;임남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234-246
    • /
    • 2013
  • 목조주택의 골조 및 실내 외 마감용으로 사용되는 침엽수 구조재를 대상으로 방염 방충 보존처리제가 혼합된 약제에 마이크로파 가열 후 열기를 지닌체 침지하여 복합적인 기능화를 부여한 후 목재의 건조 스케줄, 방염 시험에 의한 화재 저항성과 흰개미에 의한 내충해성, 혼합 약제의 침투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마이크로파로 3 kW로 5분 급속 가열된 시험편은 목표 온도 및 함수율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산염과 헤테로고리화합물계가 혼합된 약제에 120분 침지할 경우 가장 높은 중량 증가율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염 후 처리 물품 시험을 실시한 결과 인산염과 혼합된 약제는 방염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흰개미 투입 후 7일 사충율을 확인한 결과 인산염과 헤테로고리화합물계 혼합 약제 침투 시험편의 경우 96% 이상 높은 사충율을 나타냄으로서 가장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재 내부로 약제 침투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목재 세포내부 전면에 있어 혼합약제가 침투된 것으로 나타나 목재의 방염성 및 방충 저항성 등에서 우수한 성능의 발현은 혼합 약제의 균일한 침투때문으로 판단된다.

전통 염색 재료를 활용한 기능성 종이 연구 (Research on Functional Paper by using Traditional Dyestuffs)

  • 이선조;이혜윤;조경실;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9-436
    • /
    • 2010
  • 전통 천연 염색지를 이용한 보존 보관용 재료 개발을 위하여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15종의 염재에서 염료를 추출하여 세균 3종과 진균 2종에 대하여 paper disk 방법으로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매염제 3종을 평가하고, 매염제와 염재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위 결과로부터 항균성이 우수한 9종의 염료를 매염제와 혼합하여 염색지를 제작하였다. 염색지 중 안개나무, 황련, 황벽, 오배자 신나무 복합매염지에서 진균에 대한 항균성이 확인되었으며, 흰개미를 이용한 방충력 실험에서는 황련, 황벽 염색지에서 방충력이 확인되었다. 또한 염색지를 이용하여 금속과 같은 타재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황련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다. 그리고 안개나무, 황련, 황벽3종의 염색지에서 유해가스 제거능력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염색지를 활용하여 문화재 보존용 보관상자로 제작할 경우 다양한 유기물 문화재의 생물피해 방제에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간에서 기능성 마감재로서의 활용성이 기대된다.

Pseudomonas koreensis에 의한 잡초제어활성물질인 HCN 생성과 이 균주의 식물성장 촉진 및 흰개미 살충 활성 (Production of HCN, Weed Control Substance, by Pseudomonas koreensis and its Plant Growth-Promoting and Termiticidal Activities)

  • 유지연;장은진;박수연;손홍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771-780
    • /
    • 2018
  • To develope a microbial weed control agent, HCN-producing bacteria were isolated,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 selected strain of WA15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koreensis by morphological, cultural, biochemical and 16S rRNA gene analyses. The conditions for HCN production was investigated by a One-Variable-at-a-Time (OVT) method. The optimal HCN production conditions were tryptone 1%, glycine 0.06%, NaCl 1%, and an initial pH and temperature of 5.0 and $30^{\circ}C$, respectively. The major component for HCN production was glycine. Under optimal conditions, HCN production was about 3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basal medium. The WA15 strain had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indoleacetic acid that was associated with the elongation of plant roots and siderophore and ammonification inhibiting fungal growth, and produced hydrolytic enzymes, such as cellulase, pectinase and lipase. The strain was able to inhibit the growth of phytopathogenic fungi, such as Rhizoctonia solani, Botrytis cinerea and Fusarium oxysporum, by the synergistic action of volatile HCN and diffusible antimicrobial compounds. A microscopic observation of R. solani that was teated with the WA15 strain showed morphological abnormalities of fungal mycelia, which could explain the role of the antimicrobial metabolites that were produced by the WA15 strain. The volatile HCN produced by the WA15 strain was also found to have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termites. Our results indicate that Pseudomonas koreensis WA15 can be applied as a microbial agent for weed control and also as a termite repellent. Furthermore, it could be applied as a microbial termiticidal agent to replace synthetic insectici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