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via problem solving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7초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해결 교육 재고 (Reconsideration of Teaching Mathematics Problem Solving in Elementary School)

  • 정은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3-141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해결 교육은 어떠했는지를 반추해보기 위해 그동안 우리나라 초등학교 문제해결 지도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문제해결이 어떻게 다루어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 제4차 교육과정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 현재까지 문제해결이 계속 강조되어 왔으나, 그에 따른 교과서에서는 교육과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6차 교육과정에서 문제해결에 대한 교육이 양적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다가 그 이후 조금씩 약화되고 있으며,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교육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제해결을 통한 지도는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수학적 문제해결연구 (A Study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Korea)

  • 김부윤;이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2호
    • /
    • pp.137-157
    • /
    • 2003
  •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has had the largest focus in the spread of mathematical topics since 1980. In Korea, most of the articles on problem solving appeared 1980s and 1990s, during which there were special concerns on this issue. And there is general acceptance of the idea that the famous statement "Problem solving must be the focus of school mathematics"(NCTM, 1980, p.1) in Agenda for Action,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f Korea. In a historical review focusing on the problem solv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we can infer that the primary goal of mathematics instruction should be to have students become competence problem solver. However, the practices of mathematics classroom and the trends of research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have oriented to ′teaching about problem solving′ and ′teaching for problem solving′. The issue of teaching via problem solving′ remain unsolved in the community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we need much more attention to this issue.

  • PDF

수학적 문제 해결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지도의 실제 조사 (A Survey on the Teachers' Belief about Teach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Teaching Practice)

  • 조완영;김남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4권1호
    • /
    • pp.51-61
    • /
    • 2000
  •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has been the focus of 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over past 30 years. But nowadays problem solving is being beginning to be of less interest to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ers. Moreover, mathematics teachers have an urgent need to be provided with well-documented informations about "teaching of(expecially, via) problem solving" though following research issues :ⅰ) the role of the teacher in a problem-centered classroom, ⅱ) what actually takes place in problem-centered classrooms, and iii) groups and whole classes' problem solving rather than individuals. This paper intends to give some informations about practice of teach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elementary school.ry school.

  • PDF

초등학생들의 도형의 둘레와 넓이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의 분석 (An analysis of understand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meter and area of geometric figur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6권2호
    • /
    • pp.85-9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meter and area in geometric figures. In this study, the questionaries were used. In the survey, the subject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cheon city. They were 86 students of the fifth grade, 86 of the sixth. They were asked to solve the problems which was designed by the researcher and to describe the reasons why they answered like tha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ing; Students have misbelief about the concep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meter and area in geometric figures. Therefore, 1 propose the method fur teach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meter and area in geometric figures. That is teaching via problem solving.. In teaching via problem solving, problems are valued not only as a purpose fur learning mathematics but also a primary means of doing so. For example, teachers give the problem relating the concepts of area and perimeter using a set of twenty-four square tiles. Students are challeng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small tiles needed to make rectangle tables. Using this, students can recognize the concep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meter and area in geometric figures.

  • PDF

학습 단계별 수학사 활용 학습을 통한 수학 수업 개선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Mathematics via the Use of the Mathematical History based on the Learning Stages)

  • 이정재;윤상현;추신해;심수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0권1호
    • /
    • pp.57-70
    • /
    • 2007
  • 수학사 관련 교수 학습 자료 개발에만 치중하였고 개발한 교수 학습 자료는 학습내용에 알맞은 수학사나 수학자의 일화로 실제 수업시간 중 흥미유발 자료로 사용하는데 그쳤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사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문제 파악, 문제추구 및 해결, 적용 발전, 과제 파악 등의 각 학습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학사 자료를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수학 사업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PDF

수학교육에서 시각화와 직관 (Visualization and Intui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 이대현;박배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71-79
    • /
    • 2002
  • Visualization have strong driving force that enables us to recognize abstract mathematics by direct and specific method in school mathematics. Specially, visual thinking helps in effective problem solution via intui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So,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visualization, the role of visualization in intuitiv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he methods for enhancement of intuition using visualiz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Visualization is an useful tool for illuminating of intuition in mathematics problem solving. It means that visualization makes us understand easily mathematical concepts, principles and rules in students' cognitive structure. And it makes us experience revelation of anticipatory intuition which finds clues and strategy in problem solving. But, we must know that visualization can have side effect in mathematics learning. So, we have to search for th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which can increase students' comprehension about mathematics through visualization and minimize side aspect through visualization.

  • PDF

수학적 모델링 학습이 문장제 해결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Mathematical Modeling Learning on the Word Problem Solving)

  • 신현용;정인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5권2호
    • /
    • pp.107-134
    • /
    • 2012
  • 수학적 모델링은 일반적으로 수학적인 방법으로 해석되고 이해되어야 하는 실제적인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상황에 대한 적절한 수학적 모델을 구성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문장제는 실제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 모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 이상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세계의 맥락을 고려해야 하는 진정성있는 문장제를 바탕으로 한 수학적 모델링 학습이 문장제 해결 행동, 문장제 해결에서 실생활 경험을 활용하는 능력, 문장제에 대한 신념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문장제에 대한 수학적 모델링 학습은 직접번역 접근(DTA) 대신에 의미기반 접근(MBA)으로 문장제 해결 행동을 이끄는데 효과적이었으며, 문장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실생활 맥락을 고려하는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수학적 모델링 학습은 문장제에 대한 긍정적인 신념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에서 문장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수학교육에서 시각적 표현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Visual Represent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 이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5호
    • /
    • pp.637-646
    • /
    • 2003
  • Visual representation is very important topic in Mathematics Education since it fosters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principles and rules and helps to solve the problem. S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clarify the various meaning and roles about the visual representation. For this purpose, I examine the status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Since the visual representation has the roles of creatively mathematical activity, we emphasize the using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Next, I examine the errors in relation to the visual representation which come from limitation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It suggests that students have to know conceptual meaning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when they use the visual representation. Finally, I suggest some examples of problem solving via the visual representation. This examples clarify that the visual representation gives the clues and solution of problem solving. Students can apprehend intuitively and easily the mathematical concepts, principles and rules using the visual representation because of its properties of finiteness and concreteness. So, mathematics teachers create the various visual representations and show students them. Moreover, mathematics teachers ask students to design the visual representation and teach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ceptual meaning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 PDF

수학적 문제해결에서 상호작용을 통한 표상의 변환 과정 분석 (An Analysis of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Representation through Interaction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 이민애;강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27-450
    • /
    • 2012
  • 학생들이 사고를 조직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의사소통을 하는 데 표상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수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내는 표상과 상호작용을 통한 표상의 변환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의 수학적 표상을 바르게 이해하고 올바른 표상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얻으려 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한 가지 표상 방법보다는 두세 가지의 표상 방법을 사용하며, 학생-학생 간, 교사-학생 간의 상호작용은 표상의 정교화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레고 NXT 로봇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프로그래밍 언어 수업 방안 - 미로 찾기 문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Programming Language Class with Lego NXT Robot for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 Centered on Maze Problem -)

  • 홍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69-7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레고 마인드스톰 NXT라는 로봇을 활용하여 프로그래밍을 재미있게 수업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모색하였다. 수업의 목표는 단편적인 지식 습득이 아닌 미로찾기라는 문제해결을 목표로 한다. 이 로봇은 컴퓨터에 설치된 NXT-G라는 GUI와 USB를 통해서 통신을 하도록 되어있다. 이 GUI는 텍스트 기반 방식이 아닌 아이콘 기반 방식 프로그래밍 도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16주를 초급 단계, 중급 단계, 고급단계로 나누어서 계획하였다. 초급 단계에서는 GUI 사용 방법과 로봇의 센서들의 작동방법을 익히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중급 단계에서는 저(低)난이도 미로를 설계하여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로 구성하였다. 고급 단계에서는 중(中)난이도와 고(高)난이도의 미로를 설계하여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로 구성하였다. 모든 미로찾기 문제는 알고리즘 작성, 순서도 작성, 스택을 이용한 프로그래밍이라는 3가지 과정을 거치도록 구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