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effect

검색결과 1,637건 처리시간 0.026초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교직인성, 그릿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tivation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Teaching Personality, Grit on Flourish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민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957-969
    • /
    • 202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교직인성, 그릿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경기도 H시에 소재한 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112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각 변인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교직인성, 그릿은 행복플로리시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의 크기는 교직인성이 나머지 두 변인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직선택동기, 교직인성, 그릿의 하위요인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능동적 동기 및 수동적 동기, 보편인성, 노력의 꾸준함 요인이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교직선택동기 및 인성, 그릿의 향상을 통한 행복플로리시 증진 프로그램 설계 및 이의 검증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수산·해운계열 고등학교 교사의 교수행동유형이 학생의 전공교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Behavior Styles of Fisheries & Maritime High School Teacher on Students' Satisfaction in Major Subject Classes)

  • 조진호;최영선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2호
    • /
    • pp.129-143
    • /
    • 2018
  • 본 연구는 수산 해운계열 고등학교 교사의 교수행동유형이 학생들의 전공교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산 해운계열 고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첫 번째 연구문제인 상관분석 결과 교사의 교수행동유형과 학생의 수업만족도 간의 관계는 모두 긍정적 기여를 하고 있다. 수산 해운계열 고교의 수업 중 목표 달성과 교수학습 개선을 위해서는 학생 개별 성향을 파악한 후 학생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수기법을 사용하여 교사의 명확한 진행을 통해 수업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회귀분석 결과 수산 해운계고 교사의 교수행동유형은 학생의 수업만족도에 일부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성 교수행동유형은 내용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방법만족에 대해서는 상호작용 교수행동유형, 다양성 교수행동유형, 개별화 교수행동유형이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평가만족에 대해서는 명확성 교수행동유형, 다양성 교수행동유형이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산 해운계열 고교 교사는 내용적 수업만족은 학생별 교과 내용의 이해차이를 고려한 교수방법의 적용하고, 방법적 수업만족의 경우 상호작용, 개별화, 다양성 교수유형을 고려하며, 명확한 정보 전달을 기반으로 다양한 교수유형을 적용한다면 학생의 평가적 수업만족을 높인다고 밝혔다.

STS 교수-학습이 초등학교 과학적 태도 교육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TS Teaching-learning Method on the Scientific Attitud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남철우;최춘호;김정길;김석중;송판섭;한광래;최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1권2호
    • /
    • pp.159-170
    • /
    • 2002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n the education of scientific attitude in the process of primary school education by application of STS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an unit of 6th grade in primary school "environmental pollution and nature conservation". The attitude relating science education, on the other side, is classified into 4 parts; attitude for science, social meaning of science, attitude for science subject and scientific attitude. The study of sexual difference on the above points was examined too. The results was taken as follows. 1. STS Teaching-learning method gives positive effect on the education of scientific attitude more than traditional teaching method, especially on the point of the attitude of science lesson and scientific attitude. 2. STS education has an great influence on the social meaning of the scientific attitude relating science education , investment in science, relation with society, solving social problem, contribution to development of society and technology 3. STS teaching-teaming is thought to be the learning that is more effective for boy than girl. In conclusion The STS Teaching-loaming method is preferable in order to increase the scientific attitud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ents.

  • PDF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수몰입, 행복감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and Happiness)

  • 이강훈;조은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5-83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flo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early childhood teachers'happiness.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1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in South Korea. Three different inventories were utilized. The Servant Leadership Scale, Teaching Flow Scale and Happiness Scale were used. As for data analysis, SPSS & AMOS 21.0 and PROCESS macro were utilized. Results: First, th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teaching flow and happiness of the teachers were all above averag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total scores of servant leadership, teaching flow and happiness. Second, The teaching flow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happi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ffort to promot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teaching flow is needed to promote early childhood teachers'happiness.

유아 대상 환경교육을 위한 증강현실 기반 통합교수학습방법 적용 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based on AR for Environment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김인숙;조유미;고혜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950-95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for effective promotion of child - friendly attitude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titude and explored its applicability.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fairy tale, we designed an experience - oriented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uch as reading book, story - telling, draw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practice activ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ugmented reality reading fairy tales (A) and children's book reading fairy tales (B). First, interest, immersion, and empathy were higher in the application environment of integrated learning teaching method based on Augmented Reality.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tent understanding. Third, in terms of expressiveness, it was verified that various expressions were expressed in the applying environment of the integrated teaching - learning method based on augmented reality through drawing activities. Fourth, in practice activities, more students were practicing in the augmented reality - based integrated teaching - learning method applied environment, and the number of practice activities of individual students was also confirme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an enhance the effect of education when using the smart teaching media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가 인식한 부모-교사 신뢰관계와 협력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on Play Teaching Efficacy: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Relationship and Cooperative Behavior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 이시은;송승민;한정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29-52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arent-teacher trust relationship and cooperative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and their play teaching efficacy. Methods: A total number of 216 teachers in charge of infants under the age of two at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H, Y, and O cities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urvey. Using SPSS 23.0 and AMOS 22,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analyzed. Results: Firs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had a direct effect on play teaching efficacy. Seco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influenced play teaching efficacy through parent-teacher's trust relationship. Thir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influenced play teaching efficacy through parent-teacher cooperative behavior. Fourthly, it was found that the parent-teacher trust relationship and cooperative behavior were mediated sequentially in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on play teaching efficacy.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eachers and the trust and cooper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in order to increase the 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대학 온라인 튜터링 학습환경에서 교수실재감,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a University Online Tutoring Learning Environment)

  • 변소연;추성경;윤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814-825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 온라인 튜터링 학습환경에서 교수실재감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및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를 위해 2021학년도 1학기 부산시 소재 D학교 OO연구소 튜터링 프로그램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교수실재감, 학업성취도 그리고 학습만족도를 조사하여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실재감과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와의 관계분석에서는 학습활동의 학습관리, 참여관리, 내용구조화 순으로 높은 상관이 나타났으며, 교수실재감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는 튜티의 학습활동 하위영역인 학습관리에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기초하여 온라인 튜터링 교수설계시에 교수실재감을 반영한 운영과정과 방법에 대한 방향성을 시사하였고,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경험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관리 방안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제공하였다.

새로운 시대의 교육에서 AI 교육 로봇의 응용 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 (Meta-analysis of the Application Effect of AI Educational Robots in Teaching in the New Period)

  • 추이지엔동;송승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2-54
    • /
    • 2021
  • 인공 지능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로봇 교육과 그 역량 강화에 대한 교육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적용되고 적용되었습니다. 본 연구의 목적 : 학생 교육 및 교육에서 AI 교육 로봇의 응용 효과를 체계적으로 평가; 본 연구의 방법 : 컴퓨터를 사용하여 "Web of Science", "CNKI", "ERIC", "IEEE"와 같은 검색 도구에서 관련 교육을 검색하십시오. 로봇 티칭과 전통적인 티칭의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검색 시간은 2000 년 1 월부터 2020 년 1 월까지입니다. 포괄적인 MetaAnalysis 2.0을 메타 분석에 사용했습니다. 본 연구 결과 : 31 개의 유효한 연구 문헌에 대한 정량 분석과 메타 분석이 AI 교육 로봇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분석 결과 AI 교육 로봇이 학생 학습 효과에 미치는 효과는 0.465임 이는 교육용 로봇이 학생의 학습 효과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나타냅니다. 이 연구의 결론 : 학생 교육 및 교육에서 AI 교육 로봇의 적용 효과는 전통적인 교육 방법보다 우수하며 학생 학습을보다 효과적으로 홍보 할 수 있습니다.

  • PDF

보육교사의 보육헌신에 대한 원장과 동료의 정서적지지, 능동적 교직선택동기, 셀프리더십 및 보육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incipals and Fellow Teacher's Emotional Support, Child Care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Self-Leadership, and Child Care Efficacy and Commitment)

  • 서미정;이경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7-186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principals and fellow teacher's emotional support,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self-leadership, and child care efficacy and commitmen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465 child care teachers and analyzed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SEM). Results: First, principals and fellow teacher' emotion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teacher's child care commitment,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teacher's self-leadership. Second,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teacher's child care commitment,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self-leadership and child care efficacy. Third, teacher's self-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teacher's child care commitment,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hild care efficacy. Fourth, teacher's child care efficacy was to found have a direct effect on teacher's child care commitmen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a great deal of utility to improve teacher's child care commitment.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 교직에 대한 열정의 매개효과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Passion for Teaching)

  • 좌승화;이해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193-201
    • /
    • 202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교직에 대한 열정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예비유아교사 198명을 연구대상으로 Window용 PASW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과 교직에 대한 열정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및 Pearson 적률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Sobel Test를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전문성의 인식수준은 보통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전문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적 심리자본이 교사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인인 교직에 대한 열정은 긍정심리자본과 교사전문성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에서 긍정심리자본과 교직열정이 효과적임을 규명하였고, 예비유아교사가 지녀야 할 교사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