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professionalism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27초

The impacts of teacher education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mathematics lessons

  • Suh, Heejoo;Bae, Yunhee;Lee, Ji Su;Han, Sunyou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4호
    • /
    • pp.393-412
    • /
    • 2018
  • Teacher quality is a key factor that determines quality of education. Being aware of this, the Korean government and teachers have been striving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ism. Research about the impacts of efforts to enhance teacher professionalism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course satisfaction, however, is extremely limited. This study sought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by analyzing what teacher characteristics impact students'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To this end, the study drew on the middle and high school data from 3rd to 6th year survey of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were used as the main approach. Latent profile analysis, a kind of mixture modeling analysis, were used as needed. This study found that teachers' participation in instruction enhancement activit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mpact students' attitude toward mathematics lessons and their perception on class atmosphere, and ultimately impact their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their overall satisfaction in the course. In addition, teachers' use of EBS textbooks and videos impact 3rd grade high schoolers' academic achieve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ffort to improve teacher professionalism positively impac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course satisfaction,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year grade.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education policy makers and teacher educators.

전문가-현장교사-예비교사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의 가능성 탐색 (A Study on Possibility of Research Community for Mathematics Classroom of Expert-Inservice Teacher-Preservice Teacher)

  • 강현영;탁병주;고은성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4호
    • /
    • pp.857-880
    • /
    • 2016
  • 교사교육을 통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은 학교교육의 내실화에 핵심적인 요소이나, 우리나라의 수학교사교육은 예비교사 시기에 수업 경험의 기회가 충분히 부여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와 현장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을 위해, 전문가와 현장교사, 예비교사로 구성된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과제 개발과 수정, 그리고 수업 관찰과 분석이라는 일련의 과정에 전문가와 현장교사, 예비교사가 모두 참여함으로써, 이 모델이 현장교사와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의 장으로서 어떠한 가능성을 지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가-현장교사-예비교사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 모델을 통해 예비교사와 현장교사는 수업에 필요한 실제적인 경험과 이해를 높일 수 있었고, 나아가 (예비)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자긍심 등 교사효능감과 교직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현장교사-현직교사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 모델이 하나의 교사교육 체계로서 지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우리나라의 수학교사교육에 대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초등학교 과학 실험 전담 교사 제도 도입 방안에 대한 의견 조사 (Survey of Elementary Teachers' Responses on the Introduction of Elementary Science Experiment Specialists)

  • 박종원;김남일;남정희;손정우;정영란;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2호
    • /
    • pp.213-22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new introduction of elementary science experiment specialist is appropriate under the current situation of serious emphasis of the importance in science experiments in elementary science in Korea. For this study, the survey items were developed twice through the preliminary study. The results show that most elementary teachers consider the importance of experiment in elementary science and the critical role of science experiments to increase students' curiosity and scientific understanding. About 80% of the teachers stressed the professionalism in elementary science. Although 65% of the teachers believed their having basic professionalism, 53% of them appealed the difficulty in teaching science experiments to students. Nevertheless, 67.5% of the teachers opposed to the idea of teaching elementary science in separation between experiment and theory in science, and only 8% of them agreed the idea of induction or adoption of the college graduates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or holding the secondary teacher's certificate. Further, over 60% of the teachers responded no necessity of inducing the new policy of elementary science specialist. Many numbers of teachers revealed their serious worries about the new policy because of their past experience to suffer from the side effects of inducing the teachers with secondary teacher certificate to the elementary school. In particular, they also made a proposal to make a good use of the current system of exclusive elementary science teacher in Korea. The educational implication and suggestions for policy making were discussed.

  • PDF

『기술.가정』 교과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Teachers and Related Variables on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 이연숙;조재순;곽노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4
    • /
    • 2002
  • The goal of the study is to find the necessary measures to facilitate a desirabl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by reflecting the Perception and needs of the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rriculum content.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realistic operations of the school . and the administration of the school system.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1) The background knowled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wo curriculums are different. and in addition there is a negative perception due to the fact that it is hard to facilitate a class with just one teacher. 2) The issues that were most serious to teachers wer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qualification of the teachers. and teaching method. Also the teachers lacked in confidence in teaching and the curriculum itself. 3) In regards to qualifications of the teacher the teachers requested that teachers should have single qualification in 'Technology(or Home Economics)'or dual qualifications in both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s for teaching methodology responded that from the teacher and student perspective the teaching should be divided whereas from the school's perspective the responsibility should be Put on a single teacher. 4) Teachers responded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acher, parent or student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hould be separated into two subjects.

  • PDF

수학 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 탐색 (The search of the direction for the professional enhancement of mathematics teacher)

  • 이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39-244
    • /
    • 1999
  •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necessity of 'mathematics for teacher' and advices for enhancing professionalism of mathematics teacher. Many mathematics teachers don't know formula giving roots of cubic and quartic equation which is presented as a example of mathematics for teacher, but they feel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knowledge like mathematics for teacher. As the role of mathematics teachers changes, professionalism in various fields is required. That is, they must be equipped with the belief and attitude as a professional and understand the content of mathematics for teacher and mathematics education theory. After all, loaming mathematics depends on the quality of mathematics teacher.

  • PDF

영유아 음악수업 전문성에 대한 예비보육교사들의 담론 분석 (Analysis of the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Discourse on the Professionalism of Music Classes for Infants and Children)

  • 여선옥;심윤희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5-4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음악수업 전문성에 대한 예비보육교사들의 담론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시에 위치한 H대학 아동보육복지과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Bogdan과 Biklen(2006)이 제시한 방법에 따라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예비보육교사들은 아직 전문성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이 이르다고 느끼고 있었고, 교사의 전문성은 학교교육의 배움과 현장에서의 경험과 경력이 더해져야 갖추어지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영유아 음악수업을 위해 갖추어야 하는 전문성에 대해 첫째, 영유아의 발달과 개인차, 흥미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하며, 둘째,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준수하고, 영유아들의 흥미를 반영하여 주제중심으로 통합적인 교육계획을 세울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지 가르치는 교수방법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가 음악을 즐거워해야하고, 음악적 능력을 기르기 위해 악기를 배우며, 다양한 예술적 경험을 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문성이 갖추어지지 않을 경우, 영유아들과의 음악수업을 포기하기보다는 동료들과의 협력을 통해 극복해 나가야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예비보육교사를 위한 음악교육에 실질적인 방안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융합인재교육의 관점에서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선 방안 (A study on How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Enhancement Program for Teachers in Charge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Education Based on STEAM Perspectives)

  • 이성희;신동훈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1호
    • /
    • pp.22-34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SESE(Save Earth Save Energy) 나라' 지도자 직무연수 프로그램 및 연수 참여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하여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개선방안을 융합인재교육적 관점에서 제시하는 것이다. 연수 프로그램을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연수 담당교사의 전문성 요소별로 분석하였고,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도를 사전 사후 설문검사를 통해 전문성이 신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수 대상자들과 면담을 통해 연수의 SWOT 분석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연수 개선방안을 논의 하였다. 첫째,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융합적 차원에서 연수 프로그램이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융합교육과 연계된 체험 활동을 하고 이에 관한 논의를 풍부히 할 수 있는 교사 교류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집중 연수를 통해 전문성이 신장될 수 있도록 60시간 이상의 지속적인 연수가 필요하다. 넷째, 원격연수를 활용하여 연수의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전문성 요소추출을 바탕으로 연수 프로그램이 계획되고 충분한 시간 동안 연수를 준비해야 한다. 여섯째,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교사 연수는 대부분 학교급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수 의도 행동에 따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by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Intentions)

  • 주현정;신혜원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5
    • /
    • 2018
  •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수 의도 행동,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이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국공립, 민간, 직장 어린이집 22곳에 재직 중인 만 2세~만 5세 교사 50명이었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최소영과 신혜영(2015)이 번안한 Arnett(1989)의 교사 상호작용 척도(Caregiver Interaction Scale: CIS)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교사의 전문성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Wang(2005)이 개발하고 정아람(2016)이 번안, 수정한 평정척도(Current Status and Self-Desire for Professional Competence)를 사용하였다. 교수 의도 행동은 Wilcox-Herzog와 Ward(2004)의 교수 의도 행동 척도를(Teaching Intention Scale: TIS) 본 연구자가 번안,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연구자와 연구 보조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교사 관찰을 실시하였고,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수 의도 행동은 교사용 설문지를 통해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t-검증과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교사의 경력이 많을수록 전문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수 의도 행동은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은 교사가 긍정적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더 많이 하였다. 특히 교수 능력, 운영관리 능력의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은 교사가 좀 더 긍정적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하였다. 다섯째, 교사의 교수 의도 행동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의 민감한 상호작용 수준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관계가 있었고, 교사의 교수 의도 행동은 교사-영유아의 민감한 상호작용과 관계가 있었다.

수학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창의성과 인성 교육 전문성 신장 내용요소 탐색 (Exploring the content factors to develop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 김현아;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4호
    • /
    • pp.485-501
    • /
    • 2016
  •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mathematics teachers actually need to improve their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to pursue educ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revised curriculum. We first temporarily extracted the elements to reinforce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n conducted the modified delphi technique and interview by targeting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Based on the discussion of previous studies, we divided into five areas for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1. understanding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2. creating an environment, 3. understanding curriculum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4. instructional design and apply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5. evaluating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ctually content elements highly required by mathematics teachers were reset 17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s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중등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for Secondary Science-Gifted Students)

  • 배미정;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2-428
    • /
    • 2010
  • 이 연구는 2명의 중등 과학영재 지도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교수지향의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두 교사 모두 6년 이상 중등 과학영재의 생물 수업을 담당하였으며, 영재교육 교사연수를 이수하였다. 참여교사 당 2차시의 수업관찰과 녹화, 2차례의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든 수업자료와 면담자료는 전사된 후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교사들의 수업에서 몇 가지 특징이 나타났다. 두 교사 모두 '개방적 탐구' 지향을 나타냈다. 이것은 탐구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켜 과학영재가 과학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교사의 교육목표와 신념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교사의 전문적 지식의 구체적 내용과 강조점의 차이에 따른 신념은 '학문적 엄격성'과 '발견'의 서로 다른 지향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것은 수업에서 다루는 교과 내용 수준이나 범위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교사들의 과학교수지향은 수업 대상 학생과 과학영재 수업 경험의 증가에 따라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교사의 과학영재 교육철학이 교수지향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바탕으로, 교사는 수업에 대한 자기반성을 통해 과학영재교육의 이론적 지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통해 교사의 과학영재 교육철학이 정립되고 내면화될 때, 교사가 의도한 과학교수지향이 수업 실행에서도 일치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