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ossibility of Research Community for Mathematics Classroom of Expert-Inservice Teacher-Preservice Teacher

전문가-현장교사-예비교사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의 가능성 탐색

  • Received : 2016.11.15
  • Accepted : 2016.12.16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e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through teacher education is a key element in the improvement of school education. However, there has been criticism that th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n Korea do not provide given enough opportunities for the classroom experience during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eriod. For development of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this study develops a research community for mathematics classroom consisting of experts,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And the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the model as an educational space for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by participating in a series of courses such as task development and revision, and observation and analysis of classes. As results,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enhance the practical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necessary for the class, and they were also positively influenced in teacher efficacy and view of teaching on the model. Based on this, we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model as a teacher education system.

교사교육을 통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은 학교교육의 내실화에 핵심적인 요소이나, 우리나라의 수학교사교육은 예비교사 시기에 수업 경험의 기회가 충분히 부여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와 현장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을 위해, 전문가와 현장교사, 예비교사로 구성된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과제 개발과 수정, 그리고 수업 관찰과 분석이라는 일련의 과정에 전문가와 현장교사, 예비교사가 모두 참여함으로써, 이 모델이 현장교사와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의 장으로서 어떠한 가능성을 지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가-현장교사-예비교사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 모델을 통해 예비교사와 현장교사는 수업에 필요한 실제적인 경험과 이해를 높일 수 있었고, 나아가 (예비)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자긍심 등 교사효능감과 교직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현장교사-현직교사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 모델이 하나의 교사교육 체계로서 지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우리나라의 수학교사교육에 대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영, 고은성, 김태순, 조완영, 이경화, 이동환 (2011). 좋은 수학수업을 위해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역량과 교사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조사, 학교수학, 13(4), 363-380.
  2. 곽영순, 김경준(2010). 교사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국가수준 장학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RRI 2010-4.
  3. 권나영, 이은정, 박미미, 박진형(2012),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고찰: 국외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사례를 바탕으로. 수학 교육학연구, 22(3), 387-400.
  4. 교육부(2016). 교원양성과정 주요 개선 사항 안내. 교육부 교원복지연수과.
  5. 김남균(2013). 초등교사 전문학습공동체의 사회 수학적 규범에 관한 연구. 교원교육, 29(3), 419-441.
  6. 김남희(2002). 수학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사례방법. 학교수학, 4(4), 617-631.
  7. 김남희(2006). 예비수학교사의 산파법 적용 수학 수업 실행. 학교수학, 8(1), 89-106.
  8. 김남희(2008). 예비수학교사의 문제해결 지도 실행의 교육적 효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2), 159-175.
  9. 김선희(2016). 한국 예비교사가 미국 교육 현장에서 실시한 수학 수업에 대한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0(2), 59-69.
  10. 김현진, 김진수, 최성육, 박영민, 이광호, 이혁규 (2010).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RRI 2010-16.
  11. 박성선(2004). 수학교육 연구 공동체를 통한 수학 교사의 전문성 신장. 초등수학교육, 8(1), 13-22.
  12. 방정숙(2003). 수학 교사 학습과 전문성 신장에 관한 소고. 수학교육학연구, 13(2), 143-157.
  13. 심상길, 윤혜순(2012a). 마이크로티칭에서 수학 예비교사들의 반성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사학회지, 25(1), 89-105.
  14. 심상길, 윤혜순(2012b). 마이크로티칭에서 수학 예비교사들의 수업 행동과 변화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51(2), 131-144.
  15. 오영열(2006). 수업개선 관행공동체를 통한 교사의 변화 탐색: 수학 수업관행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6(3), 251-272.
  16. 오택근(2016). 수학 수업의 성찰적 실천을 위하여: 학교 안 수학교사 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학교수학, 18(1), 105-126.
  17. 이성숙(2005).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살펴본 학습장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봉주(2008). 중등수학 예비교사 수업장학 실태 및 요구 조사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1), 1-18.
  19. 이화진, 강대현, 권점례, 곽영순, 김명화, 송현정, 유정애, 이경언, 오은순, 오상철, 양윤정, 이병천, 이미숙, 전효선, 진의남, 홍선주(2006). 수업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교 수법(PCK) 개발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서 RRI 2006-1.
  20. 정광조, 강종구(2015). 학습장애 진단.평가에 대한 현장 반응 연구: 특수교육지원센터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면담. 특수교육, 14(3), 193-216.
  21. 정미영, 김정원, 류성창, 박인심(2011). 교사 선발 방식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 보고 RR 2011-05.
  22. 조덕주(2009). 반성적 사고 중심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411-436.
  23. 주미경(2006). 대학생 교사제의 효과 분석: 사범 대학 수학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수학교육, 45(3), 295-313.
  24. 주미경, 양성관(2007). 사범대학-현장학교 협력관계에 기반한 교육실습 사례 분석: 중등교원을 위한 교육실습 확대 방안 가능성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4(2), 363-384.
  25. 최돈형, 권동택, 김경철, 김성혜, 김정환, 김진수, 박병기, 박선화, 박소영, 박영민, 박종률, 조난심, 조성기, 조성화(2010).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 과정과 교사 임용시험 체제의 연계성 강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RRI 2010-1.
  26. 최승현, 임찬빈(2006). 수업평가 매뉴얼; 수학과 수업평가 기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6-24-5
  27. 한혜숙(2014). 수학과 수업실습에서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및 역할에 관한 교육실습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4), 747-769.
  28. 함승환, 구하라, 김선아, 김시정, 문종은, 박영석, 박주호, 안성호, 유병규, 이삼형, 이선경, 주미경, 차윤경, 황세영(2013). "융복합교육"의 개념화: 융(복)합적 교육 관련 담론과 현장 교사 포커스 그룹 면담을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16(1), 107-136.
  29. Barnett, M., Higginbotham, T., & Anderson, J. (2006). Didn't I tell you that?: Challenges and tensions in developing and sustaining schooluniversity partnerships. In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sciences (pp. 23-29). International Society of the Learning Sciences.
  30. Bredo, E., & McDermott, R. P. (1992). Teaching, relating, and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21, 31-35.
  31. Burke, J. W. (2004). Competency based education and training. Abingdon, Oxon: Routledge Falmer.
  32. DuFour, R. (2004). Schools as Learning Communities. Educational Leadership, 61(8), 6-11.
  33. DuFour, R., Eaker, R., DuFour, R., & Karhanek, G. (2004). Whatever it takes: How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respond when kids don't learn. Bloomington, IN: National Education Service.
  34. Glaser, B. G. & Strauss, A. L. (2011). 근거 이론의 발견: 질적 연구 전략. (이병식, 박상욱, 김사훈 공역), 서울: 학지사. (영어 원작은 1967년 출판).
  35. Hoaglund, A., Birkenfeld, K., & Box, J. (2014).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reating a foundation for collaboration skills in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134(4), 521-528.
  36. Korthagen, F. A., & Kessels, J. P. (1999). Linking theory and practice: Changing the pedagogy of teacher education. Educational Researcher, 28(4), 4-17.
  37.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1).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39.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40. Smith, M. S., Cartier, J. L., Eskelson, S. L., & Tekkumru-Kisa, M. (2012). Building a school-university collaboration: A search for common ground. In J. Bay-Williams & W. R. Speer (Eds.). Professional collaborations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Seeking Success for All (pp. 117-132).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41. Stein, M. K., Smith, M. S., & Silver, E. (1999).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developers: Learning to assist teachers in new settings in new ways. Harvard Educational Review, 69(3), 237-270. https://doi.org/10.17763/haer.69.3.h2267130727v6878
  42. Wenger, E. (2009). Communities of practice. http://www.ewenger.com/theory/
  43. Zaslavsky, O. & Leikin, R. (2004).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Growth through practice.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7, 5-32. https://doi.org/10.1023/B:JMTE.0000009971.13834.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