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professionalism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23초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의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 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141-16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의 국내외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수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정의에 대한 국외의 연구는 1960년대 말부터 Freire의 비판적 수학교육부터 시작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고, 국내에서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비판교육을 시작으로 최근에는 현장 교사들을 중심으로 자신들의 수학수업에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을 적용하는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현재의 우리나라 입시 등 교육 체제에서 적용이 쉽지 않음을 지적하면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이 우리의 수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은 전통적인 수학 수업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제공하고, 인문학적 관점에서 통합과 융합적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하며, 교사나 학생들에게 수학과 세상을 보는 관점을 보다 넓고 깊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어린이집 보조교사의 역할기대 및 업무수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Expectation and Job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ing Assistants)

  • 조주연;양성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3호
    • /
    • pp.1-14
    • /
    • 2016
  • The present research aimed to assess role expectations and job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ing assistants at daycare centers. In order to describe participants' experiences,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Van Manen's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findings showed that childcare teaching assistants suffered a gap between their role expectations and reality. They felt diverse emotions and doubt about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interactions with teachers in charge, directors, parents, and children. The participants claimed that the Nuri curriculum teaching assistants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achieve better quality childcare programs. The implications to support the Nuri curriculum teaching assistants system were discussed in depth.

The First Curriculum of Mathematics in Korea for the New Millennium

  • Choe, Young-H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7권2호
    • /
    • pp.73-90
    • /
    • 2003
  • In the Republic of Korea, mathematics has always been a major blame for huge private expenditures on so-called "private education," which consists of private tutoring and lessons at "private academies of extra curricula." The private spending on out-of-school education often exceeded public expenditures on schools. In 1997, South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reformed curriculum of mathematics along with other subjects to ease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The aim of this curriculum change was to put a boost on individual students' interests, affections and other attributes toward school mathematics. The essential distinctiveness of the new curriculum of mathematics compared with the previous one is as follows: 1. The implementation of so-called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grades 1-10. 2. 30% reduction of contents in mathematics and the reconciliation of contents. 3. Elective subjects for mathematics for grades 11 and 12. 4. More uses of technology in mathematics teaching. Firstly, we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curriculum reform and analyze the new curriculum according to awareness of educational administrators, teaching environments of schools and readiness of mathematics teachers. Then we find out what kinds of problems it has and look for some suggestions for remedies.

  • PDF

수학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에 대한 연구의 메타적 검토 (A Meta Review of the Researches on PCK in Mathematics)

  • 박경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1호
    • /
    • pp.93-105
    • /
    • 2009
  • Considering the fact that PCK(pedogogical content knowledge) tends to guarantee the identity of mathematics education as a discipline and the teacher professionalism, PCK is one of the core concepts in the research on subject matt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s on the definition and the components of PCK in mathematics. Based on the review, this study identified 3 knowledges which consist PCK; knowedge of mathematic content, knowledge of learner's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eaching. Then this study provided some examples of PKC in the topic, the limit of sequences, and introduced the LMT and TEDS-M items, which were designed to measure the teacher's PCK. Lastly,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items on mathematics education included in the Teacher Employment Test administered for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based on PCK.

  • PDF

유치원/초등생 로봇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조사 (A Survey on Parents' Cognition in the Robotics Education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tudents)

  • 황면중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53-60
    • /
    • 2015
  • Robots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the cognition of parents on robots in education is investigated. The study is conducted by analyzing responses of 105 parents with kindergarten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most students who have been taking the robotics education start it from five or seven years old. The students were mainly educated in the private institution. Therefore, the parents worry about the lack of professionalism about educational institute and teachers. In conclusion, the systematic curriculums and policy of robotic education are needed for kindergarten students and elementary students.

예비교사를 위한 백워드 설계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A Development of Backward Design based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 이소율;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203-20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 수업 전문성 함양을 위하여 백워드 설계 기반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백워드 설계는 학생들의 심층적인 이해를 고려한 수업 설계 기법이다. 백워드 설계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차시 당 4시간 수업으로 총 8차시(32시간 분량)의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는 예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직접 백워드 설계를 기반으로 하는 수업 계획을 실습함으로써 교육과정에 대한 깊은 이해도 도울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이 어떤 효과성을 지니는지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및 통계적 검증이 요구된다.

  • PDF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er Education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2-16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OECD에서 핵심역량을 '학생들이 향후 사회적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로 하는 능력'으로 재정립한 이래로 여러 나라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강조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선도국과 국내의 외국인학교 및 국제 중학교를 방문하여 관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교과교육 혁신 사례를 수집하고, 각 사례별로 교사 및 학교장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해 요청되는 과학 교사전문성 개선 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개별 교사 측면에서는 학습자의 역할 변화에 따라 교사의 역할 변화도 요청되며, 교사는 학생들에게 핵심역량의 모델이 되어야 하고, 교사역할의 다면화가 요청되며, 연구자로서의 교사가 요청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공동체 측면에서는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조직이 필요하며, 교사들의 지식기반을 구축해야 하고, 미래의 교실에는 다양한 전문가를 투입해야 하며, 지역공동체 및 다른 전문가 집단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한다는 요구가 수렴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핵심역량 기반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서울특별시 소재 보육시설과 유치원 종사자의 식품위생.영양 인지도 및 수행도 조사 (Employee Food-hygiene and Nutrition Awareness and Performance at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 박나윤;박희경;박희진;서민경;임혜란;임환희;정진헌;윤기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45-59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mployee food-hygiene and nutrition awareness and performance and to study the curren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at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Republic of Korea. A self-evaluated type of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foodservice employees and teachers using a five-point Likert scale. Employees with an employment history of <1 year and who were <30 years old had the lowest scores for food-hygiene and nutrition awareness and performance. Employees with a cooking license had a higher awareness score regarding cross-contamination than those without a license. Higher nutritional awareness and performance scores were also observed for employees who had more experience as cooks and who had received a nutrition education than those who did not. Approximately 94% and 76.4% of the employees had experience in sanitation and nutrition education, respectively.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food sanitation-nutrition education for children seemed necessary in a child-care center; however, only 63.9% of the teachers actually taught sanitation-nutrition education to children. The biggest limitation to conduct food sanitation-nutrition education was the "lack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because only 48.1% of teachers had received a sanitation- utrition education. Thus, a food sanitation-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foodservice employees and teachers must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ctively to improve the quality of food service and nutrition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전문계고 교사들의 학교 컨설팅에 대한 인식과 학교 컨설던트 양성에 대한 교육 요구 분석 (Analysis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School Consulting and Educational Demand for Training School Consultant)

  • 이규녀;박기문;이병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8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계고 교사들의 학교 컨설팅에 대한 인식과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에서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교육 요구가 무엇인가를 분석하여 학교 컨설턴트 양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설문조사 대상은 전문계고 교원 연수 과정에 참여한 전문계고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고 교사들은 향후 전문계고의 '변화와 생존'을 위하여 학교 컨설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더불어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교장 교감과 교사가 우선적으로 변화될 때 성공적인 학교 컨설팅이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의 교육 요구 조사를 분석한 결과, 컨설팅 이론보다는 '컨설팅 방법 및 절차', '공감대 형성 기법', '컨설팅을 통한 혁신 사례'와 같이 컨설팅 실무와 사례, 그리고 경험 공유에 대한 교육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 컨설팅 참여 경험에 따라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 내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환경 변화와 컨설팅의 필요성', '기업 및 전문계 고교의 컨설팅 현황', '컨설팅 방법 및 절차', '학교 현황과 문제 진단(SWOT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경험이 없는 교사들보다 중요도의 평균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컨설팅 이론보다는 컨설팅 실무와 경험 분야의 교육 내용과 학교 컨설팅 참여 경험에 따라 다양한 사례 중심의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CHAT을 이용한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교육실습에 참여하는 예비과학교사의 수업 설계 및 실행 과정 분석 (The Proces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esigning and Implementation of Lessons in Teaching Practice from Sociocultural Perspective Using CHAT)

  • 김민환;김성훈;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11-324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가 교육실습에서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CHAT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사범대학의 화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을 참관하며 문서 자료를 수집하였고,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근거이론에 기반한 지속적 비교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 설계를 위한 결정 권한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었고 지도교사와 직접적인 갈등을 겪기도 하였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교과 오리엔테이션과 수업 참관으로도 수업 설계를 위한 맥락적 정보를 충분히 얻기 어려웠으며 이는 예비교사들의 수업 설계에도 어려움을 가져왔다. 연속된 차시의 수업을 여러 명의 예비교사가 나누어 맡을 경우, 수업의 연속성이 떨어지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이 학생들을 평가할 수 있는 권한은 제한적으로 주어져 예비교사들은 추가적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예비교사들이 평가를 실시할 때 전문성이 부족한 모습이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원인은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가 갖는 의미와 이 결과를 바탕으로 더 나은 교육실습을 제공하기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