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er Education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

  • Received : 2012.03.09
  • Accepted : 2012.04.17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order to subsequently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Since the OECD redefined key competencies as 'what people should know and be able to do in order to lead a successful life in a well-functioning society, many countries have emphasiz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is research, we collected and analyzed foreign and domestic classroom cases that have implement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science teaching. Through open-ended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principals we explored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er education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necessitates a shift in teachers' roles including teachers as role models for their students, multifaceted roles of teachers, and teachers as researchers. In light of the teacher's community, teachers need to form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crease practice-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build the teacher's knowledge base, put various experts into the classroom, and build a partnership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other experts. In the conclusion section, we also discussed institutional and political supports necessary for the competency base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OECD에서 핵심역량을 '학생들이 향후 사회적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로 하는 능력'으로 재정립한 이래로 여러 나라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강조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선도국과 국내의 외국인학교 및 국제 중학교를 방문하여 관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교과교육 혁신 사례를 수집하고, 각 사례별로 교사 및 학교장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해 요청되는 과학 교사전문성 개선 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개별 교사 측면에서는 학습자의 역할 변화에 따라 교사의 역할 변화도 요청되며, 교사는 학생들에게 핵심역량의 모델이 되어야 하고, 교사역할의 다면화가 요청되며, 연구자로서의 교사가 요청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공동체 측면에서는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조직이 필요하며, 교사들의 지식기반을 구축해야 하고, 미래의 교실에는 다양한 전문가를 투입해야 하며, 지역공동체 및 다른 전문가 집단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한다는 요구가 수렴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핵심역량 기반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혜, 박소영, 김민조, 2009, 선진형 미래학교 모형에 관한 연구: 교육복지 강화형 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CR 2009-04, 173 p.
  2. 곽영순, 2010, 멘토링 전후의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특징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31, 403-417. https://doi.org/10.5467/JKESS.2010.31.4.403
  3. 박순경, 이광우, 이미숙, 정영근, 민용성, 이근호, 김평국, 이경진, 2008,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선진화 개혁 방안 연구(I) -총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8-28-1, 165 p.
  4. 소경희, 이상은, 이정희, 허효인, 2010,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 동향: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한국비교교육학회지, 20, 27-50.
  5. 신종호, 모경환, 박민정, 민지연, 2009,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10-3, 205 p.
  6. 윤현진, 김영준, 이광우, 전제철, 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교육과정 비전 연구(I) - 핵심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7-1, 211 p.
  7. 이광우, 전제철, 허경철, 홍원표, 김문숙, 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교육과정 설계방안 연구: 총괄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10-1, 364 p.
  8. 이양락, 곽영순, 김동영, 2005,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의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지구과학회지, 26, 759-770.
  9. 이정아, 맹승호, 김찬종, 2007, 지구계 교육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과 지향: 사례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8, 705-717.
  10. 이혜영, 강영혜, 박재윤, 나병현, 김민조, 2008, 미래 학교 모형 탐색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8-03, 297 p.
  11. 최유현, 유태명, 문대영, 최지연, 강경균, 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10-1, 354 p.
  12. 홍원표, 이근호, 이은영, 2010, 외국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현장적용 사례 연구: 호주와 뉴질랜드, 캐나다,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0-2, 175 p.
  13. Boyd, S. and Watson, V., 2006, Shifting the frame: Exploring integration of the Key Competencies at six normal schools. New Zealand: New Zealand Council for Education Research, 165 p.
  14. Darling-Hammond, L., Wei, R.C., Andree, A., Richardson, N., and Orphanos, S., 2009, Professional learning in the learning profession: A status report on teacher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abroad. Published by the National Staff Development Council and The School Redesign Network at Stanford University, 162 p.
  15. Gess-Newsome, J., and Lederman, N.G. (eds.), 1999,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320 p.
  16. Luke, A. and McArdle, F., 2009, A model for research-based state professional development policy. Asia-Pacif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7, 1-21. https://doi.org/10.1080/13598660802616401
  17. Niemi, H., 2005, Future challenges for education and learning outcomes. Wingspan, E-volume 1, 5-12.
  18. OECD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OECD Press, 224 p.
  19. OECD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6, Schooling for Tomorrow: Think Scenarios, Rethink Education. OECD: Paris, 200 p.
  20. Shulman, L.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1.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21. Wenger, E., 1998,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Y, USA, 336 p.

Cited by

  1. Ways of Restructuring Key Competencies for a Revision of Science Curriculum vol.34, pp.4, 2013, https://doi.org/10.5467/JKESS.2013.34.4.368
  2. Study on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of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Worldwide vol.34, pp.6,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6.0535
  3. Conditions of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ism o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t the School Level vol.35, pp.3, 2014, https://doi.org/10.5467/JKESS.2014.35.3.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