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cognition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34초

물리 교사들의 방사선 개념에 대한 인식 실태 (The Actual Status of Physics Teachers' Perception on the Concept of Radiation)

  • 박상태;최혁준;김준태;정기주;이희복;육근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03-609
    • /
    • 2005
  • 학생들은 과학 내용을 교과서를 통해서 학습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교사와 학생간의 교수-학습 활동을 통해서 개념을 획득한다. 따라서 과학 교사가 잘못된 개념을 가지고 있게 되면 이는 직접적으로 학생의 개념 획득에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불행히도 방사선 개념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 12학년 물리 II는 물리 I을 선수과목으로 이수한 다음에 이수하는 심화선택과목이기 때문에 물리교사라 할지라도 현재 학생들이 물리 II과목을 기피하는 상황에서 방사선 개념에 대한 학습지도 경험이 부족한 경우가 많으며, 특히 12학년의 제일 마지막 단원에서 다루고 있기 때문에 대학수학능력시험 준비 등의 이유로,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인해 교사들의 수업 준비도 소홀히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방사선 개념은 10학년의 공통과학 '환경'단원에서도 등장하고 있는 개념이므로 명확히 정립해야 할 개념임에 틀림없다. 어렵고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못한 개념을 해결하기 위해 교사 재교육 연수 프로그램 활용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겠지만, 교사 스스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없는 한 효과적인 성과를 거두기는 어렵다.

통합탐구 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지도 실태 (Perceptions and Teaching Practices of Elementary Teachers on the Integrated Inquiry Unit)

  • 최지미;박다혜;박종욱;박종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83-790
    • /
    • 2016
  •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5~6학년 과학 교과서에 새롭게 제시된 통합탐구 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지도 실태를 조사하여 통합탐구 단원 구성과 지도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탐구지도와 관련된 기존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통합탐구 단원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에게 설문을 실시해서 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통합탐구과정 지도의 중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통합탐구능력 습득 및 발달, 과학 학습의 전이, 자유탐구 실행' 측면에서 교사들의 통합탐구 단원의 적용 효과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으며 그 이유로 '통합탐구과정 학습을 위한 별도의 시간 확보, 후속 학습에서의 활용, 자유탐구 활동에서 통합탐구과정 적용의 용이함'을 들었다. 반면에 교사들은 '통합탐구과정의 분절적 학습, 통합탐구 단원과 다른 단원 간의 연계성 부족, 학생의 호기심 유발이 어려운 교과서 내용 구성'을 이유로 통합탐구 단원의 효과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또한 통합탐구 단원의 지도 실태에 대한 조사를 통해 많은 교사들이 통합탐구과정 지도 시 교과서 내용을 그대로 따르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사들이 통합탐구 단원 지도 시 어려움을 가장 크게 겪는 과정은 문제인식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가설설정, 변인통제, 자료변환 및 자료해석, 일반화, 결론도출 순이었다. 교사들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학생들의 호기심 경험 이해력 부족, 교사의 전문성 부족, 교과서 구성의 한계 및 학습 시간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통합탐구 단원의 개선 및 통합탐구과정 지도 관련 교사 전문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수업몰입과 교사의 사회적지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f Teachers and Academic Engage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정주헌;송교원;이창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2-110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교사의 사회적지지를 통해 학생들의 수업몰입도를 높이며, 담임교사의 생활지도 및 전략적 학급경영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생의 수업몰입 측정도구(21문항)와 교사의 사회적지지 측정도구(25문항)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전국 5개 권역 11개교의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99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수업몰입 수준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동몰입, 인지몰입에 비해 감정몰입 수준이 낮게 나타난 결과는 질적인 측면의 개선이 요구된다. 성별에 따른 수업몰입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인지몰입 요인과 감정몰입 요인에서 1학년 학생이 2, 3학년 학생 보다 몰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평가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수업몰입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사회적지지는 보통 수준이며, 평가적지지, 도구적지지, 정보적지지, 정서적지지 순으로 학생들에게 제공되고 있었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사회적지지가 학생의 수업몰입에 주는 정적인 영향과 높은 상관관계, 그 설명력 모두 높은 결과를 얻었다. 더욱이 수업몰입의 질적인 측면에 있어 교사의 정서적지지가 높은 상관도와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교사의 사회적지지는 학생의 수업몰입 수준 향상에 도움을 주고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력과 만족감을 갖게 하여, 정서발달과 자아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뒷산 체험 활동이 아동의 환경 감수성과 인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Forest Experience on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Cognition Ability)

  • 김정숙;정미선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2권4호
    • /
    • pp.14-2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orest experience on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cognition ability. The forest experience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by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focused on teachers' lecture for 8 lessons. The pre-test, the 1st, and 2nd post-test for environmental sensitivity were applied to both group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forest experience. After then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ANCOVA. And the narration test for cognition ability on learning a environmental context was applied to only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5)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erms of the pre-test score. However, the 1st and 2nd post-test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term of the level of environmental sensitivity(F=9.28, p<.01, F=10.95, p<.01). The results of the forest experience in the aspect of cognition ability, 'the sound of nature(61%)', 'the smiling forest path which blooming out(57%)', and 'one's own places(52%) were high but 'the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oots(30%)' was low. In conclusion, the forest experience made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cognition ability through the direct observatio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n the nearby natural environment.

  • PDF

귀추전략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개념 이해와 초인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Classes Using Abductive Strategies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cientific Concept Understanding and Meta-cognition)

  • 김희연;강버들;유병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1133-114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science classes using abductive strategies on the scientific concept understanding and meta-cognition. The subjects included two classes of sixth graders from K Elementary School in B Metropolitan City and they divided into two groups. Research group was composed of 21 students(10 boys, 11 girls) and comparative group was composed of 21 students(11 boys, 10 girls). In order to achieve aims of this study, proper contents to apply abductive strategies were selected from the first semester science curriculum for sixth graders. Also five-steps study papers were designed to elicit abductive reasoning. While the research group received 20 times of reframed science lessons using abductive strategies, the comparative group received common science lessons according to the teachers' manu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ience classes using abductive strategies were effective for the scientific concept understanding.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search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overall science sub-domain. In the process of hypothesis formulating, students tried to find out scientific causes thoroughly to present the optimal explanation and they concentrated on the analysis of each scientific concept. It is thought that this process contributed to better understanding in scientific concepts. Second, science classes using abductive strategies were effective for improving meta-cogni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nd especially in monitoring that is one of sub-factors of meta-cognition. It indicates that hypothesis formulating process gave positive effect on meta-cognition by stimulating critical thinking and manifesting elaboration.

예비 과학교사의 탐구지도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탐구의 인식과 실천 사이의 딜레마 해소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Inquiry Guidance Experience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Resolving the Dilemmas between Cognition and Practice of Inquiry)

  • 조성민;백종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73-584
    • /
    • 2015
  • 오랜 기간 동안 과학교육 분야에서 탐구는 과학 학습의 핵심적인 목표이자 수단으로 자리매김해왔다. 그러나 교육 실천의 맥락에서 탐구 활동을 온전히 수행하기란 결코 녹록하지 않으며, 탐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분분하다. 따라서 과학교사들이 실제로 탐구를 지도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일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탐구를 지도하는 교사에 초점을 두고, 예비교사의 탐구에 대한 인식과 실천 사이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양상을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 참여자는 과학교육을 전공하는 8명의 대학생들이다. 이들은 약 1년 동안 주말 과학 프로그램에서 저소득층 중학생들의 보조교사와 멘토로 활동하면서, 방학 기간에는 자유로운 방식으로 담당 학생들의 탐구 활동을 지도하였다. 연구의 사례는 '자유탐구에서 수행하는 예비 과학교사의 탐구지도 활동'으로, 참여자의 개인면담과 집단면담과 참여관찰 기록, 자기보고서 등을 연구 자료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학습자의 능동성뿐만 아니라 교과 지식과 연역적 절차 역시 탐구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예비교사들이 실제로 탐구를 계획하거나 수행할 때, 인식과 실천 사이의 간극으로 인해 딜레마와 마주했다. 딜레마의 양상은 '발산하는 탐구와 수렴하는 과학', '흥미 중심의 탐구와 학습 중심의 탐구', '학습 주체로서의 학생과 부족한 지식인으로서의 학생'의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끝으로 예비교사들의 딜레마 해소 과정을 논의하면서, 탐구와 과학교사에 대한 대안적인 관점을 제안하였다.

유아의 실내놀이행동 군집에 따른 예측변인 연구 (Clusters of Preschoolers' Play Behaviors)

  • 신나리;이형민
    • 아동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79-94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indoor play behaviors using cluster analyses. Methods: Data from 963 children (age 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5^{th}$ phase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their parents, and their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K-means clustering analyses, F-test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clustering analyses revealed three distinctive profiles: positive-theme oriented, general-exploratory/manipulative, and negative-exploratory/manipulative groups. Child characteristics, including cognition, language, and social level, and teachers' ag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groups in a different way; the clusters were partially different in the gender and creativity of children, interaction level of teachers' interaction, classroom environment, and program types that children attended. Conclusion: Findings revealed three clusters of play behaviors and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 ecological variables that determined the clusters.

가법성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반응 연구 (A Study on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action for the Additive Property)

  • 정영우;김부윤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9권2호
    • /
    • pp.189-205
    • /
    • 2013
  • Addition problems can be divided into the 'problem of quantity' which does not have the concept of object or unit, and the 'problem of number' which have the concept of object or unit. 'Additive property' is the factor which has to be considered in the former case. On the other hand, 'additive property' is not considered and meaningless in the latter case. However, this additive property is not emphasized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that mostly deals with quantitative problems, so related errors are occurred in actual life. In this study, we will investigate to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rough the problems of deciding the additive property. The result shows that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gnition of additive problems is insufficient. This study will provide focal points in the teacher education and the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clues for the operating programs through the information about the tendency of errors.

컴퓨터 보조수업의 활용실태에 대한 분석 (A study on the practical use of CAI)

  • 최택영;박용길;조원종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17-143
    • /
    • 2005
  • 본 연구는 중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컴퓨터 보조수업의 활용실태를 알아보고, 컴퓨터 보조수업에 대한 수학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 수업에서 컴퓨터 보조수업의 교육적 효과 및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활용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보조수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코스웨어의 개발, 컴퓨터 사용 환경개선 및 교사 연수 등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 PDF

강산 수용액에서의 화학종에 대한 교과서 내용 및 화학 교사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Textbook Contents and Chemistry Teachers' Cognition about Species of Strong Acid in Water)

  • 고형석;김경은;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628-637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1945년 교수요목기의 교과서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I 교과서까지 수용액에서 강산의 이온화도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현직 화학 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수용액에서 강산의 화학종에 대한 인식과 이온화도를 고려하였을 때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는 설문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교사들은 교과서에 제시된 이온화도 값을 근거로 강산의 수용액 안에 존재하는 화학종에 대한 생각을 하고 있었으며, 강산의 정의와 교과서에 제시된 이온화도 값이 서로 일치하지 않은 문제를 생각하지 못하거나, 문제를 인식하는 경우에도 그에 대한 해결을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