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response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4초

웹 기반의 상호작용 교육용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Web-based Interactive Education systems)

  • 장충성;임화경;최효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77-185
    • /
    • 2014
  • 현대 사회는 스마트 기기의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수업 방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중요성에 비해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업 방식이 해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것에 비해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내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질의응답을 통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모바일 웹 페이지를 활용하여 구현하였다. 구현 된 시스템은 스마트기기 등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기기 어디에서나 사용이 가능하며, 교수자가 문제나 의견을 출제하여 학습자가 응답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실시간으로 학습자들의 이해 여부와 의견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출제되었던 문제는 데이터베이스에 남아 있어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 지난 문제에 대해 자신의 부족한 점을 보완할 수 있고, 교수자는 결과를 엑셀 형태로 다운 받아 따로 보관이 가능하게 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을 학생들과 함께 진행해본 결과 대다수의 학생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사용의도를 묻는 질문에 과반수이상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변수 개념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들의 노티싱 (Prospective Teachers' Noticing about Concept of Variables)

  • 조형미;이은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257-275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교사가 변수와 관련된 학생의 사고를 어떻게 파악하고 대응하는지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변수와 관련된 학생들의 사고를 추론하여 그에 따른 지도방안을 제시해 보게 하는 문항에서 예비교사의 주목하기와 해석하기의 특징을 동시에 살펴보았으며 주목하기와 해석하기에 따라 예비교사의 대응하기가 어떻게 제안되었는지 그 특징을 조사하였다. 예비교사 26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이 학생들의 응답에서 나타나는 변수에 대한 오개념에 주목하기가 쉽지 않음을 보여주었으며, 주목은 하였으나 적절한 해석을 해내지 못한 경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주목하지 못하고 해석하지 못한 대부분 예비교사는 변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의 부족으로 인해 적절한 대응을 제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목하기와 해석하기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경험적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적절한 대응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중국 국비 사범생의 진학동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tivation behind Government-funded Normal Students' Admission in China)

  • 이효휘;이장패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1권2호
    • /
    • pp.12-30
    • /
    • 2021
  • 교육격차 해소 및 교육 균형 발전을 핵심목적으로 중국 교육부 및 여러 지역 교육청은 무상 사범교육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 중인 중국 국비 사범교육 정책을 고찰하고, 국비 사범생의 진학동기를 심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정책 보완, 교사 양성 등에 대한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 L대학교 재학 중인 26명 국비 사범생들을 대상으로 문화기술지에서 개발된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을 활용하여 그들이 진학했을 때 고려한 요소들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는 개인 차원의 미시적 동기, 가정·학교 차원의 중간적 동기, 국가정책·사회 차원의 거시적 동기로 분류되었다. 부모·선생님 의견이 1위를 차지하였고, 교직확보, 양면일보(학비·기숙사비 면제, 생활수당 지급), 교사 우세와 사회지위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사는 국비 사범생들의 진학에 강한 관여성이 지니고 있었고, 교사로서의 적업 이상보다는 경제적 요인이 비교적 영향을 발휘하고 있으며, 국비 사범교육정책의 초점과 맞추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국비 사범교육 정책의 안내, 직업 정체성 교육 등과 관련한 노력이 필요하다.

PISA 설문에서 나타난 한국 과학교사들의 인식: 미국, 중국과 비교를 중심으로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in PISA Survey: Focusing on Comparison with the United States and China)

  • 김현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31-41
    • /
    • 2022
  • 이 연구는 PISA 2015에서 실시한 과학교사 설문을 분석하여 향후 한국 과학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미국, 중국의 과학교사 설문 원자료를 분석하여, 설문 항목별로 기술통계와 차이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과학교사는 전문성 계발 활동에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인식이 비교국들에 비해 낮았고, 학생 맞춤형 지도 방법과 다양한 평가 방법의 실제 등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과학교사는 대체로 교직에는 만족하고 있었으나, 현재 근무하는 학교에서 여러 가지 자원의 제한으로 과학교육 활동에 지장을 받는다는 응답이 비교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셋째, 한국은 과학 교육과정과 과학 수업에서 과학 탐구가 덜 강조되고 있었으며, 탐구의 교수과정에서 과학교사의 자기 효능감도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한국은 과학 수업에서 토의와 토론 수업, ICT 활용 수업 등이 적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술형 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시 소재 초등교사를 중심으로- (A Survey of Perception and Status about Descriptive Assessment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rea-)

  • 김민경;조미경;주유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3-95
    • /
    • 2012
  • 수행평가가 시작된 지 10여년이 지난 현재, 서술형 평가 실시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실태가 어떠한지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 11개 지역교육지원청에 소속된 공립 초등학교의 초등 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초등 교사들이 수학 교과 서술형 평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서술형 평가 실시의 목표로는 학습 목표에 근거한 성취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으로 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들이 서술형 평가 문항을 제작할 때 가장 많이 참고하는 자료는 교과서 문제로 나타났다. 문항 제작시 가장 많이 고려하는 사항은 난이도로 나타났다. 서술형 평가의 효과로는 수학적인 사고능력이 뛰어난 학생을 선발할 수 있는 변별력을 들었으며, 서술형 평가 실시에 대하여 교사들이 언급한 문제점으로는 학급당 학생 수가 과다하다는 점과 수학과 서술형 평가 문항개발이 어렵다는 점을 들었다.

  • PDF

보육교사의 언어발달지연 유아 선별에 따른 지원 실태와 요구 분석 (Analysis on the Present Support Conditions Based on Screening and Need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for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ed)

  • 이진경;조윤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26
    • /
    • 2011
  • 본 연구는 보육교사에게 담당하고 있는 유아들 중 또래들에 비해 언어발달이 늦은 유아들이 있는지 물어보고, 이들이 언어발달지연을 보인다고 선별한 유아 30명에 대한 언어와 사회성숙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이들의 선별은 관련 검사 결과 정확하였다.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의뢰한 보육교사의 선별기준과 자녀의 언어발달지연에 대한 부모의 수용 태도, 이를 지원하기 위한 보육교사의 현 대처방안과 지원 요구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서울지역에 있는 보육시설 10개 기관 13명의 보육교사에 대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는 학급 내에서 언어발달지연 유아의 결손을 보이는 언어특성과 부적응 행동에 따라 언어발달이 지연된다고 의뢰하였고, 둘째, 자녀의 언어발달 지연에 대한 부모들의 태도는 무관심과 사전에 인지하고 있어서 교사에게 먼저 자녀의 언어발달지연에 대해 상담하는 등 다양하였다. 셋째, 보육교사는 학급 내에서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넷째,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위하여 전문가와 기관의 지원, 언어발달에 대한 교사교육, 언어발달지연에 대한 자료와 기준의 제시, 낮은 교사 대 아동비율 등의 지원 요구를 제기하였다.

보건교사의 COVID-19상황 대응 경험 (School Health Teachers' Experience of Coping with the COVID-19 Pandemic)

  • 임경미;김진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6-86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experience of school health teachers in regard to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 Korea. Methods: We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using content analysis. Ten school health teachers were recruited from 6 elementary schools, 2 middle schools and 2 high schools in Seoul, using purposive sampling. They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in person or using an online communication system from January to February, 2021. Interviews were transcribed verbatim and analys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Three main categories and nine generic categories emerged from the analysis. Firstly, it was discovered that school health teachers had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to cope with COVID-19 due to the 1) fear of the unexpected infectious disease, 2) burden of having to deal with it alone, 3) breakdown of personal life and physical exhaustion and 4) heavy duty as a health teacher caused by the lack of an organic cooperation system with institutions related to school infectious diseases. Secondly, school health teachers had an increased sense of empowerment in regard to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as a result of 1) feeling rewarded and appreciated and 2) gaining confidence and trust in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Finally, school health teachers experienced the urgent need for an effective response strategy for infection control because of the 1) confusion over infectious disease response due to lack of practical manuals applicable to the field as well as training, 2) disappointing response system without an expert response team dedicated to managing infectious diseases in schools, and 3) growing awareness of the need for change.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school health teachers' experience of COVID-19 will be used as important data for building effective and advanced school infectious disease response systems.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Cas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Their Science Classes)

  • 김동현;김효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145-115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살펴보고 현장에서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수업 3곳의 총 27차시 수업에 참여하여 녹화하였으며, 전사 및 코딩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분석틀은 Sinclair와 Coulthard(1975)의 이론에 근거한 정민수 등(2007)의 분석틀에서 교사 피드백 부분을 김영순(2010)의 분석틀로 일부 수정한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틀이었다. 분석 후 분석결과 확인 및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수업자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IRF 패턴 유형은 관리적 질문-단답형 응답 유형이었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을 수업 외적인 측면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수업 사례를 통해 과학영재의 창의적 사고를 이끌어 내는데 효과적인 몇 가지 패턴 유형을 확인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은 막연히 개방적 질문, 지연적 피드백을 따로 구분하여 각각 좋다는 인식보다 학습 내용의 난이도 및 학생의 수준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적합한 패턴 전략으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 3명은 평소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에 대하여 막연히 편안한 분위기, 개방적 질문과 지연적 피드백 정도로 인식하거나 전략이 아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초등과학영재 담당 교사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에 대한 연수 등 다양한 전문성 향상 기회가 마련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수학급 수학 수업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A Case Analysis of Study on Verbal Interaction during the Math Class of a Special Classroom)

  • 홍재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215-224
    • /
    • 2017
  • 이 연구는 특수학급 수학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요소의 빈도와 특성 그리고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특수학급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수학 교과 수업 중 도형 단원에 대한 수업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언어적 상호작용 주체는 교사가 먼저 시도하는 언어적 상호작용이 전체 291회 중 237회(84.1%)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질문은 전체 240회가 나타났는데, 지식 영역의 질문이 160회(66.7%)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학생 응답은 전체 617회가 나타났는데 단답형 응답이 367회(59.5%)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 피드백은 전체 581회가 나타났는데 정오(단순) 피드백이 234회(40.3%)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와 학생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은 전체 237회가 나타났고, 교사 질문과 학생 반응 그리고 교사 피드백이 1회 나타나는 I(RF) 유형이 83회(35.0%)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알게 된 특수 학급 수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요소와 유형에 대한 정보는 특수학급 수학 수업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e-Learning 질향상을 위한 교수자 연수과정 개발사례 (A Case Study of Developing an e-Learning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Promoting Quality e-Learning Teaching)

  • 신소영;정애경;홍유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65-75
    • /
    • 2006
  • 정보통신기술의 발단과 함께 학교교육에서도 e-Learning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지만, 새로운 교수방법의 활용에 따른 교수자 연수 프로그램의 보급은 미흡하다. 이에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는 공단에서 실시하는 e-Learning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e-Learning에서 교수활동을 제공하는 교수자의 능력향상을 위한 e-Learning 강사과정을 개발하였다. 과정개발을 위하여 e-Learning 교수자의 역할 및 역량을 탐색하고 현재 개발된 과정에 대한 분석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내용구성이 이루어졌다. e-Learning에서의 교수자 역할을 콘텐츠개발과 운영으로 나누어, 개발 및 운영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이론적 기반의 공통 모듈, 콘텐츠개발 모듈, e-Learning 운영모듈 등 3개 모듈로 개발하였다. 이들 모듈은 e-Learning 콘텐츠 개발과정 및 e-Learning 운영과정 등 2개의 과정으로 교수자의 역할에 따라 선택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각의 과정에 공통모듈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이들 과정은 e-Learning에 참여하고자 하는 교수자에게 e-Learning에 대한 인식제고 및 교수활동에 실제적인 도움을 주어 e-Learning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