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s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Their Science Classes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 Received : 2011.07.22
  • Accepted : 2011.12.06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extract the features of verbal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science-gifted students in their class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uthors observed 27 elementary science classes for the science gifted of three elementary teachers. To analyze the verbal interactions in the classes, the authors have adop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was based on Sinclair & Coulthard's Initiative-Response-Feedback pattern. Verbal interactions in the classes were analyzed by Kim's framework, which modified Jeong's framework. IRF patterns were derived from the verbal interactions of science classes for the science gifted. As a result, authors obtained some important features in IRF pattern. The most commonly used IRF pattern was the teacher's managerial question-student's short answer pattern, which was due to the regional policy for the science gifted. The teacher's delayed feedback as well as the teacher's question was meaningful for student's thinking ability. If elementary teachers consider the pattern, the strategy should be applied, which is depending on student levels and levels of contents. But three teachers did not show the characteristic verbal interaction regarded as a pattern strategy. In the future, inservice programs about verbal interaction are needed for the science gifted classe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살펴보고 현장에서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수업 3곳의 총 27차시 수업에 참여하여 녹화하였으며, 전사 및 코딩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분석틀은 Sinclair와 Coulthard(1975)의 이론에 근거한 정민수 등(2007)의 분석틀에서 교사 피드백 부분을 김영순(2010)의 분석틀로 일부 수정한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틀이었다. 분석 후 분석결과 확인 및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수업자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IRF 패턴 유형은 관리적 질문-단답형 응답 유형이었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을 수업 외적인 측면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수업 사례를 통해 과학영재의 창의적 사고를 이끌어 내는데 효과적인 몇 가지 패턴 유형을 확인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은 막연히 개방적 질문, 지연적 피드백을 따로 구분하여 각각 좋다는 인식보다 학습 내용의 난이도 및 학생의 수준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적합한 패턴 전략으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 3명은 평소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에 대하여 막연히 편안한 분위기, 개방적 질문과 지연적 피드백 정도로 인식하거나 전략이 아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초등과학영재 담당 교사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에 대한 연수 등 다양한 전문성 향상 기회가 마련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2010). 과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54-62.
  2. 김동현, 김효남(2010).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초등교과교육연구, 12, 1-17.
  3. 김동현(2010). 초등학교 과학영재 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영순(2010).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수업장학이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현경, 최병순(2009). 과학고 토론수업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과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4), 359-372.
  6. 김현애, 고정민(2008). 초등 과학 몰입수업에서 원어민 교사 발화. 응용언어학회지, 24(1), 205-224.
  7. 남정희, 이순덕, 임재항, 문성배(2010). 멘토링을 통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의 교사, 학생, 상호작용 변화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953- 970.
  8. 박수경(2005). 과학영재학교 교수활동에 관한 학생인식 및 과학수업에서 상호작용 유형.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6(1), 34-40.
  9. 박종윤, 정인화, 남정희, 최경희, 최병순(2006).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질문과 피드백을 활용한 교사- 학생 상호작용 강화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39-245.
  10. 박혜영(2006). 과학 영재 학생들이 질문 유형 및 질문을 통해 살펴본 수업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자료.
  11. 방유미(2005).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질문을 중심으로 분석한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심규철, 김현섭(2006). 지역 영재교육원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영재 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12), 479-484.
  13. 우희정(2003). 영재교육 프로그램 담당 교사의 영재교육관련 지식수준에 관한 실태 연구. 건국대학교석사학위 논문.
  14.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민호, 전영석, 최정훈(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7(3), 252-260.
  15. 이지향, 김동진, 황현숙, 박세열, 백인환, 박국태 (2010). 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 비교 분석. 영재 교육 연구, 20(3), 721-741.
  16. 이호연(2006).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형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오필석(2007). 지식 공유의 관점에서 본 과학 교실 담화의 사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4). pp.297-308.
  18. 정경원(2004). 새로운 영재재능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문사.
  19. 정기영, 전미란, 최승언(2008).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2), 161-177.
  20. 정민수, 전미란, 채희권(2007). 과학영재 수업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본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사례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81-892.
  21. 최경희 ,박종윤, 최병순, 남정희, 최경순, 이기순 (2004).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039- 1048.
  22. Black, P., & William, D. (1998). Assessment and Classroom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 Policy & Practice.
  23. Blosser. P. E. (2000). Asking the Right Questions. Arlin: on. Virginia: NSTA press. in J. H. Borland. (1989). Plann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for the gifted.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ersity.
  24. Carin, A. A. (1997). Teaching science through discovery(8th). Upper Scaddle River: Merrill Publishing Company.
  25. Chin, C (2006). Classroom interaction in science teacher questioning and feedback to students'respon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11), 1315-1346. https://doi.org/10.1080/09500690600621100
  26. Clark, B(2002). Growing up gifted; Developing the potential of children at home and at school(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27. Cliatt, M. J. P., Show, J. M & Sherwood, J. M. (1980). Effects of training on the divergent thinking abilities of kindergarten children. Child Development, 51, 1061-1064. https://doi.org/10.2307/1129544
  28. Edward. D., & Mercer, N. (1987). Common Knowledge: The Development understanding in the classroom. London : Routledge.
  29. Flanders, N. A. (1970). Analyzing teaching behavior reading. MA./London: Addison- Wesley. 428-433.
  30. Gallagher, J. J., & Gallagher, S. A. (1994). Teaching the Gifted Child.(4th ed). Boston: Allyn & Bacon.
  31. Erdogan, I. & Campbell, T. (2008). Teacher question and interaction patterns in classrooms facilitated with differing Levels of constructivist teaching pract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4), 1891- 1914. https://doi.org/10.1080/09500690701587028
  32. Lang, Q. C., Wong, A. F. L.& Fraser, B. J. (2005). Student perception of chemistry laboratory learning environments, studentteacher interactions and attitudes in secondary school gifted education classes in Singapor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5(2), 299-321. https://doi.org/10.1007/s11165-005-0093-9
  33. Maker, C. J., & Nielson A. (1996).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aching strategies for gifted learners. Austin, TX: Pro- Ed, Inc.
  34. Scott, p. (1998). Teacher talk and meaning making in science classroom: A Vygotskian analysis and review.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2, 42-80.
  35. Sinclair, J. and Coulthard, M. (1975). Towards an Analysis of Discours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