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relationship

검색결과 879건 처리시간 0.028초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effects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school life adaptation on problem behavior)

  • 김지혜;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9
    • /
    • 2019
  •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 및 학교생활적응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하위요인별로 구체적으로 밝히고, 부모의 양육태도 및 학교생활적응과 청소년의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KCYPS)의 중1 패널 데이터 가운데 4차 자료(2013)인 고등학교 1학년생 총 2,017명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SPSS WI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감독, 애정, 합리적 설명, 과잉간섭, 과잉기대, 비일관성) 및 학교생활적응(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규칙, 학습활동), 자아탄력성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우관계(-)는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았으며, 학습활동(-), 비일관성(+), 자아탄력성(-), 과잉간섭(+), 감독(-) 순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애정, 합리적 설명, 과잉기대, 교사관계, 학교규칙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었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긍정적인 양육태도, 부정적인 양육태도) 및 학교 생활적응(대인관계, 학교적응)과 청소년의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 대인관계, 학교적응 각각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에서는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부모의 양육태도(긍정적인 양육태도, 부정적인 양육태도) 및 학교생활적응(대인관계, 학교적응)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전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가정과수업을 통한 안전교육의 일환으로 다양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예비 과학교사들의 암석에 대한 이해수준에 따른 육안분류 능력 (The Classification Ability with Naked Eyes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Level about Rock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박경진;조규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67-483
    • /
    • 2014
  • 이 연구는 예비과학교사들의 암석에 대한 이해수준에 따른 육안분류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광물과 암석에 대한 비과학적 개념과 관련된 설문지를 개발한 후 예비 과학교사 132명에게 응답하게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라쉬 모형을 이용하여 암석에 대한 이해수준에 따라 숙달 집단과 미숙달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렇게 구분된 집단의 육안분류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17종(화성암 6종, 퇴적암 5종, 변성암 6종)을 제시한 후 각자의 기준에 따라 암석을 분류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과학교사들은 주로 조직, 색깔, 입자 크기 등을 분류기준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화성암을 분류하는 것은 비교적 쉽게 해결하였지만 퇴적암과 변성암은 동일한 기준을 사용하여 분류하는데 혼동하고 있었다. 한편 암석에 대한 이해수준과 생성원인에 따른 분류능력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암석명을 정확하게 분류하는 능력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하지만 생성원인에 따른 분류 능력과 암석명을 정확하게 분류하는 능력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예비보육교사의 직업기초능력, 교직 인·적성, 행동유형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Teaching Personality·Aptitude, and Behavior Type of Preschool Teachers)

  • 임명희;박윤조;김성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45-16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의 NCS 직업기초능력, 교직 인 적성 및 DISC 행동유형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D대학의 예비보육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NCS 직업기초능력측정검사', '교직 인 적성 검사도구', 그리고 'DISC 행동유형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계수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도성의 성격요인은 수리능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교성의 성격요인은 자기개발능력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안정성의 요인은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기초능력과 교직 인 적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직 인 적성의 요소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주도성의 특성은 문제해결력/탐구력, 판단력, 창의/응용력, 지도성, 지식/정보력, 계획성, 성실/책임감과 같은 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난 반면에서 안정성은 문제해결력. 탐구력, 판단력, 창의응용력, 지도성, 성실/책임감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구강보건교육경험 인지도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Its Education Recognizance of Childcare Teacher)

  • 장경애;황인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735-741
    • /
    • 2009
  • 보육교사들의 구강보건경험과 인지도 및 필요성에 따라 구강보건지식정도를 파악하고 관련성이 있는지 조사하고자, 경남지역에 소재한 37개 어린이집에 있는 보육교사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유무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을 살펴보면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교육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육장소별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을 살펴보면 보건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필요 요구별에 따른 치주질환, 불소, 자일리톨의 구강보건지식에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교육참석 필요성에 따른 치주질환, 자일리톨의 구강보건지식에서 교육에 참석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참석 필요성은 높은 상관관계(r=0.874)를 보였고, 치주질환 지식항목과 구강보건교육 참석도는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0.345). 보육교사의 구강보건교육경험과 인지도 및 필요성은 구강보건 지식에 관련성이 있었고, 아이들의 구강 보건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에게 체계적이고 규칙적인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중.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수준과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ternet Addition Level and School Life Adjustment)

  • 이미순;문재우;박재산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1-52
    • /
    • 2010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ternet addiction,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s. Methods: The response rate is 94.8% (474 cases). The internet addition was measured by K Scale. The various methods of analysis were used, for example, frequency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mean score of internet addiction level is 2.07 in 5 Likert scale. the internet addiction level of the male students a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p<.05). Second,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of internet addiction groups by K Scale, 11 students (2.3%) are included in high risk group, 27 students (5.7%) are in potential risk group, 436 students (92.0%) are in general group. Third, the level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very high. The difference of social support by internet addiction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difference of self-efficacy by internet addictio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vel of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in general groups are more higher than in high risk group and in potential risk group (p<.01). Fourth, the difference of school adjustment by internet addiction groups was very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vel of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students in general groups are more higher than in high risk group and in potential risk group (p<.01). Fifth, the internet addiction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chool life adjustment. And the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chool life adjustment (p<.01). Finally,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nternet addiction affects negatively on the school adjustment. And the support of teacher among three types of them affects positively on the school life adjustment. And the social self-efficacy among two types of them affects positively on the school adjustment (p<.01). Conclusion: to adjust desirably the school environment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ptimal and efficient management of internet addiction was needed in the future and the improvement and promotion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was also demanded.

생태체험 프로그램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rogram of Ecological Experience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 강영식;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680-3689
    • /
    • 2010
  • 본 연구는 생태체험 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함으로써 유아들에게 기쁨과 추억을 만들어 주고 스스로 정서지능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도에 소재하는 어린이집 만 5세반 중 두 학급의 어린이 40 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남, 녀 각각 20명씩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대상인 실험집단 유아들은 생태체험활동의 프로그램을 따라 정한 요일에 5명씩 그룹을 나눠서 관찰하고, 체험하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생태체험 프로그램 활동은 전반적인 유아정서지능과 하위요인별 자기정서의 이용,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에 있어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자연과의 유기적인 관계형성과 생태 중심의 체험 탐구수업이 실내교육에서 느낄 수 없는 자연 세계의 이해와 자연친화적 태도, 생태위기 인식, 사회적 협력과 더불어 함께 생활하는 태도 기반 형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아들의 정서지능 향상에서 유용한 프로그램임을 입증시켜 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잠재계층성장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가정 자녀의 성취동기 변화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학업성취 수준의 차이를 중심으로 (A Longitudinal Analysis of Adolescents' Achievement Motivation Profiles and their Relationship to Academic Achievement in Multicultural Family)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04-41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자녀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6년 동안의 성취동기 변화패턴에 기초한 잠재집단을 찾고, 확인된 잠재집단과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및 잠재집단을 결정하는 예측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의 1차년도(2011년)부터 6차년도(2016년)까지 6개 년도의 자녀와 어머니의 1,254쌍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잠재계층성장분석, 일원분산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계층성장분석 결과 성취동기의 종단적 변화양상은 '최상수준 변동형 집단', '중수준 변동형 집단', '저수준 무변화형 집단', '최저수준 무변화형 집단'의 네 가지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집단에 따라 6개 시점 모두에서 모든 잠재집단 간 동일한 패턴의 학업성취 수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성취동기 수준이 높은 잠재집단 순으로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부모 변인 중 부모효능감, 자녀 변인 중 자아존중감, 교사 변인인 교사지지가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자녀의 성취동기 변화 특성이 학업성취 수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며, 성취동기 향상을 위해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자녀, 교사 변인에 대한 적극적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경직성 뇌성마비 환아의 기립 및 보행에 필요한 거골하관절의 정량적 평가 및 분류에 관한 연구 (Quantitative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the subtalar joint in standing and walking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김미경;이석민;이재구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2-52
    • /
    • 2003
  • An assessment of the subtalar joint in cerebral palsies can contribute to predict the function of ambulation in CP children. Ambul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 to guarantee the CP children independent life.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some relationships between the function of standing and walling and the assessment of the subtalar join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also to prese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mbulation and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ixty-eight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Evaluations of the subtalar pint parameters were performed by the goniometer and the angle finder, and the GMFM scores were measured by their teacher and researcher trained technically. A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talar pint parameters(ROM and RCSP) and the function of standing and walking. A correlation analysis was employed to see how much the subtalar pint parameters could be predicted from GMFM scores in walling and stand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between the total ROM, RCSP and the function of standing(F=8.065, p<.001) and walking(F=6.511, p<.001) in CP children. 2) The subtalar pint parameters(total ROM, RCSP) have the lower relevance to the function of standing and walling in CP children.(p>.05) 3) The total ROM and RCSP in both feet hav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P children and the normal children.(p<.001) 4) The GMFM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unction of walling and standing in CP children.(r=247, p<.05) In this research, it is found that the significant relevance betwee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ubtalar pin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the gross motor function of ambulation in standing and wall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direct relationship of subtalar pint parameters and the function of ambulation, because subtalar pint scores and GMFM are only measured as quantities not qualities. Therefore, it is more reasonabl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ubtalar pint parameters on ambula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ies, adding to the multifocal assessment of the children, rather than vice versa.

  • PDF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Supervisor's Support and Burnout)

  • 김정희;이용주;김동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75-190
    • /
    • 2014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기지역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171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역할수행 질문지(박복매, 2011)와 사회적 지지 설문지(이재영, 2012), 직무소진 질문지(김혜경, 2011)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 간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역할수행 전체 및 하위변인들은 소진 전체 및 하위변인들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원장의 지지 전체 및 하위변인들은 소진 전체 및 하위변인들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역할수행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역할수행의 하위요인인 교육 및 교수활동은 정서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 소진 전체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주었고, 상담 및 정서적 지원은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주었다. 셋째, 원장의 지지가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물질적 지지는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 소진 전체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주었고, 평가적 지지는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 유의한 부적영향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역할수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함과 원장의 지지를 다각적으로 높여내야 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간호학교수의 교수능력과 강의평가에 대한 태도조사 (Nursing Faculty Competence and Nursing Faculty's Attitude for Lecture Evaluation)

  • 서문자;도복늠;박춘자;김금순;임난영;최경숙;이선옥;김순례;최스미;박영임;최상순;정은순;조남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20-328
    • /
    • 2003
  • Nurse educators' competence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ursing faculty competence and attitude for lecture evalutaion, evlauated by nursing faculty. This article presented results focusing on South Korean nursing faculty's attutude for lecture evalutaion done by students and their opinion of the importance of nurse educator competence domains.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October, 2002 to August, 2003 and 151 subjec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Ideal Nursing Teacher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nurse faculty competence. The results showed that all of the lecture were evaluated and 59.6% of clinical practice was evaluated by nursing studuents. Nursing faculty thought that lecture evaluation by students was resonable, even though it was stressful. The most important among 5 domains of nurse educators' competence assessed by nursing faculty was nursing competence. Moreover nursing faculty responed that teaching skills domain and evaluation skills domain were more important than relationship with students domain and personality factors domain. Compared to young nursing faculty, nursing faculty who was old aged reported that nurse educators' competences in 4 domains of nursing competence, teaching skills, evaluation skills and relationship with students were more importa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