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among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Teaching Personality·Aptitude, and Behavior Type of Preschool Teachers

예비보육교사의 직업기초능력, 교직 인·적성, 행동유형 간의 관계

  • Lim, Myeung Hee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ong Nam Health University) ;
  • Park, Yoon Joe (Dept. of Young Child Care, Education& Welfare, Yeo Ju University) ;
  • Kim, Seong-Hyu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ong Nam Health University)
  • Received : 2017.10.30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NCS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Teaching Personality Aptitude and DISC behavior type of pre-preschool teachers. The subjects were 110 pre-preschool teachers attended in D university located in Kyonggido. 'NCS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scale',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scale', and 'DISC behavior type scale' were used in the collection of data. It us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dominance trait and mathematical competency. An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nteraction trait and self-development competency. A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upport traits and NCS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Second, it was revealed tha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lmost sub scale's of NCS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and teacher teaching personality aptitude. Thir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dominance trait and sub scale of teaching personality aptitude(e.g.: problem solving/ inquiry skills, judgment, creativity/practical ability, leadership, knowledge/information ability, planning ability, sincerity/responsibility). A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upport traits and sub scale of teaching personality aptitude(e.g.: problem solving/ inquiry skills, judgment, creativity/practical ability, leadership, sincerity/responsi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의 NCS 직업기초능력, 교직 인 적성 및 DISC 행동유형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D대학의 예비보육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NCS 직업기초능력측정검사', '교직 인 적성 검사도구', 그리고 'DISC 행동유형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계수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도성의 성격요인은 수리능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교성의 성격요인은 자기개발능력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안정성의 요인은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기초능력과 교직 인 적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직 인 적성의 요소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주도성의 특성은 문제해결력/탐구력, 판단력, 창의/응용력, 지도성, 지식/정보력, 계획성, 성실/책임감과 같은 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난 반면에서 안정성은 문제해결력. 탐구력, 판단력, 창의응용력, 지도성, 성실/책임감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3). 교직 적성 인성 검사도구 표준안 개발보급.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김경애, 류방란, 김지하, 김지희, 박성호, 이명진(2015). 학생 수 감소시대의 미래지향적 교육체제조성방안.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 김선희, 권영심, 신지숙(2012). 전문대학 재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증진을 위한 운영 방안 연구. 기업경영연구 (구 동림경영연구), 42, 57-77
  4. 김영주, 원혜경(2017). 예비유아교사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교직동기와 교직열정의 차이. 열린유아교육연구, 22(4), 239-263.
  5. 김정환, 남현우, 염시창, 임진영(2013). 교직적성인성 검사 도구 개발 연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김혜경, 조복희(2012). 보육교사 적성검사 도구 개발. 한국아동학회지, 33(5), 221-246.
  7. 박성혜(2015). 유아교사의 교직적성과 자아존중감 및 교수효능감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19(2), 211-242.
  8. 박희숙, 김현경(2016). 교사의 DISC 행동유형과 민감성에 따른 영아의 정서조절. 아동교육, 25(4), 187-203.
  9. 방은미(2015). 유치원 교사의 DISC 행동유형과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송미선(2017).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적성 및 교사전문성 인식과 행복감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2), 171-189.
  11. 유경훈, 임종헌, 김병찬(2017). 핀란드 교육개혁의 특징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3(1), 319-352.
  12. 이광호(2014). NCS 중심 교육과정 도입에 관한 상업정보 교사들의 인식. 상업교육연구, 28(6), 25-51.
  13. 이재한, 이운성, 임상호(2017).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업진흥연구, 2(1), 101-106. https://doi.org/10.21186/IPR.2017.2.1.101
  14. 이진욱, 김진영(2016). NCS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4 년제 대학생들의 요구: IPA 를 통한 사례 연구. 직업교육연구, 35(5), 75-96.
  15. 임경애, 최현정(2017).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 215-232.
  16. 임종헌, 유경훈, 김병찬(2017).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 44(2), 5-32.
  17. 장승희(2015).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의 본질과 인성교육의 방향-행복담론을 중심으로. 윤리교육연구, 37, 75-104.
  18. 장승희, 손원경(2015). 유아교사의 행동유형별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놀이유형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7(3), 203-220.
  19. 정원희, 김지은(2016). 전문대생의 정부정책 인식 차이분석: 국가직무능력표준 (NCS)을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11(3), 259-276.
  20. 조상식, 김기수(2016). 미래 한국교육의 교육철학적 기초-진단, 과제 그리고 방향. 경기도교육연구원 개원 3주년 기념 심포지엄. 30-52.
  21. 주현재, 김현우(2016). 전문대학에서의 NCS 직업기초능력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문화와 융합, 38(3), 327-358.
  22. 최계영(2016). 알파고의 충격 : 인공지능의 가능성과 한계. KISDI Premium Report. 16(02), 1-22.
  23. 최정윤, 채재은, 박소영, 김경성(2009). OECD 고등교육 학습성과 평가사업 연구 (I). 연구 보고서 RR 2009-21.
  24. 한희경, 성원경, 김진영(2014).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직인, 적성의 관계 연구. 직업교육연구, 33(5), 43-62.
  25. 홍아정, 조윤성, 박치경(2015). 대학생 NCS 직업기초능력 특성 및 유형 탐색. 교육학연구, 53, 389-417.
  26. Borko, H., & Whitcomb, J. A. (2008).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Comments on the National Mathematics Advisory Panel's report. Educational Researcher, 37(9), 565-572. https://doi.org/10.3102/0013189X08328877
  27. DEST. (2002, June). Striving for quality: Learning, teaching and scholarship -DEST White paper, Commonwealth Department of Education, Science and Training. Retrieved August 11, 2002 from
  28. Jan, T. & Malik, M, H, (2012). Teaching aptitud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 teacher educators. Journal of Education and Practice, 3 (2), 67-71.
  29. Marston,W.M. (1928). Emotions of Normal People. Taylor and Francis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