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questioning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초

Patterns of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in Korean Science Classrooms

  • Shin, Myeong-Kyeong;Yager, Robert E.;Oh, Puil-Seok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1-73
    • /
    • 2003
  •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patterns of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Transcripts from Korean secondary science classrooms were examined while extensive review of literature on classroom discourse was carried out. When it is assumed that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can be categorized into different patterns by considering together the apparent exchange structures and pedagogical functions, various patterns of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were revealed. Although most patterns found illustrate the centrality of the teacher, a few of them are considered alternatives to the typical IRE discourse. A framework for classifying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is suggested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discussed.

학습자 중심의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발문 분석 (An Analysis on a Teacher's Questioning in the Learner-Centered Mathematics Lessons)

  • 박만구;김진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425-457
    • /
    • 2006
  • 본 논문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의 수학 수업에서에서의 교사의 발문에 대하여 분석을 하고 이런 발문이 학습자의 지식 구성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의도된 학습자 중심의 초등학교의 나눗셈 관련 주제의 3차시수업을 계획하고 이 수업의 과정을 전사하여 수업 중에 나타나는 교사의 발문의 특성 및 학습자의 지식 구성에 주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습자 중심의 수학 수업에서의 교사의 발문은 학습자의 비형식적인 수학적 사고의 존중, 확산적 사고를 위한 열린 발문, 여러 단계의 집단에서의 활발한 토론을 위한 적절한 발문, 학급의 규범을 존중하는 발문을 하는 특성이 있었다.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발문은 학습자 중심의 수업에서 학습자의 수학적 사고력 촉진 및 수학에 대한 태도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 PDF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사용된 교사의 과학적 질문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Scientific Questioning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 이상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87-296
    • /
    • 2012
  • This research analyzed elementary teacher's scientific questioning during science teaching. This research studied 4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nam were observed and the classes were videotaped. all teacher's questioning and student's answering were transcribed. Teacher's questionings were categorized into 2 types such as simple questions and productive question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ing. First, in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f the science subject, teacher-student conversation was used 202 times on average, and questions asked by the teachers were 72 times on average. The teachers use productive questions more than simple questions. Second, in the type of simple questions, management questions were used the most, and the next were simple confirmation questions and rethink questions in order. Third, productive questions used by the teachers in the class were mostly the attention-focussing questions, but the type of higher level questions such as problem-posing questions, comparing questions, action questions and reasoning questions was rarely adopted.

협력적 탐구와 반성적 실천 맥락에서 예비교사 발문 사례 분석 (An Analysis of a Preservice Teacher's Questioning: The Effect of Practicum Program Based on Collaborative Inquiry Community)

  • 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4호
    • /
    • pp.515-535
    • /
    • 2008
  • 본 연구는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연구의 일환으로서 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발문을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실습과정을 통해 실습생의 교실담화에서 발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였다. 둘 째, 수업상황에서 제기하는 발문의 유형이 다양화면서 학생들에게 설명, 정당화 등과 같이 보다 고등수준의 수학적 사고에 몰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세 째, 재성을 동반하는 발문이 증가하였으며, 학생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발문과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발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발문 유형에서의 변화 양상을 수업 수행 능력 개발 양상과 연결지어 설명하여 개발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수업 능력 개발에 기여하는 바와 사범대학 교육실습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초등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발문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 분석 (Analysis on Teachers' Perception of Questioning and Teaching Practices in Elementary Science Class)

  • 최취임;조민정;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1호
    • /
    • pp.57-70
    • /
    • 2012
  • We investigated the perception and preferred type of question and analyzed type of questions asked by teachers in elementary science class to identify how teachers' perception of questioning is reflected in teaching practices. We collected the data from questionnaires, deep-interview and audiotaped four classes from grade 3 and six classes from grade 6. The data form deep-interview were analyzed interpretively and Blosser' framework of question was used to analyze questions which teachers used in classes. By interpretation of data from questionnaires, the teachers agreed that questioning affects science class in elementary school. There were a littl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questioning among three teachers. They preferred various types of question rather than a specific type. They didn't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questioning. The result showed that the teachers used frequently cognitive-memory question and convergent thinking question, which belonged to closed questions in their science classes. This didn't accord with their preferred types of question. The causes came from objectives of science instruction, degree of understanding about questioning, preference and confidence for science class. From this findings, we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be given opportunities to take training courses in questioning in order to use effective questioning in science class.

수학 수업 발문유형 분석 및 대안 탐색 - 신임 교사 사례 연구 - (An Analysis on the pattern of questioning sentence - A case study for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

  • 강완;장윤영;정선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3호
    • /
    • pp.293-302
    • /
    • 2011
  • 이 연구는 2년차 신임 교사의 사례 연구를 통해 수학수업에 대한 신임교사의 발문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결과, 확인을 위한 발문이 가장 많았으며(69%), 이해를 위한 발문(25%), 성찰을 위한 발문(6%) 순이었고,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은 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신임교사의 발문과 관련된 대안적인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을 제안해 보았다.

수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본 교사의 발문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Questioning Focused on Mathematical Creativity)

  • 한정민;박만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865-88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도형영역 수업에서 수학적 창의성의 관점에서 교사의 발문 특성을 분석하고, 수업에서 사용되는 자료와 수업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신장이라는 측면에서 교사 발문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교사의 발문은 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 수학적 사고력 향상, 수학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나, 수학교육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사의 발문에 관련한 구체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우리나라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4학년 1학기 도형 영역의 삼각형을 주제로 교과서에서 제시한 발문 내용을 분석하고, 실제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교사 발문의 실태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제주교육인터넷 방송국에 탑재 되어 있는 7차 교육과정에 의한 4학년 1학기, 2학기 도형 관련 3개의 수업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수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사 발문의 특성을 창의성의 하위 요소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관찰 대상 교사들은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으로는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해서 교사는 학생들이 다양하게 사고할 수 있도록 자극할 수 있는 발문을 준비하고, 수업 진행시 하나의 발문에 대해 다수의 반응을 유도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PDF

An Elementary Teacher's Journey Through Action Research for Improving Student Responses

  • Noh, Jihwa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245-262
    • /
    • 2021
  • This study describes a sixth-grad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ey through action research for improving students' responses in a mathematics class. In the action research, the influence a teacher's questioning tactics would have on students' ability to determine answer reasonability to mathematics problems was investigated. Drawing on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eacher's lessons, reflection journal and interviews as well as the classroom student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is study examines how action research can affect the teacher and the classroom students. The results suggest the popularization of action research among teachers by teacher training and development programs showing the positive changes in the teacher's performance leading to improved student responses.

예비 과학 교사가 탐구 점수표에 따라 분석한 현장 과학 수업 (An analysis of Science Class According to Inquiry Score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

  • 김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61-573
    • /
    • 2003
  • 학생들의 학업 성취에 교사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과학 수업을 과학 예비교사들이 분석하였다. 과학 교사의 수업을 분석 위한 검사 도구는 수업, 학생 행동, 교사 행동, 발문의 4가지영역으로 구성되었다. 100명의 과학 교사의 수업을 예비 교사들이 참관한 것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과학 교사의 수업은 탐구 중심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교사의 성과 연령의 특성에 따라서 과학 수업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과학 수업이 개념 중심 그리고 교사 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과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사발문의 개발 및 적용 -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Teacher Questioning for Improve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and Its' Application - Case Study for Earth Science Class in High School -)

  • 조규성;박미숙;정덕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1호
    • /
    • pp.122-132
    • /
    • 2009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발문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과학적 창의성을 신장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4년 3월에서 2006년 2월 기간까지 고등학교 학생 1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 반응 평가지를 통하여 발문전략에 관한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또 한국적성검사연구소에서 제작한 창의성 검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과학적 창의성 신장 여부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발문전략을 적용한 교수학습 방법이 과학적 창의성을 신장에 도움이 되었다고 반응하였지만, 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 증진에는 효과가 없었다고 반응하였다. 발문 전략을 적용한 교수학습의 결과 언어유추능력 항목에서 가장 많은 향상을 보인 반면, 계획적 분석능력 항목에서 가장 작은 향상을 보였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 도형유추능력, 언어유추능력, 문장이해력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