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ies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7초

수학영재프로그램이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Gifted-mathematics programs on Creativity Improvement)

  • 조윤희;고호경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3호
    • /
    • pp.499-518
    • /
    • 2017
  • 본 연구는 수학영재프로그램이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한 논문에 대한 메타분석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영재교육이 영재아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성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 결과, 수학영재프로그램이 수학영재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전체 효과 크기는 .66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실험집단의 평균점(중간점)이 통제집단 내에서 75% 정도에 위치하는 효과이다. 둘째, 수학영재프로그램이 창의성의 하위 요소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유창성이 .76, 융통성이 .60, 독창성이 .50, 수학적 사고능력이 .50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학영재프로그램이 미치는 초등영재의 효과크기는 .685로 중등영재의 효과크기 .457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를 중재하는 수학영재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모형 변인으로 효과 크기를 계산하면 문제해결학습과 탐구학습모형이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의 양육행동, 양육참여도,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자녀 간 의사소통이 아동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ternal Parenting Behavio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Father-Child Communication Perceived by Children on Their Leadership)

  • 장영애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17-632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aternal parenting behavio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father-child communication perceived by children on their leadership. A total of 197 children select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fa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parenting behavior index, a child-rearing involvement inventory, a father-child communication inventory, and a children's leadership index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t-test, a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leadership according to the father's education level, family income, the father's warmth/acceptance, the father's family activity involvement, and open/problematic communication between the father and the child. The child's age, the father's education level, family income, the father's warmth/acceptance, open communication, and problematic communic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child's leadershi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hild's leadership may be strengthened if the father is warmer and more accepting and has open communication with the child.

초등학교 실내환경에서 공기 중 세균과 진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Indoor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s)

  • 김나영;김영란;김민규;조두완;김종설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93-200
    • /
    • 2007
  • 울산 소재 초등학교 3곳의 교실과 복도에서, 배양가능한 공기중 세균과 진균의 농도를 조사하고, 이들 미생물을 분리한 후 동정하였다. 세균과 진균의 포집에는 충돌식 공기 채취기를 사용하였으며, 세균수와 진균수의 측정에는 각각 plate count agar와 dichloran rose bengal chloramphenicol agar를 사용하였다. 학기 중 세균 농도는 교실에서 $168{\sim}3,887MPN/m^3$ 복도에서 $168{\sim}6,339MPN/m^3$의 범위였으며, 진균 농도는 교실에서 $34{\sim}389MPN/m^3$, 복도에서 $91{\sim}507MPN/m^3$의 범위로, 상황과 학교에 따른 측정값의 편차는 세균에서 진균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분리한 세균의 84%는 그람양성으로 관찰되었는데, 전체 시험한 세균의 61%는 Micrococcus 속으로, 이중 75%는 M. luteus로 확인되었으며, Staphylococcus속은 전체의 10%수준이었다. Micrococcus 속의 주요 발생원은 사람으로 생각되며, 함유한 색소나 높은 세포벽 함량 등의 생리적 특징이 이들 세균의 공기중 생존력을 높이는 것으로 추측된다. 포집한 시료로부터 15속의 사상성 진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ladosporium 속, Aspergillus 속, Penicillium속 등이 분리한 진균의 69%를 차지하였다. 1개 학교의 교실에서는 Stachybotrys속이 검출되었는데, 이 속의 S. chartarum은 많은 진균독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독소생산과 관련이 깊은 Aspergillus 속, Penicillium속, Stachybotrys 속에 대한 종 수준에서의 동정, 분리한 진균의 독소생산능력, 공기중 진균독소 검출 및 진균 농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등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양육행동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and Parenting Behaviors on Child Happiness)

  • 장영애;김상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65-280
    • /
    • 2016
  •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and parenting behaviors on child happiness. A total of 27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4th, 5th, and 6th grades (139 boys and 131 girl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es of variance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and parenting behaviors did not differ by gender and grades, but child happiness partially differed in response to those factors. Additionally, child happiness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and parenting behaviors. Moreover, fathers involvement in leisure activities, daily-life guidance, and study guidance, as well as their being warm receptive and rejective restrictive parenting behavio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child happiness.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fathers' play important roles in child happiness and that development of an education program for fathers is warranted.

과학교육 기반 인성역량 함양을 위한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프로그램 실천 교사들의 이해 분석 (Analysis of Teacher Understanding After Adapting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e (CoProC) Program on Science Education)

  • 강유진;박지훈;박종석;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2호
    • /
    • pp.133-144
    • /
    • 2021
  • 초중등 과학교사들은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평가, 경쟁적 분위기, 과중한 업무, 시간 부족의 이유로 인성교육을 실천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은 실제로 인성교육을 수업에 적용한 경험이 없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다.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과학 수업에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와 제안점을 논의하는 연구가 흔치 않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그 효과가 논의된 인성역량 함양을 위한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e) 프로그램을 수업 현장에 적용한 교사들의 실천에 대한 것이다. 과학 수업에 CoProC 프로그램을 적용한 5명의 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CoProC 프로그램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인성역량 성취도와 교사들의 두차례 인터뷰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교사의 일반 교직 경력보다는 CoProC 프로그램에 대한 연수, 개발, 수업 경험이 학생의 인성역량 성취에 영향을 미치고, CoProC 프로그램의 목적에 대한 교사의 이해가 수업에서 어려움, 평가, 피드백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 과학교육 관련학회지에 게재된 피아제, 브루너, 오슈벨 이론의 연구동향 분석 (Analyzing the Research Works Published in the Field of Korean Science Education in Relation to Theory of 'J. Piaget', 'D. P. Bruner' or 'J. S. Ausubel')

  • 이선희;전미경;박종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47-455
    • /
    • 2007
  • 본 연구는 국내의 과학교육관련 논문들 중 피아제(J.Piaget), 브루너(J.S.Bruner) 오슈벨(D.P.Ausubel)의 이론에 관련된 논문들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한 것이다. 과학교육관련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기초로 피아제, 오슈벨, 브루너 이론에 대한 연구현황을 학회지별, 연도별, 주요어별, 연구 분야별, 학문 분야별, 그리고 학교 급별로 분류하였다. 대상 학회지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대한화학회지, 새물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초등과학교육학회지였다. 논문을 분석한 결과, 관련논문 99편 중 한국과학교육학회지에 가장 많이 게재되어 있었다. 시기적으로 1990년대 중반에 이들 이론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지금까지도 꾸준히 연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요어별로 분류한 결과 피아제의 '인지발달'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문분야 중에서는 생물분야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연구분야에서는 교수학습 분야가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학교 수준별로는 중학교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결국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피아제, 오슈벨, 브루너의 이론에 관한 연구들이 상대적으로 일부에 편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는 좀더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분석 (Development of web-based and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PBL) and its effect on studies achievement)

  • 김경현;정미경;최운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12
    • /
    • 2005
  • 본 구성주의적 학습 모형의 일종인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을 웹 기반으로 구현하려는 것은 WBI 유형의 다양성을 모색한다는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WBI의 구성주의적 활용안의 구체적 사례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러한 WBI에 의한 교수 학습 과정이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통적 수업 2개 집단과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1개 집단의 총 3개 집단으로 나누어 과학 교과 지도를 통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이 학업성취 향상에 효과적임이 규명되었고, ICT활용 능력에 따라서도 학업성취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은 학습자의 ICT활용 능력의 향상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과학영재 학생들의 메타모델링 지식(MMK) 발달 및 MMK 발달수준과 실제 수행과의 관계 탐색 (Exploring the Progression of Meta-Modeling Knowledge (MMK) and Relationship between MMK Progression Level and Actual Practice for Science Gifted)

  • 김정은;김성기;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2호
    • /
    • pp.111-118
    • /
    • 2020
  • 이 연구는 과학영재 학생들의 MMK 발달 및 MMK 발달 수준과 실제 수행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Rasch 모델을 이용하여 51명 학생의 MMK 발달 단계를 1년 간격으로 2번 측정하였다. 이후 교차검증을 통해 MMK 발달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하였다. 교차검증 결과 영재학생들의 MMK 발달은 통계적으로 유미한 변화가 없었다(p>.05). 두번째로, 7명의 영재 학생을 대상으로 MMK 발달 단계와 수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이 수행에서 보이는 반응은 MMK 발달 단계를 능가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MMK 발달 단계가 높은 학생이 실제 수행에서는 낮은 수준의 반응을 보인 경우도 있었다. 이 두 연구결과는 MMK 발달을 높일 수 있도록 현재 영재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지식과 수행을 연결할 수 있는 영재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사용성과 안전성을 고려한 초등학교 미술교육환경 체크리스트 제안 및 사례연구 - 국내외 공립 초등학교 중심으로 - (The Proposition of the Checklist and the Case Study of Art Education Environment for Usability and Safety - Focusing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ublic Elementary Schools -)

  • 이나영;백진경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16권
    • /
    • pp.299-31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교육이 학생들의 창의력과 심리적인 부분에도 영향을 준다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국내외 공립학교의 미술교육환경을 조사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교실의 안정성을 위하여 디자인방법 측면에서 무엇이 필요한지 살펴보아 공교육의 프로그램과 교육환경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를 제안하여 객관적 평가 기준을 제시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미술교육의 중요성에 관하여 문헌 고찰을 하고 이를 수렴하여 적합한 교실환경 조성을 위한 요건들을 살펴본다. 둘째, 초등학교 미술교육환경의 사용성과 안전성에 대해 분석하고 평가하기 위한 체크리스트를 작성한다. 셋째, 국내외 공립 초등학교 미술교육환경에 관한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제안한다. 그리하여 미술교육을 잘 지지해 주기 위한 교육환경을 마련해주는 지침서로 본 연구가 활용되길 바란다.

제5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환경관련 교재분석 및 학생의 환경교육 실태 분석 연구

  • 박진회;장남기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5권1호
    • /
    • pp.34-46
    • /
    • 1993
  •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ctivit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began in 1970's.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was emphasized since the Forth National Curriculum. The Environmental Curriculum wa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Sixth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Environment-related reference texts of Elementary school were already developed. Soon, 'Environment' of middle school and 'Environmental Science' of high school will be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se environment-related texts in the Fifth National Curriculum and to measure how much environmental education has achieved. As a environmental text for regular class, selected the environmental part in 'Science Part 1' and as environment-related reference text, 'Survival and Environment'. The environmental part of 'Science Part 1' was unit [Life and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objectives, most of unit objectives were not stated in a detailed and precise manner. When the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divided into four fields as follows, knowledge and information, skill, thinking and attitude, behavior and participation, unit objectives were mostly emphasized on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environment, exactly 44.5% of unit objectives and 89.6% of subunit objectives. The degree of relationship between unit objectives and contents was low. All the Check up-problems were about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environment. Environment-related reference text, 'Survival and Environment' was the only reference text f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was organized in the form of the regular curriculum text. It was developed in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Center with support of Korean Environmental Ministry in 1990.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urvival and Environment', the objectives of units and subunits were less stressed on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n those of unit [Life and Environment] in the environmental part of 'Science Part 1' On the other hand, they were a little more stressed on skill, thinking and attitude, behavior and participation. And fifteen of all the seventy subunit objectives were not related with contents. In organization, this text included Thinking problems, Experiments and Inquiries, Reading, Developed studies and Check up-problem etc. It was remarkable that Inquiries leaded to individual activities and Developed studies to group discussions or individual inquiries. And as Check-up problems were presented as a form of activities, students could achieve many various objectives at the same time by solving one problem. To measure the achieve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by questionnaire, 497 high school students in total were selected from five different schools. Scores in subtest 'behavior and participation' and subtest 'thinking and attitudes' were 13.19 and 18.18, respectively. Actually, most students had a positive thinkings and attitudes in their hearts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but many of them actually did not take action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and to protect environment. Scores in subtest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subtest 'skill' were 10.76 and 10.81, respectively. The higher the score students got in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higher the score in 'skill'. It implies that learning of skills is based on learning of knowledges and informations about environment has not always ensured positive thinkings and attitudes or active behaviors and participation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