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et image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7초

가로공간의 활성화 인자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가로구성인자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ivating factors of street space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component factors of streets in Korea and Japan -)

  • 이재원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99-108
    • /
    • 2006
  • 본 연구는 이미 발표된 '가로공간의 번화함을 만드는 요소에 관한 연구'와 '가로경관의 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지속되는 연구로서 가로공간을 구성하는 구조적인자 이외에 어떤 인자가 가로공간의 이미지를 활기차게 조성하는 인자로 영향력 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우선, 선행연구 2편에서 연구대상으로 사용되어진 가로 중에서 가로공간의 구조비율($D/H=0.5{\sim}2$)에 의해 흥미로운 이미지를 갖는 가로가 된다는 이론에 합당한 구조를 가진 가로를 중점적인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그 다음으로 가로구조비율에 의해 쾌적함이나 번화함의 이미지가 있다고 인지되어진 가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가로가 쾌적함이나 번화함이 있다고 느끼는 것은 그 가로가 활성화되었다는 의미로 한정하고 가로활성화인자를 가로구성요소에서 추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가로가 활성화되어서 쾌적한 이미지 또는 번화한 이미지를 느낄 수 있는 가로를 본 연구에서는 '활기찬 가로'라고 명명하였다. 또, 조사지 역도 선행연구와 동등하게 국가별 지역특성별로 구분하여 20개의 가로를 선정하였고 그 중에서 $D/H=0.5{\sim}2$를 벗어난 가로가 활기찬 가로로 느껴질 경우에는 어떤 인자에 의한 영향인지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D/H=0.5-2인 업무지역가로인 경우 가로공간 활성화인자로는 수경시설, 보도, 연도건물인자 순으로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상업지역의 가로의 활성화인자로는 보도, 연도건물, 수경시설 및 조명시설인자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D/H=0.5{\sim}2$를 벗어난 가로구조를 가진 한국의 상업지역가로 5개와 일본의 업무지역가로 1개는 흥미로운 이미지를 갖는 구조를 벗어나면서도 활기찬 가로의 이미지를 갖게 되는 것은 가로공간의 구조적요소 이외에 가로공간 활성화인자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이런 구조를 가진 한국의 상업지역의 가로인 경우 연도건물, 보도, 수경시설 등의 인자 순으로, 일본의 업무지역의 가로인 경우 수경시설, 연도건물, 보도인자 순으로 가로활성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Street Fashion Information Analysis System Design Using Data Fusion

  • Park, Hye-Won;Park, Hee-Cha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6권4호
    • /
    • pp.879-888
    • /
    • 2005
  • Fashion is hard to expect owing to the rapid change in accordance with consumer taste and environment, and has a tendency toward variety and individuality. Especially street fashion of 21st century is not being regarded as one of the subcultures but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as a fountainhead of fashion trend. Therefore, Searching and analyzing street fashions helps us to understand the popular fashions of the next season and also it is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consumer fashion sense and commercial area. So, we need to understand fashion style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y providing visual data and dividing images. There are many kinds of data in street fashion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street fashion information analysis system using data fusion. We can show visual information of customer's viewpoint because the system can analyze the fused data for image data and survey data.

  • PDF

광주 예술의 거리 사운드스케이프의 주관적 평가 (Subjective Evaluation of Soundscape on the Street of Art in Gwangju)

  • 전지현;장길수;김선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14-1017
    • /
    • 2004
  • The Street of Arts Is a famous site for artists as well as tourists in Gwangju, as it harbors clusters of galleries, antique shops, and dealers of materials for fainting and calligraphy, studded with ateliers and traditional tea huts. It is the mecca of arts which Gwangju-ites, who boast of themselves being in the 'Land of Arts', take great pride in, and it has been deemed as symbolizing the cultural excellence of Gwangju and the Honam area. Recently, however, it has been repeatedly pointed out that its glory has been somewhat tamished, and there have been numerous efforts made to restore its declining image. As a way to restore and enhance the image of the Street of Arts, it was decided to apply a soundscape to the area. As on initial step for designing the soundscap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researched: How many kinds of sounds generated in the street were perceived by residents and passers-by\ulcorner How did people feel about the sounds\ulcorner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determine which sounds would be most suitable for enhancing the image of the 'Street of Arts'.treet of Arts'.pos;.

  • PDF

Street Fashion Information Analysis System Design Using Data Fusion

  • Park, Hee-Chang;Park, Hye-Won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5-45
    • /
    • 2005
  • Data fusion is method to combination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street fashion information analysis system using data fusion. It can offer variety and actually information because it can fuse image data and survey data for street fashion. Data fusion method exists exact matching method, judgemental matching method, probability matching method, statistical matching method, data linking method, etc. In this study, we use exact matching method. Our system can be visual information analysis of customer's viewpoint because it can analyze both each data and fused data for image data and survey data.

  • PDF

대구 패션 소비자의 구매성향 분석 - 동성로 야시골목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Shopping Orientations of Small Store User in Yhasi street of Dong-Sung Ro, Daegu)

  • 김정원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1-6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urchasing behavior related factors of Small Store User in Yhasi street of Dong-Sung Ro, Daegu. Frequency, $X^2$-test MANOVA, ANOVA and Duncan multiple range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sam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argest sample were as follows: un married female, college students of twenties, 101-200 thousand won for salaries. 2) The factors of purchasing behavior were classified into 8 factors, enjoy shopping, store image, unique goods, culture space, salesperson, low price, information seeking, value via price orientation.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between attitude on information source, number of seeking store, music in shop, music sound, size, display, price, street, in their factors of purchasing behavior (unique goods, value via price, low price, store image, enjoy shopping)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sonal sales, location, transportation) in their factors of purchasing behavior (salesperson, cultural space, store image).

  • PDF

스트리트 패션디자인분석(分析)을 위한 웹 기반(基盤) 시스템(Web-SFAS) 활용(活用) 연구(硏究) I - 2004 S/S 경남지역(慶南地域) 스트리트 패션 이미지데이터 적용(適用)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Application of Web-based system for Street Fashion Design Analysis - focused on applying fashion image data from Gyeong-Nam Area in 2004 S/S -)

  • 박혜원;박희창;이현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9권5호
    • /
    • pp.77-95
    • /
    • 2005
  • This study was for applying web based street fashion design analysis system(web-SFAS), which was designed in preceding research and realized, to a practical use. Web-SFAS was developed to analyze data fast, accurately, conveniently, and to provide them to related fields by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IT) in fashion design industry. By inputting, sorting and analyzing actual image data into this system, it purposes to check if it needs to be corrected and to verify its operation and application. This study was collected in 2004 s/s 177 points image data and survey results input to the system This system analyzed the results as follow ; First, in all four areas of S/S, many people wear soft materials and plain T-shirts on top and tough material and plain jeans on the bottom. Second, In the case of dresses, in many areas people wear tough fabric plain A-line, one-piece dresses but in Hapsung-dong, many people wear geometrical figures. Third, fashion image, most people wear a sportive casual style with semi casual in a close second. Therefore, web-SFAS can be useful system analyzing for the trendy apparel type, design, material, color, image and variable in demography through street fashion image data.

스토리텔링 테마골목 이미지 및 만족도에 관한 이용 후 평가 -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을 대상으로 -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Image and Satisfaction for Storytelling Theme on the Kim Gwang-Seok Street)

  • 구민아;엄붕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9-68
    • /
    • 2018
  • 본 연구는 최근 도시재생사업으로 재개발, 계획되고 있는 가로 중 스토리텔링에 의한 테마골목인 '김광석다시그리기 길'을 대상으로 이용 후 평가를 이미지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시행하였다. 이는 새로운 장소성을 가진 공간으로 스토리텔링 테마골목 중 낙후된 골목재생을 위해 우리나라 최초로 대중가수의 음악과 예술에 관한 주제로 스토리텔링 장소로써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계획, 관리에 필요한 자료가 되기 위해서이다. 이용자 200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문항과 이용행태, 동기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미지선호도와 만족도평가는 신뢰도분석, 평균치 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추출하였다. 또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그룹의 이미지와 만족도 차이를 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과 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 특성은 20대 학생이 가장 많았고, 이용 동기와 활동유형은 산책과 구경, 사진촬영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미지평가 변수들은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평균치들은 상징적인(5.03), 친근한(4.84), 아름다운(4.71), 밝은(4.63) 등의 순으로 높았다. 요인분석 결과, 거리의 분위기, 디자인성 및 역동성 등의 3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상징적인(${\beta}=.314$), 안정된(${\beta}=.248$), 친근한(${\beta}=.204$), 시원한 (${\beta}=.142$)과 같은 이미지 변수들에 의해 이미지 선호도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만족도평가 또한 매우 높은 신뢰도를 가지며, 요인분석 결과, 시설관리측면, 체험 요인, 이미지 요인 3가지로 분류되었고, 시설물디자인(3.81), 대표거리(3.78), 거리이미지(3.81), 지속적 이용(3.66), 체험관광(3.53) 순으로 만족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거리이미지(${\beta}=.296$), 관리(${\beta}=.277$), 지속적 이용(${\beta}=.205$), 대표거리(${\beta}=.183$)에 관한 4개 변수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김광석다시그리길 스토리텔링 골목의 재생사업 이후, 골목의 이미지는 상징성과 경관미, 친근감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이미지 개선에 성공한 것으로 보이고, 만족도에 있어서는 시설물디자인의 개선, 대표거리로서의 상징성과 이미지의 강화, 다양한 체험 등에서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추후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의 계획과 관리에서는 좀 더 스토리텔링을 통한 장소성을 확립하고, 그로 인해 골목의 정체성과 상징성 또한 높아질 수 있도록 해 나가야 함을 말해 주는 결과로 사료된다.

ResNet 알고리즘을 이용한 가로수 객체의 폐색영역 검출 및 해결 (A Study on Detection and Resolving of Occlusion Area by Street Tree Object using ResNet Algorithm)

  • 박홍기;배경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77-83
    • /
    • 2020
  • 국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도시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최근 스마트시티, 디지털트윈 등 3차원 공간정보 관련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3차원 공간정보 구축은 주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객체를 3차원 입체화하고 실감형 영상인 텍스처링 영상을 추출하여 객체벽면에 영상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하지만 객체 주변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텍스처링 영상에서는 필연적으로 폐색영역이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기술인 딥러닝 기술 중에서 ResNe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건물 폐색을 유발하는 가로수에 대한 데이터셋을 만들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ResNet 알고리즘의 공간정보 적용 가능성을 판단하고 이를 적용한 레이블링 생성 SW 개발하여 실제 가로수를 대상으로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데이터셋을 텍스처링 영상에 적용하여 정확도와 재현율로 검출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위해 딥러닝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정밀도와 재현율을 이용한 F값을 적용하였으며 가로수 단일 객체가 포함된 건물의 측면부 영상과 경사 영상에 대해서는 높은 F값을 도출하여 우수한 성과를 확인하였으나, 같은 해상도를 가진 건물 전면부 영상에서는 그림자 등의 요인으로 F값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가로공간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가로변건축물 형태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Element of Buildings Affecting in Street Spaces)

  • 최임주;조현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27
    • /
    • 2010
  • 가로는 도시를 구성하는 선적(線的) 요소로서 도시 발전의 축이다. 이러한 가로의 본질적 기능은 통행이 목적인 교통공간이지만 이와 함께 사람과 사람의 만남, 휴식, 오락 등의 다양한 활동을 담아내는 커뮤니티의 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가로는 기본적으로 보도와 차도 그리고 가로를 에워싸고 있는 가로변 건축물로 구성되는 3차원의 공간이다. 이때 가로변건축물은 가로공간을 구성하는 중요한 물리적 구성요소로 가로변건축물의 입면은 사람들이 가로공간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로변 건축물의 입면을 구성하는 형태구성요소를 대상으로 가로경관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시지각적 우세요소들을 추출하고 각각의 요소들의 만족도와 선호도를 조사/분석하여 향후 도시가로 경관계획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스트리트 패션디자인분석(分析)을 위한 웹 기반(基盤)시스템(Web-SFAS) 활용 연구(活用 硏究) II - 2004 F/W 경남지역(慶南地域) 스트리트 패션 이미지데이터 적용(適用)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Application of Web-based System for Street Fashion Design Analysis II - focused on applying fashion image data from Gyeong-Nam Area in 2004 F/W -)

  • 박혜원;이현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2호
    • /
    • pp.60-8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and practical use the street fashion design analysis system(Web-SFAS) which was designed in preceding research. Web-SFAS was developed to analyze data fast, accurately, conveniently, and to provide them to related fields by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IT) in fashion design industry. By inputting, sorting and analyzing actual image data into this system, it purposes to check if it needs to be corrected and to verify its operation and application. For this study, 191 street fashion image and paper questionaries were collected on Oct. 16th from 4pm to 7pm in Gyeong-Nam area(4 markets), 2004. This study was processed basically cross research(real time research). The collected data and paper questionaries were analysed by 4 experts who had over Master Degrees, and the results were input to the Web-SFAS system. This system analyzed the results as follow ; First, Top is usually wear T-shirts, cardigan item of soft material, Bottom is usually wear Skirt, jean item of hard material. Second, As for shoes, pumps were the most popular, and as for accessories, diverse items such as shoulder bag, jewelry, and totebag were preferred. Third, fashion image, most people wear a sportive casual style with semi-casual in a close second. Therefore, We also expect that this data can be used a prediction for the next seasons design trends and needs, especially if we make an online database through this development system, then it will be easier to access faster and more accurate fashion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