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torage of kimchi

Search Result 31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백련초 추출물의 김치발효 젖산균과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효과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Backryeoncho(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Extracts as Applied to Kimchi Ferment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Food Poisoning Bacteria)

  • 이영숙;손희숙;노정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213-1222
    • /
    • 2011
  • This research evaluated antibacterial and growth inhibition effects on three kind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five kinds of food poisoning bacteria using Backryencho powder, hot water, 70% ethanol, and 95% ethanol extracts. Antibacterial activity was shown against Leu. mensenteroides for 8 and 10 mg/disc of the 95% ethanol extract solution and strong proliferation inhibition effects were displayed against B. subtilis, Stap. aureus, E. coli, and S. typhimurium.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ccording to certain clear zone formations was shown especially for the 10 mg/disc. A 3% concentration of the 95% ethanol extract showed high growth inhibition effects against lactic acid bacteria, L. brevis, L. plantarum, and Leu. mesenteroids. The measurement of viable cell counts of S. aureus, E. coli, B. subtilis, and S. typhimurium indicated suppression effects by the 3% concentration of the 95% ethanol extract, at 49.60%, 41.54%, 35.95%, 28.82%, and 26.60% respectively.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hot water, 70% ethanol, 95% ethanol extract of Backryencho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and Kimchi fermentation lactic acid bacteria were confirmed through various methods of antibiotic measurement. Based on these results, Backryencho extract is considered a good source for a range of applications as a natural anti-bacterial agent for the storage ability of Kimchi and as a possible food preservative.

배추 및 절임배추의 위생화를 위한 오존살균기술의 이용 (Effect of Ozone Treatment for Sanitation of Chinese Cabbage and Salted Chinese Cabbage)

  • 이경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0-96
    • /
    • 2008
  • 김치가 갖는 신선한 맛과 향을 지니면서 저장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기초실험으로서 냉온살균기술의 하나인 오존살균기술을 이용하여 김치 원부재료 중에 가장 함유량이 많은 배추 또는 절임배추에 오존을 처리하였을 때 이들의 미생물학적 및 화학적 특성변화를 저장기간별로 측정하였다. 배추 및 절임배추에 부착된 총균수는 각각 $1.3{\times}10^7$ CFU/g 및 $7.1{\times}10^6$ CFU/g이었으나 오존처리를 한 경우에는 대조군보다 낮은 균수를 보였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하는 동안에도 대조군보다 낮은 균수를 유지하였다. 효모 및 곰팡이 수는 대조군의 경우 각각 $6.0{\times}10^3$ CFU/g, $1.2{\times}10^3$ CFU/g으로 나타났으나 오존처리시 감균되었으며 저장기간 내내 낮은 균수를 유지하였다. 또한 배추 및 절임배추에 존재하는 성분(ascorbic acid 및 환원당)의 함량 변화와 색도 및 경도의 변화에서는 오존처리에 의한 변화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재료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의 발효특성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by Addition of Different Kinds of Minor Ingredients)

  • 이진희;조영;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8
    • /
    • 1998
  • 부재료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의 발효속도특성 및 미생물학적 발효양상을 조사하였다. 발효 진행에 따라 김치 시료들의 pH는 감소하고 총산도는 증가하였고, 산화환원전위는 감소되다가 다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고 발효 최적기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전 발효 기간 동안 생강, 고추가루 및 혼합시료에서 총생균수와 젖산균수가 많았으며, Leu. mensenteroides의 수는 생강과 고추가루 시료에 많았다. 김치의 적숙기에 젖산균 및 Leu. mensenteroides의 수가 최대이었고 Leu. mensenteroides가 감소하는 시기에 Lac. plantarum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발효속도 및 미생물 특성의 경시적 변화가 마늘 시료에서는 느리게 적생고추 시료에서는 빠르게 진행되었다. 따라서, 마늘은 젖산균 발효를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오래 지속되게 하여 김치의 가식일수를 늘이는 저장성 향상에 필요한 부재료이고, 생강과 고추가루는 젖산균과 그 중 Leu. mensenteroides의 생육을 촉진하여김치 맛을 좋게하는데 도움이 되는 부재료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산화환원전위가 김치의 발효 최적기를 찾는데 유용한 지표가 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Lysozyme, Glycine 및 EDTA의 첨가가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ysozyme, Glycine and EDTA on the Kimchi Fermentation)

  • 이성기;김인호;최신양;전기홍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8-61
    • /
    • 1993
  • Lysozyme, glycine, EDTA의 혼합첨가가 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숙성기간별로 pH 4.0에서 pH 5.0까지 김치액에 각각 120ppm lysozyme과 0.12% glycine을 첨가하였을 때 첨가구가 $10^1$~$10^4$ cfu/$m\ell$만큼 젖산균의 성장이 억제되었고 lysozyme단독 첨가구에 비해 lysozyme-glycine 혼합첨가구가 $10^1$~$10^2$cfu/$m\ell$ 만큼 더 많은 젖산균의 성장이 억제되었다. Lysozyme 단독으로 100, 200, 1,000ppm을 배추김치에 첨가하면 대조구에 비해 발효기간에 따라 pH의 감소는 둔화되었지만 말기에는 처리구간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lysozyme-glycine 혼합 첨가하므로써 적정산도와 pH 변화가 지연되었다. 120ppm과 2mM EDTA로 나누어 첨가한 김치에 대해서도 단독구에 비해 혼합첨가구에서 $10^1$~$10^2$cfu/$m\ell$의 젖산균이 억제되었다.

  • PDF

자일리톨과 자몽씨추출물이 배추김치의 관능성과 발효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Xylitol and Grapefruit Seed Extract on Sensory Value and Fermentation of Baechu Kimchi)

  • 문성원;신현경;지근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46-253
    • /
    • 2003
  • 발효 김치의 보존성과 품질 향상을 위하여 천연의 항 미생물활성물질인 자일리톨(Xyl)과 자몽씨추출물(GSE) 첨가 효과를 조사하였다. 자일리톨 첨가량은 0, 1, 2%(w/w)와 자몽씨추출물 0.1%(w/w)로 하여 6가지 실험처리구(Control, A; 1% Xyl, B; 2% Xyl, C; 0.1% GSE, D; 0.1% GSE+1% Xyl, E; 0.1% GSE+2% Xyl)로 $10^{\circ}C$에서 25일동안 발효시키면서 관능적,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보았다. 관능평가 결과 기호특성에서 조직감, 신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자몽씨추출물 0.1%에 2% 자일리톨을 혼합한 처리구 E가 높은 점수를 받았고, 강도특성에서 냄새와 신맛은 대조구가 높은 점수를 받았고, 조직감은 자몽씨추출물과 자일리톨 2%가 혼합된 처리구 E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pH는 점차로 낮아졌는데, 대조구가 가장 낮은 pH를 보였고, 처리구 E가 발효말기까지 높은 pH를 나타냈다. 전체 발효기간 동안 적정산도,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대조구에 비해서 자몽씨추출물 0.1%와 자일리톨 2%을 함유하는 처리구 E에서 현저히 적었다. 연구결과 자몽씨추출물 0.1%에 자일리톨 2%가 첨가된 처리구 E가 발효숙성을 조절하여 맛과 조직감을 향상시키고, 가식기간을 약 2배정도 연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숙성온도를 달리한 갓 김치의 저장중 이화학적 특성 변화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stard Leaf(Brassica juncea) Kimchi during Various Storage Days)

  • 박삼수;장명숙;이규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52-757
    • /
    • 1995
  • 발효숙성 온도를 달리한 돌산 갓 김치의 저장 중 pH, 산도, 염도, 색도, 비타민 C 등의 이화학적 특성을 알아 보았다. 발효숙성 방법으로는 $4^{\circ}C(A),\;20^{\circ}C(B),\;20^{\circ}C$에서 12시간 숙성시킨 후 $4^{\circ}C$에 저장하는 방법(C), $20^{\circ}C$에서 36시간 숙성시킨 후 $4^{\circ}C$에 저장하는 방법(D)으로 하였다. 돌산 갓 김치 담금 직후의 pH는 5.24이었고, $20^{\circ}C$에서 12시간과 36시간 숙성시킨 후 $4^{\circ}C$에 저장된 C, D군에서 각각 pH 5.13, pH 5.10으로 A군 보다 모두 낮았으며 B군에서는 급속하게 변화하였다. 갓 김치의 적숙기라 할 수 있는 pH 4.6~4.8이 되는 시기는 A군이발효 78~96일, B군은 6~9일, 그리고 C, D군은 모두 68~88일로 같게 나타났다. 총산 함량에 있어서는 담금 직후 0.5%이었고, C, D군은 모두 0.6%으로 A군의 0.5%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또한 pH 4.6~4.8이 되는 시기의 총산 함량에 있어서 A군은 0.75~0.82%, B군은 0.65~0.70%, C군은 0.80~0.81%, D군 0.82~0.84%이었다. 갓 김치의 염도는 $20^{\circ}C$인 B군에서 증가폭이 컸고, 다음으로 D > A > C 순으로 나타났다. 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L, a값은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하였고 b값은 증가하였다. 특히 B군에서 L값이 적숙기에 증가하여 밝아지는 현상을 나타내었으나, 최종 김치의 색은 C > D > A > B 순으로 좋게 나타났다. 발효숙성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총 비타민 C 함량은 9.0~14.0mg%까지 감소하였으며 적숙기에 가서 22.0mg%로 다소 증가 하다가 후기에 서서히 감소하였다. A군은 완만한 감소(25~22 %)를 보인 반면 B군은 다소 감소폭(25~7.0mg%)이 컸다. 발효 후기의 총 비타민 C 보유량에는 A > D > C > B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키토산-아스코베이트 첨가 물김치의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 간 조직에 대한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 of Mul-kimchi on Hepatic Tissue of Rats Fed with High Cholesterol Diet)

  • 백경연;김미정;김소자;양재호;김순동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78-185
    • /
    • 2006
  • 분자량(223, 746, 1,110 및 2,025 kDa)이 다른 chitosan으로 제조한 chitosan-ascorbate(CA223, CA746, CA1110, CA2025)를 각각 0.1%씩 첨가한 물김치의 저장중 항산화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그 중 $10^{\circ}C$에서 20일간 저장한 CA2025 첨가 물김치국물의 투여(5 mL/kg)가 고콜레스테롤식이 흰쥐 간 조직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동물실험은 정상식이군(NC), 고콜레스테롤 식이군(HC), 고콜레스테롤 식이 김치국물 투여군(HCKC), 고콜레스테롤 식이 CA2025 함유 김치국물 투여군(HCCA), 고콜레스테롤 식이 CA2025 1/2 농축액 투여군(HC2CA)의 5개군으로 구분하여 5주간 사육하였다. 20일간 저장한 CA첨가 물김치의 전자공여능은 84.74~89.13%로 증류수 및 0.2% ascorbic 물김치의 35.04 및 75.04%에 비하여 높았다. SOD 활성은 chitosan의 분자량이 클수록 증가하였으며(p<0.05), 무첨가 물김치 보다 10배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HCCA군과 HC2CA군의 체중은 HC군에 비하여 각각 6.9%, 및 8.4%가 감소되었다. 간 조직의 GSH 함량은 HCCA군 및 HC2CA군이 각각 5.39 및 $4.80{\mu}mole/g$ tissue로 HC군보다 22.5 및 9.1%가 증가하였다. HCCA군 및 HC2CA군의 GST 활성은 HC군에 비하여는 각각 219.9% 및 153.79%가 높았으며, NC군 보다도 높았다. SOD 활성은 HCCA 군이 HC2CA군 보다 높은 활성이 나타났으며, NC군 및 HC군 보다 높았다.

  • PDF

한국(韓國)의 전통적(傳統的) 식생활공간(食生活空間) (A Historical Study on the Achitectural Cooking and Storing Spaces in Traditional Korean Houses)

  • 주남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69-179
    • /
    • 1987
  • In the life style of the neolithic age, cooking and sleeping space was in one room dugout without differentiation of spaces, so to say one room system. Ro(a kind of primitive fire place) was used for both cooking and heating. However, in the early part of the Iron Age, the uses of Ro were separated into two major uses of cooking and heating. Especially, L-shaped Kudle(an unique under floor heating structure of Korea) was invented for the new system of heating, extending to Koguryo Period. The life style of Koguryo Dynasty could be seen through the mural paintings of tombs. For these mural paintings contain of cooking space(Kitchen), meat storage, and mill house drawing, we can recognize that houses were specialized many quaters according to their function. Also a kitchen fuel hole for preparing food was built without relation to L-shaped Kudle. But during Koryo Period, Kudle could be set up all over the room, the so-called Ondol(the unique Korean panel heating system) settled down. From this development of heating system, room could be adjacent to kitchen, and kitchen fuel hole and heating fuel hole be onething. This system was developed with variety, extending to Chosun Dynasty. In the period of Chosun Dynasty, a kitchen was made close to an Anbang(Woman's living room), and Anbangs Ondol was heated by the warmth of a cooking fireplace. Therefore Handae Puok, outer kitchen was used in summer. As for its storage space, it was seen that there were a pantry near the kitchen and a store house constructed as an independant building. In the latter, it was devided into a firewood storage, a Kimchi storage, and a rice storage, etc. Especially it is a unique feature that 'Handae-Duyju', an outer rice chest which keeps rice, was constructed as an isolated small building.

  • PDF

계절별 절임배추의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seasonal cultivar of salted-Kimchi cabbage (Brassica rapa L. ssp. Pekinesis))

  • 구경형;최은정;정문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12-519
    • /
    • 2014
  • 본 연구는 계절별 배추 원료의 최적 절임 조건 및 저장성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위하여 계절별 절임배추의 물리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조사와 이들 특성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계절별(봄배추, 여름배추, 가을배추 및 겨울배추) 절임배추의 pH와 적정산도의 경우 가을배추 시료가 $6.02{\pm}0.04$$0.15{\pm}0.01%$로 다른 계절의 절임배추 시료보다 pH는 약간 높고 적정산도는 약간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월동배추가 $7.76{\pm}0.39%$로 가장 높았고, 염도 함량은 계절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총균수의 경우 여름배추가 다른 계절의 배추보다 유의적으로 많은 균수가 있었고 색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직감의 경우 경도(firmness)는 봄배추가 가장 높은 $4.92{\pm}0.06kg_f$였고, 단단한 정도(hardness)는 여름 배추가 $11.71{\pm}0.53kg_f$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한편 계절별 절임배추의 품질 특성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계절별 절임배추와 가용성 고형분 함량, 경도와 1% 유의수준 유의적인 상관성이 있었다. 또 주성분 분석 결과 첫 번째 주성분(F1)과 두 번째 주성분(F2)는(은) 전체 데이터의 각각 35.59%와 27.28%의 설명력을 보여 주었고, 총설명력은 62.87%였다. 주성분 F1은 계절, 밝기,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배추 두께, 총균수와 젖산균 수였고, 주성분 F2는 절임배추의 피크 개수였다. 계절별 절임배추의 품질 특성을 바탕으로 계층적 군집분석 결과 봄배추, 여름배추 그리고 가을과 월동 배추로 3그룹으로 나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계절별 절임배추의 경우 물리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품질 균일화와 고품질의 절임배추를 연중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 계절별 배추의 품질 특성과 절임 적성에 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수산물 김치의 발효과정 중 정미성분 변화 (Changes in the taste compounds of Kimchi with seafood added during its fermentation)

  • 남현규;장미순;서경춘;남기호;박희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04-418
    • /
    • 2013
  • 본 연구는 문어, 전복, 오징어, 주꾸미를 첨가한 김치의 제조 레시피를 확립하여 제조하고 $4^{\circ}C$에서 김치를 저장, 발효시키면서 7일 간격으로 일반성분, 환원당, 유기산, 핵산관련물질, 유리아미노산 등의 영양성분 및 정미성분의 변화에 기인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수산물 김치의 일반성분은 발효기간 중 변화는 미미하였으나 조단백질 함량은 1.98~3.41%로 수산물 김치에서 조단백질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원당은 수산물 김치와 수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가 발효기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특히 수산물 김치에서 감소율이 높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발효 21일째 환원당의 급격한 감소와 반비례하여 유기산의 lactate가 급격한 생성되었으며 특히 문어, 전복, 오징어 및 주꾸미를 첨가하여 제조한 수산물 김치가 수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보다 더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수산물 김치의 hypoxanthine 함량은 발효초기에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발효 21일째부터 수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에서 IMP가 검출되지 않았고 반면에 수산물 김치에서는 발효 35일까지 검출되었다. 문어, 전복, 오징어 및 주꾸미를 첨가한 수산물 김치의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hydroxyproline, citrulline, proline, arginine, taurine 순이었고, 수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는 hydroxyproline, alanine, arginine, valine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taurine의 함량이 같은 발효기간 동안 수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보다 수산물 김치에서 약 2~10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GABA의 경우는 발효후기에 수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보다 약 1.5~3배 정도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문어, 전복, 오징어 및 주꾸미와 같은 수산물 김치와 수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일반 김치간에는, 발효시 변화되는 정미성분 및 일반성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발효과정 중 생성되는 유익한 정미 성분이 일반 김치보다 높게 나타나 수산물을 첨가한 김치가 영양학적으로 우수하고 높은 기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