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ne pol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09초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기단부 전기비저항 탐사 (Resistivity Survey on Stylobate of Five-story Stone Pagoda in Tamni-ri, Uiseong)

  • 오현덕;권문희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3권4호
    • /
    • pp.253-260
    • /
    • 2020
  • 경상북도 의성군 탑리리 오층석탑은 상부구조가 불안정하고 지대석과 기단부의 구조적 변형이 심각한 상태였다. 탑의 기단부 보수공사를 위해서 기단 내부에 석재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여 탑을 안전하게 받치고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하였다. 탑의 기단부는 면석을 모두 제거하여 흙과 깬 돌이 노출된 상태이다. 사용한 전극 배열법은 쌍극자 간격을 다변화시킨 변형된 홑극-쌍극자 배열법 II를 사용하였으며 일반적인 홑극-쌍극자 배열법과 함께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는 직각측선과 같은 심한 지형기복에 의한 왜곡현상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신뢰도 검사를 위하여 축소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탐사결과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의 기단부는 보강 채움 토 내부에 기초석이 존재하고 탑신의 기둥 직하부에 위치하여 탑을 받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7~9세기 석탑조영방법을 통해 본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의 조영방법 고찰 (Consideration on how to build on AndongJotap-ri five-story brick pagoda using the building methodology of a stone pagoda between the 7th~9th century)

  • 김상구;이정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744-754
    • /
    • 2015
  • 동아시아에서 불사의 건립은 도성 및 궁궐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건축 활동 중의 하나로 인지되며, 특히 불탑은 부처의 사리를 모시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 불교건축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불사의 중심에 위치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이 해체 보수 하고 있는 상황에서, 7-9세기 석탑의 내부구조체계를 통하여 전탑의 축조과정 등을 해석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탑의 파괴현상으로 측력으로 인한 밀림현상과 부재의 소성온도, 배합물질의 차이로 인한 부재의 파손을 들 수 있었다. 둘째, 전탑은 석탑과 같이 의장적인 부분과 구조적인 부분으로 구분되어 조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의장적인 부분은 가장자리에 있는 전으로 구성되며, 구조적인 부분은 가장자리 전과 내부 중심까지로 의장적인 전의 안쪽에는 완충공간 즉 상부하중이 수직으로 내려오면서 측력이 발생하는 것을 잡아주는 공간에 석재를 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내부중앙에 목주를 두어 전탑의 조영 시 중심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였으며, 그 중심축은 찰주공의 하단까지 이어져 있었다. 넷째, 찰주공은 따로 내부 적심의 중앙에 따로 분리 축조하였다. 그리고 찰주공의 하단에는 찰주의 안착 및 위치선정, 뒤틀림보정을 위하여 구멍을 뚫어 놓았다. 이로 인하여 찰주는 자중으로 움직이지 않는 철재보다 목재로 설치하였을 가능성을 두었다.

Esoteric Buddhism and the Cross-cultural Transfiguration of Śūraṃgama-sūtra Faith in Goryeo

  • Kim, Sooyoun
    •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 /
    • 제2권2호
    • /
    • pp.169-195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cross-cultural transfiguration of Buddhist faith in Goryeo Dynasty, with a focus on $\acute{S}\bar{u}$raṃgama-s$\bar{u}$tra that used to be in vogue in East Asia. There are three major types of $\acute{S}\bar{u}$raṃgama-s$\bar{u}$tra faith in Goryeo: the first one was concerned about the scripture itself including its citation and publication and the compilation of its annotation books; the second one involved establishing Buddhist rituals related to the scripture; and the final one was to create Dh$\bar{a}$ran$\bar{i}$ stone poles with Dafoding Dh$\bar{a}$ran$\bar{i}$ in Volume 7 of the scripture engraved in stone. While it was the common practice to engrave Zunsheng Dh$\bar{a}$ran$\bar{i}$ in China, the number of stone poles on which Dafoding Dh$\bar{a}$ran$\bar{i}$ was engraved was overwhelmingly large. There are a couple of reasons behind the difference: first, there was a tendency of Zunsheng Dh$\bar{a}$ran$\bar{i}$ being worshiped at the national level in Goryeo, which probably explains why the percentage of Zunsheng Dh$\bar{a}$ran$\bar{i}$ stone poles designed to pray for a personal mass for the dead by engraving Dh$\bar{a}$ran$\bar{i}$ on a stone pole was considerably low. In addition, there were esoteric sects in Goryeo, and it is estimated that they must have got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of Dafoding Dh$\bar{a}$ran$\bar{i}$ stone poles in the former half of Goryeo. Furthermore, the Zen sects had a deep non-Zen understanding of Esoteric Buddhism and tended to practice Dh$\bar{a}$ran$\bar{i}$ in Goryeo. It is estimated that Dafoding Dh$\bar{a}$ran$\bar{i}$ stone poles were set up in large numbers in Goryeo as the prevalence of $\acute{S}\bar{u}$raṃgama-s$\bar{u}$tra faith that continued on since the former half of Goryeo was combined with the Zen sects' active position about Dh$\bar{a}$ran$\bar{i}$.

조선 후기 석제 앙부일구 분석 (ANALYSIS OF ANGBU-ILGU, A STONE MATERIAL IN THE LATE JOSEON DYNASTY)

  • 김상혁;민병희;김재영
    • 천문학논총
    • /
    • 제37권3호
    • /
    • pp.35-47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one Angbu-ilgu (scaphe sundial)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nd the Seoul Museum of History (SMH). Since the first Angbu-ilgu was produced in Korea in 1434 (the year of the reign of King Sejong), Angbu-ilgu has been reproduced with various materials. The upper surface of these two stone Angbu-ilgus symbolizes the horizon. On the hemisphere concave at the center of the horizon, the South Pole, the time line, and the season line are engraved. On the horizon of both the KMA and SMH Angbu-ilgus, the schematic, typeface, and composition of the inscription completely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is study, it was estimated that the appearance of the KMA Angbu-ilgu, which was damaged at some point previously at least once, was similar to that of the SMH Angbu-ilgu, and this means that it is superficially similar with Treasure No 840, the stone horizontal sundial. In the concave hemisphere of both the stone Angbu-ilgus of the KMA and SMH, there are hour lines and 24 solar-term lines (13 line), and there is an intersection point where these lines meet the horizon, respectively. It can be verified that these intersections of these two Angbu-ilgus can be calculated as having a latitude of +37°39'15". The hour lines of the two stone Angbu-ilgus show that they were made after about 1900.

부갑상선 선종에 의한 원발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Primary Hyperparathyroidism due to Parathyroid Adenoma)

  • 박우현;배병진;최순옥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6권1호
    • /
    • pp.68-69
    • /
    • 2000
  • A case of primary hyperparathyroidism due to parathyroid adenoma is presented. A 14 year-old male was admitted to the hospital comptaining of voiding difficulty. The intravenous pyelogram demonstrated a stone in the proximal one third of the left ureter and marked hydronephrosis of the left kidney. The Tc-99m sestamibi nuclear scan demonstrated a hot spot below the lower pole of the left lobe of the thyroid. Laboratory study demonstrated hypercalcemia (12.4 mg/dL) and elevated parathyroid hormone (143.67 pg/mL). A parathyroid gland located below the lower pole of the left lobe of the thyroid was excised. A parathyroid adenoma, consisting of mainly chief cells was found on pathologic examination. Postoperatively the patient had transient hypocalcemic symptoms, which resolved with administration of calcium preparation and vitamin D.

  • PDF

보존을 위한 석조문화재의 특징과 암석의 풍화현상에 대한 연구(II) -전라남도 나주시, 화순군, 장흥군 일부지역-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ne-Cultural-Properties and Weathering Phenomena of the Rocks for Conservation(II) - Naju, Hwasun, and a Part of Jangheung, Cheollanam-do)

  • 이상헌;신철균;최기주
    • 보존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1-60
    • /
    • 1997
  • 전라남도 나주시, 화순군 그리고 장흥군 일부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석조문화재에 대하여 앞으로의 보존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문화재의 특징, 암석의 풍화상태 및 보존상태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에는 석탑과 부도 12기, 석불 4구, 비석 3기, 석등 2기, 석장승 4구 및 석당간 1기 등 모두 26점이며, 이들은 국보 4점, 보물 13점, 도유형문화재 2점, 도문화재자료 3점, 그리고 중요민속자료 4점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석조문화재에 사용되어진 암석들은 주로 역을 함유하는 응회암질암과 화강암류로 되어 있으며 이들은 조사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대체로 주위에 발달하고 있는 암석들은 문화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이들 문화재들은 오랜 시간에 걸친 풍화작용과 이끼들의 영향에 의해 검게 변색되어 있거나 얼룩이 진 것 같은 양상들을 보이고 있다. 많은 부분들이 파손되어 전체적으로 또는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것들도 있다. 최근에 보수한 것들 중에는 상이한 종류의 암석을 사용하였거나 암석의 표면을 다른 색으로 칠하여 전체적으로 이질감을 느끼게 하는 것도 있어 앞으로의 보존에 있어 유의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모든 석조 문화재의 앞으로의 보존계획 수립과 작업에 있어 암석의 종류, 풍화상태 및 틈의 발달 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야 과학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국내 석조문화재의 보전 대책수립을 위한 지질학적 고찰 (Geological Considerations on the Planning of the Corιervation of Stone-Cultural Properties in Korea)

  • 이상현
    • 보존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18
    • /
    • 1998
  • 우리나라에는 전국에 걸쳐 약 1470기의 석조문화재가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가장 대표되는 종류는 석탑, 부도, 석불, 마애불, 비석, 당간지주, 그리고 석등이며 그 외 석장승, 석인상, 수조, 다리, 그리고 산성 등이 있다. 이러한 석조문화재는 대부분이 자연환경에 노출되어 있어 오랜 시간에 걸친 암석의 풍화작용에 의해 파손되거나 훼손되어진다. 따라서 석조문화재의 보전을 위해서는 우선 풍화작용과 이에 연관된 여러 현상들에 대한 지질학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석조문화재를 이루고 있는 암석자체에 대한 것과 풍화작용을 일으키는 요인들에 대한 조사와 원인 분석이 우선적으로 세밀하게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기본적인 조사내용에는 정밀실측, 암석의 종류와 암상의 특징, 암석물성, 풍화현상과 진행상태 및 원인, 암석의 구조선의 발달 상태, 틈의 발달 양상과 원인, 구조적 안정성, 복원시 재사용가능 부재, 그리고 지형적 특징 등이 포함되어진다. 이들 각각에 대한 원인 분석이 이루어지고 이를 바탕으로 보수할 부분과 방법 등 기본적인 보수 원칙을 수립하여 계획서를 작성하여 보수기간과 예산이 산정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가장 바람직스럽다고 판단된다. 계획서에는 접착제 사용 부위 및 종류, 보충할 암석의 암상의 특징, 구조적 안정 유지 방법 및 풍화작용의 진행을 느리게 하거나 예방할 수 있는 방법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 PDF

ANALYSIS OF THE KOREAN CELESTIAL PLANISPHERE: CH'ON-SANG-YUL-CHA-BUN-YA-JI-DO

  • PARK CHANGBOM
    • 천문학회지
    • /
    • 제29권spc1호
    • /
    • pp.433-437
    • /
    • 1996
  • We have analyzed the content of the Korean stone star chart. Ch'on-Sang-Yul-Cha-Bun-Ya-Ji-Do(here-after Ch'on-Sang-Do). In the star map we have found 1468 stars, 4 more than the Chinese star catalog Bo-Chun-Ga. The four extra stars form a constellation, Jong Dae Boo. The map projection law used in the star chart is found to be the polar equtorial and equidistance projection. The linear distance of an object on Ch'on-Sang-Do from the center is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north polar angular distance. We have found from a statistical analysis that most stars with declination lower than 50 are at positions representing the epoch of around the first century. On the other hand, stars near the north pole with declination higher than 50 are at the epoch of about 1300, which is close to the time the chart was engraved. This implies that the original Ko-Gu-Rye Dynasty's star chart has been revised by astronomers of Cho-Sun Dynasty. We have also shown that stars on Ch'on-Sang-Do are engraved in such a way that their area is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visual magnitude.

  • PDF

강원 영서지역 농촌마을의 입지와 비보(裨補)경관과의 관계 (A Study on the Connection of Layout and BIBO Landscape of Agricultural Villages in Gangwon Youngseo Province)

  • 유종덕;윤영활;최장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9-16
    • /
    • 2009
  • This research surveyed the native resources which BiBo(replenishing shortages by helping each other) landscapes have been preserved by aiming at the village settlement spaces of five cities and counties in Gangwon Youngseo province. This research reveals that BiBo landscape patterns of 41 village forests, 23 BiBo symbols, and 6 BiBo ponds were surveyed. The village forests are all 41 places, and were mainly made on the plains in front of villages. BiBo functions of the forests were in the order of the land obstructing the view of the mouth of a river which is the most as 13 places, the land obstructing the view of the mouth of river, situation complements, village protection, and protection against wind. Bibo symbols were all 23 places. Towers, stone towers, menhirs, and Maitreya stones were 12 places, Jangseungs(a signpost raising on the entrance of the village or a temple) were 6 places, Sotdae(a pole raising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as the symbol of a board or a village protecting deity) was 1 place, and the others were made multiply in 4 places. Bibo symbols were located at 21 places in front of villages. The village protection in Bibo functions was 6 places. 6 Bibo ponds were surveyed. Most Bibo ponds were made for earth power leakage prevention.

  • PDF

5개의 연결부를 가지는 역진자형 석조문화재의 동적 해석모델 및 안정성 연구 (A Study on Dynamic Analysis Model and Stability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of Inverted Pendulum Type with 5 Joints)

  • 최재성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21-30
    • /
    • 2021
  • 건축문화재들은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로 인해 많은 손상이 발생된다. 손상된 문화재를 보존하기 위해서 예방보존 및 장기적인 보존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래서 정기적인 점검 시에 적용 가능한 과학적인 비파괴 검사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관련된 연구를 위해서, 여러 문화재들 중에서 높은 깃대 형상의 당간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보존되고 있는 당간들 중에서 보물 제49호 나주 석당간을 선정하여, 구조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 기법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상화된 모델을 제시하고, 다자유도 운동방정식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연결부 위치별 임계 강성 값을 추정할 수 있는 식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