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vation and feeding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1초

Feeding specificity and photosynthetic activity of Korean sacoglossan mollusks

  • Klochkova, Tatyana A.;Han, Jong-Won;Kim, Ju-Hyoung;Kim, Kwang-Young;Kim, Gwang-Hoon
    • ALGAE
    • /
    • 제25권4호
    • /
    • pp.217-227
    • /
    • 2010
  • During feeding on algal cytoplasm, some sacoglossans are known to keep the chloroplasts photosynthetically active for days to months in their digestive cells. Korean sacoglossan mollusks containing functional chloroplasts were screened using an in vivo chlorophyll fluorescence measuring system (pulse amplitude modulation, PAM). We collected six sacoglossans feeding on siphonous and siphonocladous green algae (Elysia atroviridis, E. nigrocapitata, E. ornata, Ercolania boodleae, Placida dendritica, Stiliger sp.) and one feeding on ceramiaceaen algae (Stiliger berghi) and performed feeding experiments using 37 algal species. Three species of Elysia showed strong photosynthetic activity for months. However, P. dendritica maintained functional chloroplasts only for several hours after feeding. E. boodleae, S. berghi, and Stiliger sp. showed no photosynthetic activity in any circumstances. Among all species, E. nigrocapitata was capable to tolerate the longest period of starvation for over 4 months. Four 'solar powered' sacoglossans bonded avidly to their specific algal food. Each species attached to and consumed only one algal species when several algae were given together. While they occasionally consumed other algae after prolonged starvation, they always reverted to their specific algae when available.

Effect of Starvation on Growth and Hepatocyte Nuclear Size of Larval Haddock, Melanogrammus aeglefinus

  • Kim, Bong-Seok;Park, In-Seok;Kim, Hyung-So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6권2호
    • /
    • pp.107-112
    • /
    • 2012
  • Early growth, the rate of yolk sac absorption, and nucleus size in liver parenchymal cells were correlated with the nutritional status of first feeding larval haddock, Melanogrammus aeglefinus. Larvae that successfully began exogenous feeding maintained high growth rates, delayed yolk sac resorption, and had larger hepatocyte nuclear sizes than starved larvae. At 10 days post hatch (DPH) the cumulative mortality in the starved larval haddock group was 100%. The area of the hepatocyte nuclei in starved larvae gradually decreased, reaching its lowest value by 9 DPH. Our results support the current practice of providing the first food supply at 3 DPH. Hepatocyte nuclear size can be used to assess larval haddock nutrition status, and may be a good criterion for assessing the success of transition from endogenous to exogenous feeding.

The Effects of Different Feeding Strategies on the Growth of Young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 in a Freshwater Recirculating System during Summer

  • Cho Sung Hwoan;Jo Jae Yo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8권1호
    • /
    • pp.38-42
    • /
    • 2005
  • We evalu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feeding strategies on the growth of young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 in a freshwater recirculating system during summer. Each of twenty fish (Mean body weight$\pm$ SD; 37. 7$\pm$0.10 g)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each of 24 tanks. Eight treatments were prepared in triplicate. Control fish were hand-fed commercial feed twice daily without starvation. The other seven treatments employed different feeding and starvation strategies ranging from I day starved and 1 day fed (1DS+ 1DF) to 7 days starved to 7 days fed (7DS+7DF). All fish survived to the end of the 44-day feeding trial. The amount of food supplied was highest for the control fish in the control. Food supplied to fish in the 3DS+3DF and 4DS+4DF treatm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fish in the 1DS+1DF and 2DS+2DF treatments, bu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in the 5DS+5DF, 6DS+6DF and 7DS+7DF treatments. The weight gain of control fis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in other treatments. Feed efficiency ratio (FER) for fish in the 7DS+7DF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in the control group, but it did not differ from that of fish in the 1DS+1DF and 2DS+2DF treatments. We concluded that young Nile tilapia raised with different starvation and feeding regimes during the summer in a freshwater recirculating system did not catch up in growth to fish fed daily. However, the enhanced FER of Nile tilapia in the 7DS+ 7DF, 2DS+ 2DF, and 1 DS+ I DF treatments partly explains the compensatory growth of the fish, although their weight gain was relatively low.

Starvation전 제올라이트 및 입상활성탄의 주입이 슬러지 침강성 및 오염물질 처리효율 회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ness of Zeolite and Granular Activated Carbon Addition before Starvation for the Performance Recovering of the Sludge Settleability and Removal Efficiency)

  • 오혜란;김상수;문병현;윤조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4-240
    • /
    • 2010
  • SBR시스템을 이용한 비염분 폐수와 염분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시 starvation이전 제올라이트 및 입상활성탄 주입이 starvation 이후 시스템의 재가동시 시스템의 성능회복에 대해 조사하였다. Starvation 이후 시스템의 재가동시, SVI, floc의 크기, fractal dimension, 유기물 지표인 $COD_{Mn}$과 T-N, T-P의 처리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회복 기간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5일 동안 starvation 후 재가동하였을 때에 초기의 SVI는 증가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floc 크기 및 fractal dimension이 클수록, 유기물, T-N 및 T-P 처리효율도 증가하였다. 시스템의 성능회복은 floc 크기 및 fractal dimension에 상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Starvation 이후 재가동시 오염물질($COD_{Mn}$, T-N, T-P) 처리효율이 정상상태로 회복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담체 주입이 미주입보다 더 짧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여름철 참돔(Pagrus major)의 절식에 따른 생존과 생리적 반응 (Effect of Starvation on Survival and Physiological Response in Red Sea Bream Pagrus major in Summer)

  • 이정용;이정환;허준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620-627
    • /
    • 2016
  • A 60-day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feeding and starvation on the survival, growth, and blood parameters of red sea bream Pagrus major. The starved group was not fed during the first 32 days of the experiment and was then fed for 28 days. The growth rate of the starved fish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fed fish group. Starvation resulted in growth retardation and reductions in final body weight, growth rate, specific growth rate, and condition factor, whereas the fed fish group grew well and maintained a good condition. The growth rate of the starved group that was refe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ed group. Red blood cells, hematocrit, and hemoglobi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ed and starved groups. The cortisol and glucose levels of the fed group of juveni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tarved group. The cortisol levels of the starved group of adul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fed group, whereas the glucose levels of the starved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f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urvival, growth, and hematological parameters used to reflect starvation and feeding in this study provide a useful index of physiological response and survival rate in red sea bream.

누에 유충의 혈림프 유약호르몬 에스테라제 활성의 조절에 관한 연구 (Regulation of Haemolymph Juvenile Hormone Esterase Activity in Larvae of the Silkworm, Bombyx mori)

  • 손흥대;강필돈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5-20
    • /
    • 1992
  • 누에의 5령유충 섭식기 동안 절식, 두흉부 결찰, 재섭식 및 methoprene 등의 처리가 JHE 활성도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누에의 절식 및 결찰처리를 하면 혈림프 JHE 활성도가 감소하였다. 2. 절식누에는 재섭식에 의해 JHE 활성도가 증가하였으며, 재섭식에 의한 JHE 활성도의 증가시기는 절식기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3. 절식누에에 methoprene을 투여하면 JHE 활성도는 5령 기잠과 1일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2일부터 5일에서 절식누에에 비해 1.3-1.4배 증가하였다. 4. 결찰누에에 methoprene을 처리하면 JHE 활성도는 5령 기잠에 변화가 없었고 1일부터 5일에서는 결찰누에에 비해 1.9-2.3배 증가하였다. 5. 이상의 결과에서 5령누에의 섭식기 동안 JHE 활성도의 조절에는 두부요인, JH 및 영양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섭식기에 있어서 JHE는 두부요인과 JH의 공동작용에 의해 조절되지만, 령의 초기에는 두부요인이 그 후에는 JH가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tarvation Induced Changes of Some Biomolecules in Eggs and Hatched Larvae of Indigenous Strain of Bombyx mori (Lepidoptera : Bombycidae)

  • Chaudhuri, A.;Krishnan, N.;Roy, G.C.;Sengupta, A.K.;Sen, S.K.;Saratchandra, B.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권2호
    • /
    • pp.107-110
    • /
    • 2001
  • Variations in protein and nucleic acid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24 hrs old eggs and hatched larvae of Nistari strain, Bombyx mori, exposed to starvation. Three starvation treatments of 24,48 and 60 hrs were given separately from 0 hr old fifth instar larvae. Biochemical variations were studied in the resultant hatched larvae of one time starved parent, while the eggs obtained from parents receiving starvation in two successive generations were considered for the study. In hatched larvae, protein levers in 24 hrs starvation groups remained significantly higher over control (never starved) while the same was found to be lower in 48 and 60 hrs starvation individuals. The RNA concentration remained significantly higher in all the treated lots. However, DNA content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ly altered in hatched larvae after exposure to feeding stress. Protein, RNA and DNA concentration of 24 hrs old eggs produced by all the starved groups of Nistari, which had deceived two consecutive starvation during parental generations, showed higher concentrations of these biomolecules over control. Hence, starvation induced alterations in protein and nucleic acids in eggs and hatched Iarvae are indicative of a preparatory phase adopted by the insect to acclimatise itself and its progeny to stress situations.

  • PDF

적조발생시기 참돔의 절식과 사육밀도에 따른 성장과 혈액성상 (Growth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Red Sea Bream Pagrus major by Starvation and Stocking Density during Red Tide)

  • 김원진;이정용;신윤경;원경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94-204
    • /
    • 2018
  • 본 연구는 매년 C. polykrikoides 적조에 의해 발생하는 양식 어류 폐사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조시기 참돔의 절식과 밀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해상가두리($11m{\times}11m{\times}5m$)에서 섭식-고밀도(F-HD), 절식-고밀도(S-HD), 절식-저밀도(S-LD) 세 그룹으로 구분하여 5주간의 절식 후 4주간의 먹이공급을 통해 참돔의 생존율, 성장, 성장회복 그리고 혈액학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생존율은 F-HD에서 85.5%로 가장 낮았고, S-LD는 97.3%로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5주간의 절식기간 동안 두절식구는 전장, 체중 성장률에서 마이너스 성장을 보여 섭식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하지만 먹이 재공급 후두 절식구 모두 성장회복을 보였다. 특히 S-LD는 먹이 재공급 기간 동안 빠른 성장회복을 통해 보상성장 경향을 보였으며, 섭식구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ALB, TCHO, TP, TG 혈액분석을 통한 실험구의 영양상태는 절식구에서 섭식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먹이 공급 후 실험개시 시 수준으로 빠르게 회복하였다. 스트레스와 생리활성 지표인 Ht, Hb, AST, ALT 그리고 GLU가 적조 노출 후 F-HD에서 동일한 시기에 급격히 상승하여, 적조시기 섭식, 고밀도 사육환경은 양식어류에게 더 민감한 사육환경으로 작용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적조시기 절식과 밀도에 따른 생존율, 성장회복, 혈액성상을 통한 결과를 토대로, 적조 노출에 따른 절식과 밀도 조절이 사육어류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밀도 유기식 배양에서 글루코스 공급 방법이 Serratia marcescens의 균체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ucose Feeding Strategy on Biomass of Serratia marcescens in High Density Fed-Batch Fermentation)

  • 김광;이상록;손정우;지홍석
    • KSBB Journal
    • /
    • 제13권6호
    • /
    • pp.681-686
    • /
    • 1998
  • 5L 발효기에서 글루코스의 투입방법과 배지의 초기 글루코스 농도에 따른 유가식 배양에 의한 S. marcescens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발효기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준 각 유가식 배양에서의 최종란체량이 회분식배양에 비해서 훨씬 높았으며, 유기식 배양종에서도 기질인 글루코스의 공급을 달리하였을 때, 최종균체량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회분식 배양과 유가식 배양중에서 글루코스의 일정비율공급밤법, 글루코스 결핍상태에서의 일정비율공급방법 그리고 지수적 공급방법의 최종균체량은 1.40, 5.07, 6.93 및 7.60g/L 이고, 그 때의 배양시간은 40, 41. 24 및 40hr이었다. 그리고 균체 생산성은 0.035, 0.124, 0.239 및 0.1909/L.h 이었다. 최종 균체량만을 가지고 비교하였올 경우에는 유가식 배양줌에서 지수적 공급방법이 가장 효율적이지만 당위시간당 균체 생산성에서는 글루코스 결핍 상태에서의 일정비율공급방법이 1.52배 정도 높게 나타냈으므로 가장 효과적인 배양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용존산소와 글루코스 루입시가의 상관관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글루코스 결핍상태에서 일정비율로 공급한 방법과 지수적으로 공급한 방법에서 좋은 일치를 보여주었다.

  • PDF

자연산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생식주기와 수온-먹이섭이 및 절식조건에 의한 생식소발달의 인위적 제어 (Reproductive Cycle of Natural Population and Artificial Control of Gonadal Development of Ruditapes philippinarum by the Conditions of Water Temperature-Feeding and Starvation)

  • 정의영;이정식;이창훈;허성범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3-91
    • /
    • 2002
  • 자연산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개체군의 생식 주기와 수온-먹이섭이 및 절식조건에 따른 생식소 발달의 인위적 제어 결과를 조직학적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곰소만 자연산 바지락 개체군의 생식소 발달에 따른 암수 개체의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 (4-5월), 완숙기 (4-8월), 부분산란기 (5-10월), 퇴화 및 비활성기 (8-3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수온에 따른 생식소 발달의 인위적 제어 실험에서, 바지락은 저수온 (10$^{\circ}C$) 에 의해 억제되었다. 19$^{\circ}C$ 및 22$^{\circ}C$의 고수온에 노출시킨 실험구에서 생식소 발달은 고수온에 의해 촉진되었는데, 자연산 개체군의 것보다 약 1달 빠르게 나타났다. 고수온-먹이섭이 실험구에서, 작은개체 실험구의 생식소 발달 단계가 큰개체구 실험보다 더 빠르게 나타났으며, 저수온 (10$^{\circ}C$)의 것보다 더 빠르게 나타났다 (p=0.01). 암, 수 모든 개체들에서 고수온 (22-28$^{\circ}C$)-절식구 실험구의 생식소 발달관계가 고수온-섭이 실험구의 것들보다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paired sample t-test, p=0.004). 42일 경과 후 암컷과 수컷의 먹이섭이-고수온 실험구에서, 고수온-작은개체 실험구 조건이 큰개체의 생식소 발달보다 더 민감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저수온-수컷개체 실험구는 암컷 개체들의 실험구보다 반응이 좀 더 민감하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고수온 실험구의 성적성숙이 저수온구보다 빠르게 나타났으며, 암수 개체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aired sample t-test, p=0.001). 42일 경과 후 절식 실험구에서, 고수온-수컷 큰개체 실험구의 생식소 발달이 고수온-암컷 큰개체 실험구의 것들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작은 개체들의 생식소 발달 단계는 먹이섭이 실험구와 절식 실험구사이에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산란 성기중 암수 개체들의 경우는 고수온-절식 실험구의 생식소 발달이 암컷과 수컷의 성 및 개체의 크기에 관계없이 고수온-먹이섭이 실험구의 것들보다 더 빠르게 나타났으며, 암수간 유의한 차를 보였다(paired sample t-test, p=0.004).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