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outing rate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4초

뽕나무 절지의 저장 습도가 새싹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Humidity on the Sprout Growth of Mulberry Cut Twigs)

  • 배종향;조자용;김병운;장홍기;허북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0-25
    • /
    • 2008
  • 목본류의 절지를 이용한 싹기름 채소생산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뽕나무 가지를 2006년 4월 13일에 절지하여 $4{\sim}6^{\circ}C$의 저온저장고에서 습도조건($40{\sim}50%$$80{\sim}90%$)에 따른 생존율과 $1{\sim}3$개씩의 싹을 붙인 가지를 자른 후 싹기름을 했을 때 저온저장 일수에 따른 새싹의 생장 정도를 조사하였다. 뽕나무 절지의 생존율은 저장일수가 길수록 낮아져 저온저장을 하지 않은 채취 당일에 싹기름을 한 것은 97.4%였고, 122일 저온저장한 후 싹기름을 한 절지는 $40{\sim}50%$의 습도조건에서 34.2%, $80{\sim}90%$의 습도조건에서 저장한 것은 85.7%였다. 또한 절지의 저장일수가 길수록 새싹의 잎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싹의 길이와 폭도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뽕나무의 절지를 $4{\sim}6^{\circ}C$의 저장온도와 $80{\sim}90%$의 습도조건에서 저장한 후 $1{\sim}3$개씩의 싹을 붙인 가지를 잘라 싹기름을 하면 새싹 채소의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섬매자기(Scirpus planiculmis)의 출아특성(出芽特性)과 제초제(除草劑) 스크리닝을 위한 구경(球莖)의 보관방법(保管方法) (Studies on the Sprouting Characteristics of Scirpus planiculmis and Storage Methods of Corm for the Herbicide Screening)

  • 황인택;최정섭;김성은;홍경식;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2-257
    • /
    • 1994
  • 새섬매자기 방제(防除)실험에 사용할 구경(球莖)의 보관방법(保管方法) 및 출아(出芽) 특성(特性)에 대한 조사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새섬매자기 구경표면(球莖表面)의 수분(水分)을 제거(除去)하여 $5^{\circ}C$ 냉장고(冷藏庫)에 보관(保管)하면 연중(年中) 균일(均一)한 상태(狀態)로 구경(球莖)을 보관(保管)할 수 있다. 2. 보관중(保管中)에 출아(出芽)된 구경(球莖)의 유모신장(幼苗伸長)을 억제(抑制)하는데는 NaCl 0.5-1.0% 용액(溶液)이 효과적(效果的)이었다. 3. 새섬매자기 구경(球莖)은 건조(乾燥) 및 냉동(冷凍)에 민감(敏感)한 반응(反應)을 나타내기 때문에 수분감소율(水分減少率)이 15% 이상(以上)이 되면 사용하기 어렵고, 냉동사고(冷凍事故) 발생시(發生時) 구경(球莖)의 사용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4. 새섬매자기 구경(球莖)의 출아(出芽)에는 항온(恒溫)보다는 변온(變溫)이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적합(適合)한 출아온도(出芽溫度)는 $25-35^{\circ}C$에서의 변온조건(變溫條件)이 이상적(理想的)이라 생각되었다. 5. 새섬매자기 구경(球莖)의 출아시(出芽時) NaCl에 대한 내성(耐性)이 동진벼나 논피보다 강하였다. 6. 구경(球莖)을 분할(分割)하였을 경우 출아(出芽)하지 못하는 분할(分割) 구경(球莖)이 발생(發生)하므로 분할(分割) 구경(球莖)을 실험에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았다.

  • PDF

전자빔 조사에 의한 고구마의 발아관련 효소의 활성과 식품특성 변화 (Change of Sprouting-related Enzymes Activities and Foo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weetpotato Root (Ipomea batatas Lam.)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 임성진;송미선;이경애;조재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4호
    • /
    • pp.267-272
    • /
    • 2012
  • 고구마의 식품특성에 변화 없이 발아를 억제할 수 있는 물리적 처리법으로 전자빔의 적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전자빔 조사 후 12와 $25^{\circ}C$에 저장된 모든 대조구와 전자빔이 조사된 중간층(7-12 cm)과 하층(12-17 cm)에 위치하는 고구마는 저장 후 6주와 4주에 각각 발아가 시작되었다. 12와 $25^{\circ}C$에 저장된 고구마의 발아율은 저장기간의 경과, 조사선량의 감소, 전자빔과 고구마 간 간격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고 발아율은 12와 $25^{\circ}C$ 저장 후 8주에서 각각 대조구 11.2-12.4와 70.5-74.2%, 전자빔 조사구 8.6-11.3과 42.7-48.7% 이었다. 한편, $4^{\circ}C$에 저장된 모든 고구마와 전자빔 조사 후 12와 $25^{\circ}C$에 저장된 상층(0-7 cm)에 위치한 고구마의 발아는 peroxidase와 indole acetic acid (IAA) oxidase의 활성증가로 인해 완전히 억제되었다. 또한 전자빔이 조사된 모든 시료는 경도, pH, 당도, 중량감소, vitamin C 함량 및 ${\beta}$-carotene 함량에 있어서 대조구와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고구마를 박스에 포장하기 전 0.1 kGy 이상의 전자빔 조사 시 $25^{\circ}C$에 저장하여도 식품특성에 변화 없이 발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consecutive shoot-cutting for 3 years on saplings' sprouting regeneration ability of six deciduous oak species in Korea

  • Lee, Seung-Yeon;Cho, Kyu-Tae;Jang, Rae-Ha;You, Young-H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3호
    • /
    • pp.66-71
    • /
    • 2017
  • Background: The sprouts of oak spec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the oak community in a disturbed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cut 1-year-old oak in three times during the 3 years and measured the sprout responses to know sprouting ability of six deciduous oaks in Korea. Results: Oak sprouts have appeared in spring and fall, and some of the sprouts had lifespan as short as a month. As the number of cutting increases, sprout number of Quercus acutissima increased whereas the other oak species decreased or died. The average number of sprouts over the 3 years was from 1.4 (Quercus mongolica) to 2.2 (Q. acutissima) per individual. Quercus serrata died after the second cutting, and Quercus dentata died after the third cutting. So, the two species have the lowest sprouting ability among six oak species. The sprouts grew actively during fall and slowly in summer. The sprout length during the 3 years was in the following descending order: Q. acutissima, Quercus aliena, Q. dentata, and Q. mongolica. Sprout of Q. acutissima and Q. aliena generated steadily over the 3 years, and sprout of Quercus variabilis and Q. mongolica was changed by year. After the 3 years, the number of sprouts increased only in Q. acutissima but sprout number of the other five oak species decreased. The sprout length of Q. acutissima, Q. aliena, and Q. variabilis increased, but sprout length of the other three oak species decreased. The average survival rate of saplings over the 3 years was in the following descending order: Q. acutissima, Q. aliena, Q. variabilis, and Q. mongolica. Conclusions: As a result, the sprouting ability of Q. acutissima was the highest. Such level of sprouting ability may be the evidence of how Q. acutissima community exists as a dominant species in a disturbed environment in lowlands of Korea peninsula.

저장 및 저장후 유통조건에 따른 마늘(Allium sativum L.)의 생리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ologcal Properties of Garlic (Allium sativum L.) by Storage and Marketing Condition after Storage)

  • 최선태;장규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5-110
    • /
    • 1998
  • To find out suitable storage and marketing condition, northern type 'seosan' garlic was stored for 3 months at controlled atmosphere(CA), modified atmosphere(MA), low(0~1$^{\circ}C$) and room temperature(20$\pm$5$^{\circ}C$), and then marketed at low(2~3$^{\circ}C$) and room temperature (20$\pm$5$^{\circ}C$)after storage.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garlic were investigated among treatments. The garlic respiration increased after 2 months at room temperature storage, which seem to be dormancy break time. During storage of garlic by CA, MA condition, sprouting and weight loss were prevented effectively by suppress of respiration, and hardness was maintained higher then those of the others. Decay rate occurred 8.1% at room temperature storage, 2% at MA storage but didn't occurred at CA and low temperature storages. When marketed at room and low temperature after storage, increment of respiration and sprouting were delayed, and changes of weight and hardness were low in garlics stored at CA and MA. Decay rate occurred high in garlics stored at MA and room temperature.

  • PDF

질소 추비시용이 밀 수발아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al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on Decreasing of Preharvest Sprouting in Winter Wheat)

  • 김영진;김학신;강천식;김경훈;현종내;김기종;박기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69-176
    • /
    • 2013
  • 본 연구는 질소 추비 시용수준을 달리한 비배관리가 수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금강밀과 조경밀을 공시하여 질소 추비 처리 수준별로 출수기, 생육, 종실특성 및 수발아 관련 형질을 비교하였다. 질수수준 증가에 따라 간장, 수장, 경수 및 영화수가 증가했으나, 임실율은 2010년에는 질소 50% 증비(108 kg N/ha)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2011년에는 100% 증비(144 kg N/ha)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밀 종실 특성 중 천립중, 리터중 및 수분함량은 질소수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종실 수량은 질소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50% 증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였다. 종실의 단백질 함량을 살펴보면 질소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는 경향을 보였으며 100% 증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금강이 조경보다 높은 단백질 함량을 보였다. 밀 종자의 수발아 관련 형질간 비교에서는 질수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발아율, Germination index 및 ABA sensitivity가 점차 감소했는데, 이는 종자의 수발아율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왔다. 밀 종자의 Germination index는 금강의 경우 무비(추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에는 조경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질소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밀 종자의 수발아율은 조경의 경우 50% 감비에서 24.7%, 금강의 경우 무비(추비)에서 19.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질소 처리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수발아율은 점차 감소하였다. ABA sensitivity와 수발아율 간에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어 ABA sensitivity를 간이 수발아 검정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조직배양 마늘의 양액재배시 종구크기, 상토, 재식깊이 및 양액조성이 맹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lb Size, Type of Media, Depth of Planting, and Nutrient Compositions on the Growth of Tissue Cultured Garlic Microbulbs in Hydroponic Culture)

  • 최영일;선정훈;정경호;신성련;백기엽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7-142
    • /
    • 1999
  • 양액재배에 의한 조직배양 마늘의 종구 생산시 종구의 크기, 배양토 종류, 재식 깊이와 양액조성이 맹아 소요일수, 맹아율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하였다. 양액종류, 종구의 크기에 관계없이 재식깊이를 1cm로 하였을 때 깊게 심은 (3cm)식재구에 비해 최초 맹아일수 및 맹아율이 크게 단축되었다. 반면 수확 후 종구의 직경, 무게 및 식물체 생체중은 재식 깊이 3cm로 하였을 때 다소 증가하였다. 종구의 크기는 맹아율, 맹아일수뿐만 아니라 식재 후의 생육에도 크게 영향을 미쳤는데 조직배양시 가능한 큰 종구를 생산하는 것이 토양이식 후 양호한 생육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오리엔탈 양액 (N=0.17, P=0.45, K=1.29, Ca=2.44, and Mg=0.98 me/L)은 야마자끼 (N=0.27, P=0.16, K=1.50, Ca=1.36, and Mg=0.78 me/L) 양액보다 종구의 생장과 맹아율이 높았다. 식재용토로써 부엽, 바크, 모래를 혼합한 상토나 바로커를 이용하였을 때 수확 후의 종구의 직경, 무게 및 식물체 생체중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 PDF

지벨레린 최아처리가 춘파대맥의 발아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routing Treatment with Gibberellin to Germination and the Growth of Spring Barley)

  • 원종익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7-121
    • /
    • 1969
  • 춘파과맥 ${\ulcorner}$완주봄보리${\lrcorner}$의 종자를 5~100ppm의 지벨레린의 용액에서 백체출현기까지 최아하여 발아 및 포장시험을 실시한바 그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벨레린최아에 으하여 발아율의 감퇴없이 2 (상온구)~3일(저온구)의 발아촉진을 보였다. 2. 지벨레린최아를 하면 초기생육촉진이 일면으로는 주장적현상이 현저하였는데 그경향은 고농도 일수록 심하다. 3. 지벨레린최아로 근생장의 억제작용은 전연 인정되지 않았다. 4. 포장조건에는 발아촉진의 효과가 별로없었고 고농도처리에서는 발아율의 감퇴를 초래하여 수수감소 및 수량감소를 초래하였다. 5. 고농도일수록 초기의 주장화경향이 심하고 회복도 늦으나 생육중기에 가서는 거의 모두 정상으로 회복되며, 따라서 출수 성숙 및 간장이 처리에 의한 변이를 보이지 않았다. 6. 5~10ppm의 농도에서는 발아저해가 적고 초기의 주장화경향이 적으며 수수감퇴도 적은 반면에 수장이나 천립중은 증대경향이어서 결과적으로 중수경향을 보였으나 재 검토가 필요하다. 7. 지벨레린 최아만으로는 발아촉진은 기대되나 조숙화는 기대되지 않는다.

  • PDF

발아식품의 품질보존을 위한 전리방사선의 이용 (Utilization of Ionizing Radiation on the Preservation of Sprouting Foods)

  • 윤형식;권중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권
    • /
    • pp.79-84
    • /
    • 1985
  • 저장상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감자, 양파, 마늘 및 밤의 장기 저장법 개발을 목적으로 수확후 l개월 이내에 Co-60 감마선을 조사하고 냉동기를 가동하지 않은 자연저온 저장고에 각각 저장하였다. 저장중 시료의 발아는 감자가 150Gy, 양파 및 마늘이 50Gy 밤이 250 Gy의 선량으로 8~10개월간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다. 감마선 조사에 따라 부패율은 상당히 감소되었으며, 중량감소에 있어서도 적정선량의 조사는 네가지 사료에서 6~24%의 감소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발아식품의 품질에 관여하는 성분인 수분, 당 및 비타민 C의 함량은 저장기간의 경과로 비조사구에 비해 조사구가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들 식품의 장기 안전저장을 위해서는 감자, 양파 및 마늘은 50~150 Gy, 밤은 250 Gy 정도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자연저온저장고($10{\pm}5^{\circ}C$ R.H. 75~85%)에저장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하였다.

  • PDF

기온과 봄 식물계절지수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Spring Phytophenological Index)

  • 장정걸;유성태;김병도;손성원;이명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6-115
    • /
    • 2020
  • 본 연구는 봄 식물계절지수와 기온지표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지난 9년간(2010년-2018년) 대구수목원, 팔공산, 주왕산, 가야산에 공통적으로 생육하는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신갈나무, 진달래, 생강나무, 당단풍나무 6종을 대상으로 발아, 개화, 개엽의 봄 식물계절 시기의 변화 경향과 기온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기온의 변화는 9년동안2월 보다 3~4월의 월평균 기온이 증가하였으며, 지역별로 수목원과 팔공산의 평균기온이 높았다. 발아, 개화, 개엽은 수종별로 생강나무가 가장 빠르며 소나무가 가장 느렸고, 지역별로 수목원에서 가장 빨리 식물계절시기가 도래하였다. 봄 식물계절시기는 -1.267~-6.151일/9년 정도 앞당겨지고 있는 경향을 보이는데 소나무(-6.151일/9년)가 가장 크며, 진달래(-1.267일/9년)의 변화율이 가장 낮았다. 발아, 개화, 개엽에서 모두 유의한 값을 보이는 수종은 진달래와 소나무로서 이들은 1월~3월 평균기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봄 식물계절지수(SPI)의 시계열 변화를 확인한 결과 4개 지역의 변화율이 모두 음의 값으로 식물계절 시기가 모두 빨라지고 있었다. 그 중 수목원, 팔공산 및 가야산과 같은 내륙지역일수록 변화율이 컸으며, 다소 거리가 떨어진 주왕산의 경우 변화율이 조금 낮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