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out rot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9초

Occurrence of severe soybean-sprout rot caused by Pythium deliense in the recirculated production system

  • Yun, Sung-Chul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92.2-93
    • /
    • 2003
  • Severe soybean-sprout rot was found at the mass productive factory in 2000 and 2001 and it caused 10-20% loss of the production. Pythium sp. was isolated almost 90% by potato dextrose agar from rotted root and hypocotylsof the sprouts. And the pathogencity tests using test tubes with 2% water agar and small containers (30 ${\times}$ 30 ${\times}$ 50 cm, WxLxH) cultivation were shown a similar rot on roots and hypocotyls. The fungal mycelium grew rapidly on the water agar and it prevented the seed germination. Density of the Pythium sp. in the recycled water system at the factory was periodically measured using a selective medium, corn meal agar with Pimaricin 10 mg, Rifampicin 10 mg, Ampicillin 100 mg per 1 liter in order to check the contamination of recycled water. After fitering step using 5 and 1 ml in the recycled system was applied and it was effectively controlled Pythium rot. The daily yield of sprout was stable and the occurrenceof Pythium in the recycled water was much less after filtering. The fungal isolates were identified as Pythium deliense Meurs based on various mycological characteristics on corn meal agar and sucrose-asparagine bentgrass leaf culture medium. P. deliens oogonia were spherical, smooth, 19-23 urn in diameter, and their stalk bending toward antheridia. Antheridia were straw hat-shaped, curred club-shaped, therminal or intercalary, monoclinous, occasionally diclinous, 12∼15 ${\times}$ 8∼11 um, 1(∼2) per oogonium.

  • PDF

고구마 품종의 흑반병 저항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Resistance of Sweet potato Varieties to Black Rot(Ceratocystis fimbriata E.))

  • 박근용;성락춘;함영수;정봉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8-125
    • /
    • 1978
  • 고구마 보유품종 및 계통들에 대한 흑반병의 저항성을 검정하여 육성모본으로 훈용하고자 병원균을 배양 접종하여 실내검정(1977연)과 고구마 묘에 접종 포장검정(1976∼'77연)을 실시한 결과 1. 실내검정 및 포장검정에서 흑반병 저항성의 품종간 차리는 현저하였으나 포장검정결과는 실내검정 결과에 비하여 연차간의 변이가 크게 나타났다. 2. 실내접종 검정에 공시한 165품종 및 계통중 수원3003, 수원3005등 15계통이 특히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3. 포장검정에서는 161품종 및 계통중 천미, 유심 등 54계통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실내 및 포장검정 양측에 모두 강한 품종 및 계통들은 수원59호. 수원8001. 수원90호, 농림17호, 농림2003, 70일조, 사천종3006, Hamkao, Kandee등이였다.

  • PDF

Colletotrichum species에 의한 콩나물 부패 (Soybean Sprout Rot Caused by Colletotrichum species)

  • 김용기;류재기;류재당;이상엽;이승돈
    • 식물병연구
    • /
    • 제8권3호
    • /
    • pp.175-178
    • /
    • 2002
  • 1997년 수원 근교 콩나물공장에서 재배하는 콩나물에서 2종의 Colletotrichum에 의한 부패증상이 발생되었다. 한 종은 검은 계란모양의 분생자층을 형성하였으며, 그위에 검은 바늘모양의 강모(65~110$\times$3.5~6.6 $\mu\textrm{m}$)를 다수형성하였다. 포자는 초생달모양으로 격막이 없고 투명하였으며 그 크기는 21.5~22.5$\times$3.5~4.0 $\mu\textrm{m}$이었다. 다른 한가지 병원균의 포자는 곧은 타원형으로 크기가 14.0~17.5$\times$3.5~4.5 $\mu\textrm{m}$ 이었고 부착기의 크기는 6.3~8.5$\times$4.5~5.0 $\mu\textrm{m}$ 이었다. 이들 병원균의 배양적, 형태적 특성에 의거, Colletotrichum tmncatum과 C. gloeosporioides로 동정되었다. 두 가지 병원균은 병원성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였다. C. tuncatum은 콩나물의 부위에 관계없이 진한 갈색 병반을 형성하였고, 병원성도 높았으며 병 진전도 빨랐다. 반면에 C. gioeosporioides는 자엽에 연한 갈색의 반점을 일으켰으며, 병원성은 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최초로 보고되는 C. tuncatum과 C. gloeosporioides 에 의한 부패병을 콩나물탄저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콩나물 부패경감에 유용한 약제 선발 (Selction of Useful Chemicals Reducing Soybean -Sprout Rot)

  • 박의호;최연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87-493
    • /
    • 1995
  • 본 실험은 콩나물 재배과정 중에 일어나는 부패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이 허가된 산성 식품 첨가제들을 대상으로 그 이용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다소 노화된 은하콩을 재료로 콩나물 배축의 부패에 관여하는 균(부패균)을 순수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고, propionic acid 등 8가지 약제처리가 부패균의 증식 억제효과를 인왕배지상에서 검토하였다. 또한 1% 이하의 약액처리가 콩나물 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약해유발의 가능성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패균으로 확인된 3종류의 균계를 대상으로 Gram stain등 8가지 미생물학적 검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상호 약간의 특성 차이는 있었으나 Pseudomonas속의 균계로 판단되었으며, 분리된 곰팡이류 중에는 부패균이 없었다. 2. 5% 이상의 농도에서는 공시약제 중 sodium hypochlorite의 부패균 증식억제 효과가 가장 컸으나 발아를 극심하게 저해하여 실용성이 없다고 판단되었다. 3. Propionic acid, acetic acid, calcium propionate, sodium propionate등의 약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propionic acid와 acetic acid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뚜렷하였다. 4. Propionic acid, acetic acd, calcium propionate, sodium propionate 등의 선발된 4가지 약제는 1.0% 및 그 이하의 농도에서도 다소의 부패균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나 부패경감제로서의 충분한 이용 가능성을 보였다. 5. 1%이하의 용액에 콩종자를 침지처리 하였을 때 무처리에 비해 선발된 4가지 약제처리에서 모두 발아율, 초기생육 및 비정상발아 개체율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약해는 문제시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Pseudomonas sp. 유래 녹두 부패병의 병 저항성 녹두 계통 검정 (Evaluation of the Resistance of Mungbean Lines to Sprout Rot Caused by Pseudomonas species)

  • 벨루사미비제야난드;박의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987-990
    • /
    • 2012
  • 녹두나물(숙주나물)은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채소다. 그런데 녹두나물 재배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녹두나물 무름병은 녹두나물 생산량은 물론 품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녹두나물 부패 조직으로부터 70계통의 병원균을 분리하였으며, 각 병원균의 병원성을 검정하였다. 그 가운데 강한 병원성을 가진 Pseudomonas 균류의 계통 YV-St-033를 확인하여 선발하였으며, 분리된 병원균계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유전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YV-St-033는 P. mosselii, P. putita, P. fluorescens, P. entomophila, P. lecoglossicida 등의 종이 속한 그룹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Pseudomonas mosselii R10 strain과 가장 높은 염기서열 identity (약 99%)를 보였다. 또한 YV-St-033 strain을 이용하여 영남대학교에서 보유하고 있는 녹두 유전자원들에 대해 녹두나물 무름병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3일간 배양한 녹두에 병원균을 접종하고 녹두의 생장율을 비교한 결과 YV148 line에서 높은 저항성이 확인되었으며, 그 외 녹두 계통에서도 부분적인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숙주나물 무름병에 저항성을 보인 YV 148 계통은 나물이 가늘고 연하고 생장율이 우수하여 앞으로 품종 육종의 좋은 재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콩나물 부패를 일으키는 Fusarium spp.의 동정과 병태조직학적 관찰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and Identification of Fusarium spp. Causing Soybean Sporut Rot)

  • 오병준;박원목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71-475
    • /
    • 1996
  • 콩나물의 생육부진과 부패는 콩나물 재배에 중요한 제한요인이다. 콩나물 부패 병원 진균으로 Fusarium moniliforme, F. oxysporum과 F. solani를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은 종자 발아 후 3∼5일이 지난후 콩나물의 중간 이하에 연한 갈색의 외부 병징을 만들며 발아 후 6∼7일 경에 병징이 더욱 진전하여 진한 갈색의 외부 병징을 나타냄으로써 콩나물에 대한 병원성이 인정되었다. Hand-section과 microtome-section에 의한 병태 조직학적 관찰에서 F. oxysporum 접종 후 4일이 경과하여 초기 병징을 보인 조직에서 균사가 피층, 세포간극, 목부, 사부, 수에 분포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 PDF

콩 잎에 서식하는 세균 및 콩나물 부패균의 밀도 변화 (Population Density Changes of Bacteria and Soybean Sprout Rotting Bacteria on Soybean Leaves)

  • 최재을;이은정;신철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2-160
    • /
    • 1999
  • 1. 콩잎의 세균밀도는 4.60$\times$$10^2$~ 9.10$\times$$10^{5}$CFU/$\textrm{cm}^2$으로, 생육단계가 진전됨에 따라 세균밀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콩나물 부패 세균의 밀도는 콩잎에서 0~5.00$\times$$10^3$CFU/$\textrm{cm}^2$으로, 부패세균의 밀도는 생육단계에 관련이 없었으나 재배지역과는 관련이 있었다. 3. 나물 콩 품종과 콩나물 부패세균의 밀도는 품종과 관련이 적었으며 생육단계와 작물의 부위에 따라 변이가 심하였다. 4. 콩잎에서 분리된 콩나물 부패세균은 Erwinia cypripedii, E. carotovora subsp. carotovora, Xanthomonas campestris pv. glycines, Staphylococcus sp., Micrococcus sp. 이며, E. carotovora subsp. carotovora, X. campestris pv. glycines가 밀도가 높았다.다.

  • PDF

Colletotrichum Disease of Mungbean Sprout by Colletotrichum acutatum

  • Kim, Dong-Kil;Lee, Sun-Chul;Kang, Jin-Ho;Kim, Hee-Ky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203-204
    • /
    • 2003
  • Decayed samples of marketed mungbean sprout were collected from Sacheon, Suncheon, and Dangjin cities in Korea. Initial symptom on hypocotyls was dark-brown diamond speck, which developed into enlarged sunken brownish-black spot with irregular margin, followed by softening yellowish decay. Brown speck on cotyledon further developed into irregular lesions. This study isolated the fungus Colletotrichum sp. The fungal colony was pale orange, which turned greenish gray after 1 week at $25^{\circ}C$. Colony of reverse side in a petri dish was pink. Neither conidiomata nor setae were present in the culture. Typical fusiform conidia sized 7.5-15.0$\times$2.5-2.9 $\mu\textrm$were hyaline, aseptate, smooth, and had salmon color in mass. Conidiogenous cells were phialidic, hyaline, smooth, and cylindrical with terminal distinct collarette. Basedon these mycological characteristics, the casual organism was identified as Colletotrichum acutatum. This is first report of Colletotrichum acutatum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