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e rec-assay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9초

효소적 갈변 생성물의 DNA 손상에 대한 효과 (Effects of Browning Reaction Products on DNA Damage)

  • 이지은;김안근
    • 생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40-244
    • /
    • 2000
  • Antimutagenicity profiles of the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EBRP) were investigated. The rec-assay with Bacillus subtilis strains $H17(rec^+)$ and $M45(rec^-)$ was carried out using their spores. The biological activities were evaluated for seven different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which resulted from the reactions of seven polyphenols with polyphenol oxidase isolated from Ginkgo biloba leaves. In the spore $rec^-$ assay, most of the polyphenolic compounds tested were positive, whereas their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were tested negative. The mutagenicity of enzymic browning mixtures of the polyphenols and the enzymes obtained from Ginkgo biloba leaves showed negative results in the mutagenicity test using Bacillus subtilis strains $H17(rec^+)$ and $M45(rec^-)$. In the case where polyphenol oxidase inhibitors were added in the enzymatic reaction mixtures with polyphenols, the polyphenols showed mutagenic effect in the spore $rec^-$ assay. This suggests that the activity of polyphenol oxidase is decreased.

  • PDF

고구마효소 갈변반응생성물의 항돌연변이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Sweet Potato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 박귀근;함승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98-504
    • /
    • 1992
  • 고구마효소 갈변반응생성물(SPEBRP)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DNA breaking test, spore rec assay, Ames test를 행하였다. DNA breaking test에서 catechol- 및 hydroxyhydroquinone-SPEB-RPs는 $Fe^{2+}$ 존재하에서 DNA breaking effect를 저해하였다. Bacillus subtilis H17(rec+) 및 M45(rec-)를 이용한 spore rec assay엣 3,4-dihydroxytoluene-SPEBRP는 MNNG에 대하여 강한 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Salmonella typhimurium TA98 및 TA 100를 이용한 Ames test에서 pyrogallol-, 3,4-dihyd-roxytoluene-, hydroxyhydroquinone-SPEBRPs 들은 발암물질인 Benzo($\alpha$)Pyrene에 대하여 67.71, 63%의 강한 활성억제를 나타내었다.

  • PDF

고초균에서 폴리페놀로 유도된 DNA 손상에 대한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억제효과 (The Inhibitory Effect of Polyphenol Oxidase on Polyphenol-Induced DNA Damage of Bacillus subtilis)

  • 김안근;김유경;강영숙
    • 약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30-334
    • /
    • 2005
  • Antimutagenic activity of the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EBRPs) was investigated by using the spore rec-assay with Bacillus subtilis strains H17 $(rec^+)\;and\;M45 (rec^-)$. The EBRPs tested were prepared from the reactions of five different kinds of polyphenols with polyphenol oxidase isolated from the leaves Perilla frutescens. In the spore rec-assay, most of the polyphenolic compounds tested showed positive, whereas only their tested compound showed negative respectively. In addition of polyphenol oxidase inhibitors such as cysteine, glutathione and ascorbic acid to the reaction mixtures consisted with the polyphenol oxidase and polyphenols, the mutagenic effects were increased in the spore recassa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activity of polyphenol oxidase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duction of mutagenicity of polyphenols.

양송이 유래 Polyphenoloxidase에 의한 Polyphenol 화합물의 효소적 갈변생성물의 돌연변이 억제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of polyphenol Compounds by polyphenoloxidase derived from Mushroom(Agaricus bisporus))

  • 오흥석;함승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1-346
    • /
    • 1992
  • 양송이(mushroom : Agaricus bisporus)로부터 polyphenol oxidase를 추출하여 4종류의 polyphenol 화합물과 반응시켜 양송이 효소 갈변반응생성물을 얻고, 이들 갈변물질들에 대하여 B. subtilis $H17(rec^+)$$M45(rec^-)$를 이용한 spore rec-assay, S. ty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 test 그리고 E. coli PQ37을 이용한 SOS chromotest를 실시하여 돌연변이원성 및 항돌연변이원성을 검토하였다. Spore rec-assay에서는 4가지 갈변물질 모두 B. subtilis $H17(rec^+)$$M45(rec^-)$ 두 균주에 대하여 생육저지대의 차이가 없었으므로 갈변물질 자체로서는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NNG에 대한 항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는 시료 모두 돌연변이에 대하여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중 HHQ-MEBRP는 가장 강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Ames test에서는 4가지 시료 모두 돌연변이원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항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는 시료 $300\;{\mu}l$ 첨가시 $B({\alpha})P(20\;{\mu}g)$에 대하여 S. typhimurium TA98 및 TA100 두 균주에서 Ca-MEBRP와 HHQ-MEBRP는 $91{\sim}95%$, HCa-MEBRP와 Py-MEBRP는 $50{\sim}80%$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Trp-P-1(2\;{\mu}g)$에 대해서도 4가지 시료 모두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HHQ-MEBRP는 TA98과 TA100 두 균주 모두에서 99%, HCa-MEBRP도 96%의 강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SOS chromotest에서도 spore rec-assay와 Ames test에서와 같이 시료 자체의 돌연변이원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NQO와 MMC와 같은 돌연변이원물질에 의한 SOS-inducing function에 대하여 억제효과가 있었으므로 항돌연변이원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컴프리 추출액에 의한 항돌연변이효과 (Antimutagenic Effect of the Extracts of Comfrey)

  • 함승시;박귀근;박양호;박원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39-543
    • /
    • 1992
  • 변이원물질인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benzo{(\alpha)}pyrene,$ 3-amino-1,4-dimethyl-5H-pyrido[4,3-b] indole에 대한 컴프리의 생즙과 가열즙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spore rec-assay 및 Ames test방법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Bacillus subtilis $H17(rec^+)$$H45(rec^-)$를 사용한 spore rec-assay에서 comfrey의 생즙시료 $40{\mu}l$처리시에 MNNG에 대한 강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p<0.01).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의 두 균주를 이용한 Ames test에서는, comfrey생즙의 경우 $B{(\alpha)}P$에 대해 TA98과 TA100 두균주 모두에서 각각 43% 및 52%의 다소 낮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낸 반면, 가열즙의 경우 Trp-P-1에 대해 TA98과 /TA100의 균주에 대해서 각각 75% 및 76%의 강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p<0.01).

  • PDF

감잎 열수추출물 및 감잎 탄닌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Boiled Water Extract and Tannin from Persimmon Leaves)

  • 박건영;문숙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80-886
    • /
    • 1995
  • 감잎 열수 추출물 및 감잎 탄닌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Ames test, spore rec assay 및 SOS chromotest 방법을 이용하여 검토하엿다.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에서 aflatoxin $B_{1}(AFB_{1})$, dimethyl-amino-biphenyl(DMAB)와 같은 간접 돌연변이워에 대해서 뿐만아니라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4-nitroquinoline-1-oxide(4-NQO)와 같은 직접 돌연변이원에 대해서도 강력한 항돌연변이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Bacillus subtilis H17($rec^{+}$)와 M45($rec^{-$)를 사용한 spore rec assay에서도 감잎 탄닌은 MNNG에 대한 강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고, Escherichia coli PQ37을 사용한 SOS chromotest에서도 4-NQO의 돌연변이성이 크게 저해되었다. 또한 감잎차 부터 탄닌을 추출하여 이미 그 효과가 알려진 녹차 탄닌과 함께 항돌연변이 효과를 살펴본 결과 시료의 농도에 비례해서 녹차탄니과 비슷한 수준으로 현저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들 항돌연변이 실험계에서 감잎 탄닌이 감잎 열수 추출물에 비해 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 PDF

겨우살이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 of Korean Mistletoe Extracts)

  • 함승시;강신태;최근표;박원봉;이득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59-365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mutagenecity and antimutagenic effects from crude extract, heating extract and alcohol extract of Korean mistletoe(Viscum album L.) on the bacterial short-term tests, such as Ames test, spore rec-assay, SOS spot test and SOS chromotest by using several kinds of mutagens. In the Ames test, each extract did not show any mutagenesis, but each extract showed inhibitory effects of 80∼95% and 70∼94% against mutagenesis induced by 3-amino-1, 4-dimethyl-5H-pyrido[4,3-b] indole(Trp-P-1) and 2-aminofluorene(2-AF) i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respectively. In th spore rec-assay, mistletoe ectracts showed antimutagenic effect with inhibiton zone in the range of 5∼11mm against mutagenicity induced by mitomycin C(MMC, 18mm) and N-methyl-N'-nitro-N-nitrosoguanidne (MNNG, 24mm), respectively. The heating and alcohol extracts in the SOS chromotest showed 96% and 70% inhibition against benzo-α-pyrene[B(α)P] and Trp-P-1 induced mutagenesis, respectively.

  • PDF

감잎의 용매별 추출물의 돌연변이 유발 억제 및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Persimmon Leaves on the Mutagenicity in Spore Rec Assay and on the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 문숙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3-28
    • /
    • 2002
  • 감잎의 메탄을 추출물과 이를 극성이 다른 용매로 더욱 불리한 용매별 획분들의 돌연변이 유발 억제효과를 spore rec assay를 이용하여 검토하고 사람의 결장암 세포인 HT-29와 사람의 위암 세포인 AZ-521의 증식에 대한 저해효과를 실험하였다. 감잎의 메탄을 추출물은 spore rec assay에서 N-methyl- N'-nitro-N-nitrosoguanidine(MNNG) 의 돌연변이성을 61% 정도 억제하였으며, 감잎의 메탄을 추출물에서 효과가 있었던 활성물질을 정제하기 위하여 다시 극성이 다른 용매들로 각각 추출하여 얻은 획분 중에서는 헥산,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획분이 강한 돌연변이 유발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감잎의 메탄을 추출물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항발암 효과가 관찰되었는데 사람의 결장암 세포인 UT-29와 사람의 위암 세포인 AZ-521에 감잎의 메탄을 추출물을 50$\mu\textrm{g}$/ml와 100$\mu\textrm{g}$/ml 첨가시 이들 암세포의 증식이 각각 90%와 99%가지 크게 억제되었다. 감잎의 메탄을 추출물을 다시 극성이 다른 용매들로 분리한 획분들 중에서는 사람의 결장암 세포인 HT-29와 사람의 위암세포인 AZ-521에 감잎의 클로로포름 획분을 각각 50$\mu\textrm{g}$/ml와 100$\mu\textrm{g}$/ml 첨가시 이들 암세포의 증식 억제율이 100%에 달하였고 감잎의 에틸아세테이트 획분도 사람의 결장암 세포(HT-29)와 사람의 위암세포(AZ-521)에 대해 클로로포름 획분 다음으로 강한 항발암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헥산 획분도 이들 두 획분(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보다는 낮았으나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관찰되어 항돌연변이 실험에서와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주요 솔잎 추출물의 돌연변이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Main Pine Needle Extracts on the Chemically Induced Mutagenicity)

  • 김은정;정성원;최근표;함승시;강하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50-455
    • /
    • 1998
  • 한국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곰솔, 리기다, 잣나무, 적송의 에탄올추출물과 각 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in vitro assay로서 spore rec-assay와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법으로 시료자체 변이원성 유무와 4가지 양성변이원 물질(MNNG, 4NQO, Trp-P-1 및 B(a)p)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고찰하였다. 곰솔, 리기다, 잣나무, 적송의 에탄올 추출물은 spore rec-assay와 S. typhimurium를 이용한 mutagenicity assay에서 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돌연변이 억제 시험에서는 4가지 시료 모두 농도 증가에 따른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또 각각의 시료들의 분획물 중 잣나무와 소나무의 에테르 분획물들이 간접변이원인 Trp-P-1의 변이원성에 대하여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높은 억제율을 보여주었다.

  • PDF

동치미로부터 항돌연변이 물질을 생산하는 유산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Producing Antimutagenic Substance from Korean Dongchimi)

  • 주길재;이창호;우철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32-438
    • /
    • 2001
  • 우리나라 동치미 발효에 관여하는 유산균의 항돌연변이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숙성중의 동치미부터 300여주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이들 균주들의 항돌연변이활성이 활성을 Salmonella enterotica serovar typhimurium TA100과 TA98을 이용하여 조사하고 직접 변이원 MNNG, NPD, 4-NQO와 간접변이원으로서 AFB1에 대하여 항돌연변이 활성이 가장 우수한 DLAB19균주를 최종 선별하였다. 최종 선별한 DL-AB19의 형태학적, 배양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Bergeys Manual Systematic Bacteriology의 분류 기준에 따라 동정한 결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cremoris 또는 그 유연균으로 동정하였다. Leu. mesenteroides subsp. cremoris DLAB19의 배양 상징액의 MNNG, NPD, 4-NQO 및 AFB1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은 100$\mu$ι/plate 첨가시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B. subtilis의 포자를 이용한 spore-assay 방법을 사용하여 MNNG와 4-NQO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