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ech fluency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6초

SAFMEDS 교수전략을 적용한 전문가 교육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Professional Education Using SAFMEDS Teaching Strategy)

  • 정경희;최진혁;안성우;신창숙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9-1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 유창성 향상에 유용한 SAFMEDS(Say All Fast a Minute Each Day Shuffled)전략의 교육적 유용성을 보여준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는 일반대학원 정규과정에 개설된 자폐성 장애 연구를 수강한 3명의 대학원생들이며, 이들은 수업을 통해 자폐성장애와 언어행동분석 관련 이론 및 교육전략을 연구하였다. 연구 도구는 언어행동분석 용어목록 60 쌍이며, 이것은 앞-뒷면에 용어-정의가 각각 인쇄되어 하나의 쌍으로 구성된 플래시카드(flashcard) 형태이다. 대상자들은 용어목록 앞면에 적힌 용어의 정의를 보고 뒷면에 적힌 용어를 정확하고 빠르게 반응할 수 있도록 학습하였다. SAFMEDS 훈련으로 나타난 주요 결과에 따르면, 연구대상자 A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반응이 증가하고 오반응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주었고, 대상자 B와 C도 정반응이 증가하고 오반응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대상자 B의 언어목록 제시 방법이 대상자 A와 C의 제시유형과는 달랐지만 모든 대상자들의 유창성 향상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결국, SAFMEDS 전략이 언어목록 습득에 효과적이었으며, 유창한 언어목록을 형성할 수 있는 유용한 교육 전략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교육뿐 아니라 특수교육 전문가들에게 SAFMEDS 전략의 유용성을 알리고 이를 다양한 영역에 적용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Intona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ocus Realization by American Learners of Korean

  • Oh, Mi-Ra;Kang, Sun-Mi;Kim, Kee-Ho
    • 음성과학
    • /
    • 제11권1호
    • /
    • pp.131-145
    • /
    • 2004
  • The informative or important entities in utterances are focused and the focused items are usually accompanied by changes in phonetic manifestation. Phonetic realizations triggered by focus include changes of tonal contours as well as segmental strengthening. Focus in Korean is characterized by new phrase initiation, dephrasing, and initial tone contour with an enlarged pitch range in addition to segmentally lengthened initial segment. Focusing on the prosodic cu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delivering the speakers' intention,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at intona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ocus are realized by English learners of Korean. The English learner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fluency in Korean, and the differences in focus realization between each group are discussed. Furthermore, the phonological and phonetic realizations of focus by English learners of Korean are compared to those by Korean native spea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yields two suggestions for Korean intonation education of L2 learners. First,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speaker groups can give better understanding in how and why the Korean intonation of English speakers is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s. Second, each phonological and phonetic characteristic of focus realization can weigh differently and its realization provides a criterion for evaluation of L2 Korean proficiency.

  • PDF

말더듬 아동과 성인에게서 나타난 비유창성의 음운특성 (The Phonemic Characteristics of Disfluencies in Children and Adults Who Stutter)

  • 한진순;이은주;심현섭
    • 음성과학
    • /
    • 제12권3호
    • /
    • pp.59-77
    • /
    • 2005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honemic characteristics influence on the disfluencies of children and adults who stutter. The participants were 10 children(9 boys and 1 girl) and 10 male adults. After having the participants to read out the Paradise-Fluency Assessment(Sim, Shin & Lee, 2004) passages, each of the productions were divided into syllables and words, and then the frequencies and the ratios of their disfluencei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pecified phonemic feature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the disfluency, the participants stuttered more in the words which start with consonant than vowel. But they showed more disfluencies in the words initiated with vowel than consonant when the ratio of each phoneme's presences were considered. There found different tendencies among the phonemic features related with their disfluencies occuring with ralatively high frequency or ratio. It was difficult to find out the exact relationships among the order of the sound acquisition, phonemic complexity, and the disfluencies. To study the exact influence of the phonemic features upon the disfluencies, it comes important to consider the frequency of the stuttering itself together with the ratio of the disfluencies in which the opportunity of the specific sound's presence was considered.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different studies which has similar purposes, it seems important to consider the tasks and the methodologies in depth.

  • PDF

과학영재학교 재학생 영어발화 주파수 대역별 음향 에너지 분포의 영어 성취도 예측성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ability of acoustic power distribution of English speech for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in a Science Academy)

  • 박순;안현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4권3호
    • /
    • pp.41-49
    • /
    • 2022
  • 본 연구는 미국영어 화자의 평균적 음향 스펙트럼 분포를 확보한 후 과학영재학교 재학생의 영어발화 양상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지적 역량을 갖춘 우리나라 과학영재들의 초분절적 영어 유창성 양상을 규명하고, 그 근접성 정도가 영재학교 학생의 영어 과목 정기고사 성취도와 어떤 관계성을 갖는지 탐구하고자 진행되었다. 불과 수 초에서 수십 초에 불과한 음성녹음 데이터 위주로 분석을 시행했던 종래의 연구와 달리 총 4시간에 달하는 미국영어 원어민 화자(남성 15명, 여성 15명)의 음성녹음 자료를 MATLAB(R2022a; The Math Works) 코드로 분석하여 20 -20,000 Hz 주파수 범위 내의 대역별로 장기 스펙트럼 음향에너지 분포값을 확보했으며, 이를 기준으로 과학영재학교 1학년 신입생 80명의 녹음데이터 LTASS(long-term average speech spectrum) 분석 수치와 비교한 결과, 영어 과목 학기말고사의 학업성취도 수준이 상위 30% 이내인 학생들의 표본을 제외하고는 미국영어 음향에너지 분포와의 근접성이 통계적으로 유미하지 않다고 밝혀졌다. 영재학교 입학 후 영어 성취도를 예측하기 위한 지표를 발견하기 위해 수용성 어휘크기검사(receptive vocabulary size test), 학기 중 복수 회 실시한 영어 어휘 형성평가 퀴즈 누적 점수, 공인 영어말하기시험(English Speaking Proficiency Test, ESPT) 성취도를 추가 변량으로 하여 정기고사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및 각 변량 간 선형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는데, 대개 유년시절 완성되는 영어 유창성을 측정하는 ESPT보다는, 1학기 및 2학기 초 실시한 수용성 어휘크기검사 및 수과학 분야 저빈도 어휘 위주 형성평가 점수와의 통계적 유의성이 월등히 높다는 사실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로부터 확보된 이론적 기반을 토대로 국내 영재학교에서는 발음교육보다 과학영재를 주요 대상으로 한 전문적 수준의 저빈도어휘 교육이 보다 효과적인 교수 요목이라 추정할 수 있다.

Utilizing debate techniques in English speaking class

  • Jung, Sook-Kyung
    • 영어어문교육
    • /
    • 제12권1호
    • /
    • pp.103-129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debate class in promoting speaking skills of advanced learners. The researcher adopted English debate techniques in an English speaking class during four-week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investigated how teachers responded to the new technique. Forty-fiv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classroom observation, pre-survey, post-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used as the major research methods. The teacher pre-survey results presented that teachers prefer a conversation class where they can directly acquire proper sentence patterns and speaking strategies rather than spend time in performing communicative events. The resul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 and post-survey confirmed that a debate class can meet this specific teachers' needs. Most teacher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debate classes since: 1) debate techniques are relatively new ideas to Korean teachers; 2) debate techniques require speed and accuracy in speech; thus teachers could learn to present their ideas logically and efficiently in a limited time through repeated argument exercises. The study result implies that debate technique can be an effective vehicle in an EFL context to promote advanced learners' logical thinking skills and logical English sentence structures.

  • PDF

경도인지장애와 경도 치매의 감별을 위한 대면 이름대기와 범주 이름대기의 예측 성능 비교 (Prediction Performance of Naming Tests for Differentiat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Mild Dementia)

  • 변해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53-158
    • /
    • 2020
  • 본 연구는 정상 노인과 초기 단계의 노년기 인지 장애(경도인지장애(MCI), 경도 치매)의 선별검사인 대면 이름대기와 범주 이름대기의 예측력을 파악하였다. 노년기 인지장애로 진단을 받은 340명(정상 노인 203명, MCI 106명, 경도 치매 31명)을 분석하였다. 대면 이름대기는 단축형 한국판 보스턴 이름대기 검사로 측정하였고, 범주 이름대기는 통제연상단어검사의 의미검사와 음소검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름대기 검사의 예측 성능을 비교하고자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대면 이름대기와 범주 이름대기 검사 모두 일반노인에서 MCI와 경도 치매를 감별하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었다(p<0.05). 반면, MCI에서 경도 치매를 감별할 때, 범주 이름대기의 음소검사는 교차비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MCI에서 경도 치매를 감별할 때, 범주 이름대기의 총점만을 측정기준으로 분석하는 것은 유의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학령기 말더듬 아동 치료에 있어 그룹지도의 효과 (EFFECTS OF GROUP THERAPY ON SPEECH FLUENCY IN ELEMENTARY SCHOOL STUTTERING CHILDREN)

  • 신문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권1호
    • /
    • pp.102-115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이제까지의 말더듬에 대한 여러 이론들을 살피고 말더듬 치료의 임상 경험을 보고하고자 하였다. 말더듬의 원인이나 치료법에 관한 수많은 연구가 있어왔으나 아직도 이에 대한 한마디의 명확한 답을 내리기는 어렵다 다만 말더듬에 대한 이해를 점차 넓혀가고 있고, 보다 효과적인 치료에 접근하고 있다고 본다. 말더듬의 원인을 기질적 요인으로 보는 주장, 심리적 요인으로 보는 주장, 학습적 요인으로 보는 주장, 환경적 요인으로 보는 주장들이 있어왔다. 이에 따라 치료법도 다양한데 크게는 말더듬 수정법과 단계적 유창성 완성법으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자는 말더듬 치료에 각 아동이 갖을 수 있는 복합적 요인을 살피고 치료에서도 한가지를 고수하기 보다는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이에 따라 대상이된 아동들의 문제는 다각적으로 살펴졌고 각 아동은 개별 언어 치료를 받고 이어서 그룹치료를 받았다. 그룹치료의 목표는 좀더 어려운 언어 상황으로까지 유창성을 높이고 유창성의 일반화를 유지하는 것이었다. 대상이된 세 아동은 모두 ‘읽기’ 그리고 ‘대화’, 상황에서 유창성을 높였고 전체 말더듬 행동에도 호전을 보였는데 그룹치료에서는 특히 ‘대화’에서 유창성을 높일 수 있었다. 말더듬의 각 요인들을 살필 수 있는 민감한 진단 도구의 개발과 말더듬 이론이 반영된 보다 진보적인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이 계속되어야 함이 토의되었다.

  • PDF

말더듬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적 접근 (Therapeutic Use of Music for Stuttering Children)

  • 조정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4권1호
    • /
    • pp.21-30
    • /
    • 2007
  • 유창성 장애의 대표적인 현상으로 전 세계적으로 학령기 아동에게서 1~4%의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주요한 언어 장애인 말더듬(stuttering)은 조음장애나 음성장애 등 다른 언어장애와는 달리 음악 구조 안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특징을 보인다. 즉, 대부분의 말을 더듬는 사람들은 노래를 부를 때는 어려움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음악 구조 안에서 드러난 유창성이 음악 외적 상황, 즉 일반 언어로 전이 되지 않기 때문에, 그동안 말더듬을 음악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인식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말더듬을 제외한 전반적인 언어 영역에서의 향상을 목표로 실행되고 있는 음악치료의 경우 음악이 언어장애에 있어서 효과적인 치료도구임이 많은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고, 이러한 음악치료의 기본 원리들을 고찰한 결과 이를 말더듬 문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다양한 음악치료 기법 중에서도 특히 멜로디 억양 기법(MIT)은 발화의 시작을 용이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언어 리듬 강화 훈련은 말더듬 아동의 깨어진 언어 형태에 리듬감을 도입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송라이팅 형식을 도입한 즉흥 가창 활동을 통해 말하기에 대한 흥미와 성공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자신감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말더듬 아동에게 위와 같은 원리를 기본으로 하는 음악 활동을 제공하여 비유창성을 감소시키되, 음악구조를 단계적으로 소거시켜 비유창성의 감소가 음악 외적 상황에서의 언어로 전이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활동이 말더듬 아동의 소극적인 의사소통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말더듬의 음악치료적 접근의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가능성은 두 가지 차원에서 검토되었다. 첫째, 비유창성의 정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말더듬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개입 전 후로 비유창성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를 측정하였고 또한 이러한 변화가 세션 단계별로 나타난 양상을 파악하였다. 둘째, 의사소통 태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의사소통 태도 검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개입 전 후의 점수를 비교하였고, 부정적인 의사소통 태도가 단적으로 보여지는 병리적인 행동인 회피 행동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이것이 세션 단계별로 나타난 빈도수를 측정하였다. 이외에도, 음악치료 프로그램 안에서 나타난 아동의 구체적인 언어 및 행동의 반응을 질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개입 전 후로 모든 아동에게서 정도의 폭은 다르나 비유창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구체적인 영역별로는 말더듬 횟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세션 단계별로는 비유창성의 정도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면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변화 경향은 대상 아동마다 개별적이었다. 둘째, 음악치료 개입 전 후로 모든 아동의 의사소통 태도 검사 점수가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입 전 후로 회피 행동이 감소하였으나 세션 단계별로는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등, 불규칙적인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 감소와 의사소통 태도 향상에 음악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내며, 말더듬 치료의 음악적 접근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다문화가정 아동의 비유창성 특성 (Non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신명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54-261
    • /
    • 2011
  • 본 연구는 언어연령이 정상 범주에 속하는 3~5세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이야기 다시말하기와 그림설명하기 과업으로 유도한 발화를 통하여 비유창성 평균빈도와, 비유창성 유형, 구어속도를 측정하고,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두 과업 모두에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일반가정 아동보다 비유창성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야기다시말하기에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비유창성 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3세와 4세, 3세와 5세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유창성 유형 또한 두 과업 모두에서 다문화가정 아동 집단이 일반가정 아동 집단보다 비정상적 비유창성 유형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두 과업 모두에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일반가정 아동보다 구어속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아동들에게 언어적 지원을 시도할 때 편안한 의사소통 환경과 점진적인 발화길이 및 복잡성의 증가를 통하여 아동의 비유창성을 감소시키고 유창성을 강화하는 지도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선택적 갑상피열분지 및 측윤상피열분지의 절단과 경신경고리 신경재지배 방법을 이용한 연축성발성장애의 수술적 치료 1례 (A Case of Selective Laryngeal Adductor Denervation-Reinnervation Surgery for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 박영학;배성천;이석은;조승호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6-148
    • /
    • 2006
  • Spasmodic dysphonia is a voice disorder characterized by involuntary voice breaks during speech.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is most common and characterized by strained and strangled voice breaks. The current standard of treatment of therapy for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is chemodenervation of thyroarytenoid muscle with botulinum toxin(Botox). However, Botox is a temporary treatment with each injection lasting approximately 3 months on average and require repeated injections. In this study, we report our experience with surgical treatment for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In this procedure, the thyroarytenoid branch and lateral cricoarytenoid branch of recurrent laryngeal nerve is selectively denervated unilaterally, and its distal nerve stump of thyroarytenoid branch is reinnervated with branch of the usa cervicalis nerve. And lateral cricoarytenoid muscle partial myotomy was done unilaterally. After 6 months of treatment, voice fluency had improved and no period of breathiness or dysphagia was no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