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on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정 아동의 비유창성 특성

  • 신명선 (부산가톨릭대학교 언어청각치료학과)
  • Received : 2010.10.07
  • Accepted : 2010.11.04
  • Published : 2011.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isfluency in 3~5 year-old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MFC). 24 children(12 MFC, 12 Korean monolingual children, KMC with the same chronological age and language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tasks consisted of story retelling tasks(SRT) and picture description tasks(PDT). In all the tasks, the scores of total disfluency of the MF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KMC. In all the tasks, the frequency of abnormal disfluency of the MF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KMC and the speech rates of the MF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KMC. The disfluency observed in MFC indicates that language ability influences on their disfluencies and fluency support of MFC is an important factor in general language support.

본 연구는 언어연령이 정상 범주에 속하는 3~5세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이야기 다시말하기와 그림설명하기 과업으로 유도한 발화를 통하여 비유창성 평균빈도와, 비유창성 유형, 구어속도를 측정하고,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두 과업 모두에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일반가정 아동보다 비유창성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야기다시말하기에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비유창성 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3세와 4세, 3세와 5세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유창성 유형 또한 두 과업 모두에서 다문화가정 아동 집단이 일반가정 아동 집단보다 비정상적 비유창성 유형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두 과업 모두에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일반가정 아동보다 구어속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아동들에게 언어적 지원을 시도할 때 편안한 의사소통 환경과 점진적인 발화길이 및 복잡성의 증가를 통하여 아동의 비유창성을 감소시키고 유창성을 강화하는 지도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다문화가정 자녀의 실태조사, 2009.
  2. 교육인적자원부,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지원 방안 연구, 2007.
  3. 정순연,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과 유아 언어능력과의 관계. 석사학위청구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08.
  4. 이영주, 다문화가정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공주대학교대학원, 2007.
  5. 이수정,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 연구: K-BNT-C를 중심으로. 석사학위청구논문. 연세대학교대학원, 2008.
  6. 김병순, 다문화가정 자녀의 유치원 생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석사학위청구논문.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장은숙,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경험 이해. 석사학위청구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08.
  8. 정은희,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과 언어 환경. 언어치료연구, Vol.13, No.3, pp.33-52, 2004.
  9. 김경자, 다문화가정 아동의 심리적 문제와 학교 적응, 석사학위청구논문,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0. 신효선, 다문화가정 자녀의 생활환경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청구논문. 대구대학교대학원, 2008.
  11. 김영태, 성태제, 이윤경,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3.
  12. 심현섭, 이은주, 신문자, 파라다이스 유창성 검사. 파라다이스 재단, 2004.
  13. D. L. Jankelowitz and M. A. Bortz, The interaction of bilingualism and stuttering in an adult.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Vol.29, No.3, pp.223-234, 1996. https://doi.org/10.1016/0021-9924(95)00050-X
  14. 이수복, 심현섭, 신문자, 취학전 이중언어아동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Vol.12, No.2, pp.293-316, 2007.
  15. J. V. Borsel, E. Maes, and S. Foulon, Stuttering and bilingualism: A review.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26, pp.179-205, 2001. https://doi.org/10.1016/S0094-730X(01)00098-5
  16. J. Au-Yeung, P. Howell, S. Davis, N. Charles, and S, Sackin, UCL survey on bilingualism and stuttering. Paper presented at the Third World Congress on Fluency Disorders. Nyborg, Denmark, 2000.
  17. M. W. Pellowski and E. Conture, Characteristics of speech disfluency stuttering behaviors in 3-and 4-year-old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Hearing Research, 45, pp.20-34, 2002. https://doi.org/10.1044/1092-4388(2002/002)
  18. C. W. Starkweather, Fluency and stutter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7.
  19. B. Guitar, Stuttering: an integrated approach to its nature and treatment. Baltimore: Rose Tree Corporate Center, 2006.
  20. 신명선, 안종복, 과업에 따른 학령전기(5-7세) 아동의 구어속도에 관한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 No.3, pp.162-172, 2009.
  21. E. M. Kelly, Speech rates and turn-taking behaviors of children who stutter and their fathers. Journal of Speech, Language, Hearing Research, 37, pp.1284-1294, 1994. https://doi.org/10.1044/jshr.3706.1284
  22. H. H. Gregory and D. Hill, Stuttering Therapy for children. In W. Perkins(Ed.), Stuttering disorders, pp.351-363, New York: Thieme-Stratton,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