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seed

검색결과 766건 처리시간 0.024초

벼 담수직파 및 콩 재배시 Methiocarb 종자 분의에 의한 새 피해 경감 효과 (Effect of Methiocarb as a Bird Repellent in Water-Seeding Rice and Soybean Fields)

  • 이철원;정봉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73-377
    • /
    • 1997
  • 벼 담수 직파재배와 콩 포장에서 조류 기피제인 methiocarb 50% WP의 처리에 의한 새 피해 경감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화성벼와 태광콩을 공시하고 약제의 양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실험 1> 벼 종자에 대한 methiocarb 처리에 따른 새 피해 경감 효과와 모의 생육 1) 벼 담수 직파재배에서 무처리구는 파종 후 2일에 12%, 3일 후에 37%, 5일 후에 50%의 새 피해가 발생하였으나, 벼 종자 5g 처리구는 4일 후에 35%, 5일 후에 39%의 피해가 있었고, 10, 15g 처리구는 파종 후 6일에 9% 정도이었다. 2) 벼 담수 직파재배에서는 파종 7일 후에는 초엽과 침엽이 출현함으로써 새에 의한 피해가 상당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서 새에 의한 피해방지는 파종 후 7일 이내가 중요하였다. 3) 약제 처리에 대한 벼 종자의 출아율은 종자 kg 당 methiocard 10g 처리구까지는 차이가 없었으나 15g 처리구에서는 유의하게 출아율이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파종 20일 후의 초장과 엽수는 종자 kg당 methiocarb 15g 처리구가 유의하게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실험 2> 콩에 대한 methiocarb 처리에 따른 새 피해 경감 효과 1) 콩 포장에서 새 피해 발생 정도를 경시적으로 조사한 결과 methiocarb 7.5g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콩 포장에 대한 methiocarb 처리에 의한 약해 정도를 경시적으로 조사한 결과 전 처리구에서 약해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Variation of Chemical Components and Their Interaction with Isoflavones in Maturing Soybean Seeds

  • Kim Sun-Lim;Lee Young-Ho;Yun Hong-Tae;Moon Jung-Kyung;Park Keum-Yong;Chung Jong-I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91-300
    • /
    • 2005
  • This study was focuses on the variation of isoflavone contents during seed development and their interaction with major chemical components such as protein, amino acids, saccaharides, lipid and fatty acids. During maturing, lipid, protein, and amino acid contents in soybean seeds showed the highest values at R7 stages, but isoflavone contents were increased until R8 stage. It was noted that malonyl glucosides $(64.2\%)$ are predominant forms among conjugated isoflavones followed by glucosides $(30.7\%)$, acetyl glucosides $(4.1\%)$ and aglycones $(0.9\%)$. Sucrose and stachyose were presented as a major saccharide in soybean seeds. As maturing days progressed, they were constantly increased and the highest contents were observed at R8 stage. While small quantities of raffinose, fructose, glucose, maltose, DP3 (DP: degree of polymerization), DP6, and DP7 were detected. These results showed that saccharide composition at the beginning of seed development is primarily monosaccharides with little sucrose and oligosaccharides, but as maturing days proceeds, sucrose and starch increase with concomitant decrease in monosaccharides. Sucrose and stachyos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soflavone (r=0.780, 0.764 at p<0.01, respectively), while fructose, glucose, maltose, and DP7 were negatively correlated (r=-0.651, -0.653, -0.602, and -0.586 at p<0.05, respectively). Soybeans at R8 stage were high in protein and amino acid, but low in free amino acid contents. Protein and amino acid contents showed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isoflavone (r=0.571 and 0.599 at p<0.05, respectively), but free amino acid content were negatively correlation with isoflavone (r=-0.673, p<0.01). The lipid content reaches its final content relatively early stage of seed development and remains constant as compared with other chemical components. Among the fatty acids, although varietal difference was presented, stearic acid and linolenic acid were gradually decreased, while oleic and linoleic acid were increased as seed maturing progressed. Lipi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r=0.754, p<0.01) with isoflavones. However, neither saturated fatty acid nor unsaturated fatty acids significantly affected the isoflavone contents of maturing soybean seeds.

Comparison of Two Soybean Cultivars in Dry Matter Production and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 Cho Jin-Woong;Lee Jung-Joon;Kim Choong-S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79-283
    • /
    • 2004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paddy field (commercial silty loam soil) in the southwestern Korea. Pungsannamulkong, a determinate growth habit, was a relatively high yielding and late maturing cultivar, and Han­namkong, a semi determinate growth habit, was a relatively low yielding and early maturing cultivar. Seeds were sowed at two plants and with a planting density of $70{\times}10cm$ on May 26, 2003. Fertilizer was applied prior to planting at a rate of 3.0-3.0-3.4g $(N-P_2O_5-K_2O)\;per\;m^2$ by all basal fertilizations. Experimental design w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with three replications. Seed yield was higher in Pungsannamulkong by 362g per $m^2$ than in Hannamkong of 260g per $m^2$ Also, the number of pod, number of seed, and number of seed per pod were greater in Pungsannamulkong than in Hannamkong. The number of leaves per $m^2$ showed similar with two soybean cultivars up to August 24 but thereafter it decreased in Hannamkong. The leaf area up to August 4 increased in Hannamkong higher than in Pungsannamulkong, but after that time, Pungsannamulkong had greater leaf area than Hannamkong. The shoot and leaf dry matter of two soybean cultivars from June 23 to August 4 were similar but thereafter, Pungsannamulkong had a significantly greater than Hannamkong. Crop growth rate (CGR), relative growth rate (RGR) and net assimilate rate (NAR) for Punsannamulkong were relatively higher than Hannamkong but leaf area ratio (LAR) and specific leaf weight (SLW) showed higher in Hannamkong. Most of leaves distributed in the ranges of 80-90cm and 60-70cm from the soil surface in Punsannamulkong and Hannamkong, respectively. Pods of Punsannamulkong ranged 10-80cm from the soil surface and most of pods were distributed at 40-50cm. Photosynthetic rate at the flowering stag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ultivars in the upper most leaf pos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photosynthetic rate at $7^{tn}$ leaf at the flowering stage, and the uppermost and 7th leaf position at the seed development stage between two soybean cultivars.

침지조건에 따른 콩 종실의 수분흡수율 및 발아특성 (Water Uptake and Germination of Soybean Seed as Affected by Soaking Condition)

  • 배경근;남승우;김경남;신상진;황영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44-249
    • /
    • 2002
  • 콩나물 재배시 침지조건과 방법에 따른 품종별 형태적 특성과 수분흡수율 및 생육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외형적 특성은 100립중이 평균 9.0$\pm$2g인 소립종으로, 종피색은 황색이며 구형인 것이 좋으며, 공시 품종 중 풍산나물콩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나물콩 품종의 수분흡수율은 품종간에 다소의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준저리와 길림3호는 온도가 높을수록 수분흡수율이 높았고, 풍산나물콩의 경우는 20-$25^{\circ}C$구간에서 양호하였다. 3. 침지 후 콩 종실의 길이는 l10mm 이상에 도달하는 시간이 약 15시간, 두께의 경우는 건수침 반복은 침지완료 이후, 1회 침지는 3시간이후, 무침지는 9시간이후 이었고, 콩 종실의 수분흡수는 수온이 2$0^{\circ}C$이내인 경우 1회 침지구나 건수침 반복구의 경우 초기 3시간 이내에 급속하게 이루어졌다. 4. 콩의 발아율은 2$0^{\circ}C$에서 1시간 처리구와 15$^{\circ}C$에서 2시간 처리한 것에서 품종간의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발아세의 경우 길림 3호는 침지방법과 처리온도에 관계없이 양호하였고, 준저리와 풍산나물콩의 경우는 3시간 침지구에서 처리온도에 관계없이 가장 양호하였다. 5. 콩나물의 길이는 다른 무침지와 1회침지 방법에 비해 건수침 반복구에서 빠른 생육을 보였고, 두께의 증가는 1회 침지구가 건수침 반복구보다 양호하였다.

콩에서 쿠니츠트립인히비터, 렉틴 및 스타키오스에 대한 열성 유전자의 집적 (A Stack of Recessive Alleles of Kunitz Trypsin Inhibitor, Lectin, and Stachyose in Soybean)

  • 최상우;채원기;강경영;정종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74-778
    • /
    • 2019
  • 성숙 콩[Glycine max (L.) Merr.] 종자에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의 3대 영양소와 아이소플라본 등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Kunitz Trypsin Inhibitor (KTI) 단백질, 렉틴 단백질, 난소화성 올리고당인 stachyose 성분이 함유되어져 있어 품질과 기능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콩 및 콩 제품의 품질과 기능성을 저하시키는 KTI 및 렉틴 단백질과 stachyose의 성분 함량과 관련된 유전자들이 모두 열성으로 작용하는 콩 계통(triple recessive genotype)을 선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3개의 모본(개척2호, PI200508, 14G20)을 이용한 육종집단으로부터 성숙 종자에서KTI 및 렉틴 단백질이 없으면서 stachyose의 함량이 일반콩보다 현저히 적은 triple recessive 유전자형(titilelers2rs2) 개체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계통의 초장은 51 cm 정도였으며 백립중은 31.0 g으로 대립이었으며 종피색 및 제색은 노란색이었다. Stachyose의 함량(g/kg)은 일반콩(13.5 g/kg)보다 훨씬 낮았다(3.8 g/kg). 본 연구를 통하여 선발된 계통은 KTI 단백질과 렉틴 단백질이 동시에 없으며 stachyose의 함량이 낮은 다양한 콩 품종 육성을 위한 중간모본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콩의 종자크기, 온도 및 GA처리가 하배축신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Size, Temperature and GA Treatment on Hypocotyl Elongation in Soybean)

  • 이성춘;서홍일;김진호;최경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8-77
    • /
    • 1992
  • 대두재배에 있어서 단위면적당 주수를 결정하기 때문에 수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출아ㆍ입묘에 대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한국 대두 장려 품종들에 대한 하배축신장성 및 출아에 대한 조사를 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하배축신장은 파종 후 3.0-3.5일 사이에 가장 왕성하였으며 하배축신장성이 &apos;양호&apos;한 품종은 은하콩, 장경콩, 보광콩, 등 3품종이었고, &apos;중&apos; 품종은 남해콩, 단경콩, 단엽콩, 밀양콩, 덕유콩, 팔달콩, 망운조생, 남해콩, 새알콩, 등 9품종 이었고 &apos;불량&apos;했던 품종은 광교, 백운콩, 장백콩 등 3품종이었다. 2. 같은 품종에 있어서 종자크기별 하배축신장은 종자크기와는 반대로서 소립, 중립 및 대립 순으로 종자크기가 작을수록 오히려 하배축신장이 양호하였다. 3. 100입중과 하배축신장성과의 관계는 r=-0. 2506$^{**}$ 으로 100입중이 클수록 하배축신장성은 오히려 저조하였다. 4. 처리온도가 높을수록 하배축신장은 양호하였고, 낮을수록 저조하였는데 우리나라 대두의 하배축신장에는 30-35$^{\circ}C$가 적온이었다. 또한 처리온도 $25^{\circ}C$에서 특이하게 하배축신장이 억제되었던 품종은 발견할 수 없었다. 5. G $A_3$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하배축신장을 촉진하였고, ABA, Kinetin및 BA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하배축신장을 억제하여 서로 상반되는 .반응을 보였는데 그 정도는 하배축신장이 큰 품종에 비해 작은 품종에서 뚜렷하였다. 6. 습윤ㆍ고온처리에 의한 종자노후화 정도는 하배축신장이 양호하였던 품종이 불량하였던 품종보다 노후화 속도가 느려 습윤ㆍ고온처리를 하였을 때도 하배축신장이 뚜렷하게 컸다.

  • PDF

국내 육성 콩 품종의 고랭지 재배 시 수랑 및 Isoflavone 함량 (Yields and Isoflavone Contents of Soybean Cultivar in Highland Area)

  • 옥현충;윤영호;정진철;허온숙;이춘우;김충국;조현묵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02-109
    • /
    • 2008
  • 고랭지에서의 콩 재배 확대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고랭지에 적합한 콩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국내에서 육성된 콩 품종을 고랭지에서 재배 한 후 수량 및 isoflavone 함량을 조사하였다. 1. 파종 후부터 생리적 성숙기에 해당하는 9월 말까지 총 133일간의 평균기온은 $12^{\circ}C$ 이상을 나타내었고 적산온도 또한 $2,000^{\circ}C$ 이상을 나타내어 표고 $600{\sim}800\;m$에 위치하는 시험지역이 콩 생육에 필요한 최소한의 온도조건을 충족한다고 볼 수 있었다. 2. 대관령면(표고 800 m)에서는 19개 시험품종 중에서 일품검정콩의 수량이 2.3t/ha으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isoflavone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2,000\;{\mu}g/g$ 이상의 함량을 나타낸 두유콩과 신팔달콩 2호였다. 3. 진부면(표고 600 m)에서는 장원콩과 신팔달콩2호의 수량이 4.0 t/ha 이상으로서 가장 높았으며, isoflavone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2,200\;{\mu}g/g$ 이상의 함량을 나타낸 두유콩, 만리콩, 신팔달콩 2호였다. 4. 표고 800 m 에서의 두유콩과 일품검정콩, 표고 600 m에서의 신팔달콩2호, 만리콩, 청자콩 및 청자콩2호는 수량성과 isoflavone 함량이 모두 우수한 품종이었다.

콩 품종의 생육특성 및 생육단계별 ADP-Glucose Pyrophosphorylase의 활성변화 비교 (Comparis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Activity Variation of ADP-Glucose Pyrophosphorylase at Different Growth Stages in Soybean Cultivars)

  • 김영진;이시명;조상균;오영진;김학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39-143
    • /
    • 2010
  • 콩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의 활성변화와 종실 수량과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해 등숙관련효소인 ADP-glucose pyrophosphorylase(AGP)의 활성변화를 콩 품종별로 등숙기간에 따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풍산나물콩은 협수 및 잎수가 131개 및 102개로 가장 많았으며, 100립중은 10.4g으로 가장 낮았으나 수량은 275kg/10a으로 가장 높아 물질생산 및 건물축적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개화시기$(R_1,\;R_2)$에 AGP의 활성도 가장 높은 경향이었다. 2. 품종별 $CO_2$ 동화량은 풍산나물콩이 $20.96{\mu}mol\;m^{-2}s^{-1}$로 가장 많았으며 검정콩1호는 $12.54{\mu}mol\;m^{-2}s^{-1}$로 가장 적었다. 3. 단파흑은 개체당 잎면적이 $3,968cm^2$로 가장 많고 100립중도 30.5g으로 가장 높은 반면 수량은 149kg/10a으로 가장 낮아 건물축적 효율이 가장 낮았으며, 생육단계별 AGP활성도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4. AGP의 small subunit은 60KD의 single band를 나타냈는데 개화기 이후 AGP의 활성변화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Soybean meal substitution by dehulled lupine (Lupinus angustifolius) with enzymes in broiler diets

  • Mera-Zuniga, Fredy;Pro-Martinez, Arturo;Zamora-Natera, Juan F;Sosa-Montes, Eliseo;Guerrero-Rodriguez, Juan D;Mendoza-Pedroza, Sergio I;Cuca-Garcia, Juan M;Lopez-Romero, Rosa M;Chan-Diaz, David;Becerril-Perez, Carlos M;Vargas-Galicia, Artemio J;Bautista-Ortega, Jaim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4호
    • /
    • pp.564-573
    • /
    • 2019
  • Objective: Evaluate the effects of i) dehulling of lupine seed on chemical composition and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AME) and ii) soybean meal substitution by dehulled lupine seed in broiler diets with enzymes on productive performance, size of digestive organs and welfare-related variables. Methods: Experiment 1, chemical composition and AME were determined in whole and dehulled lupine seed. Experiment 2, two hundred eighty-eight one-day-old male Ross 308 broilers were used. The experimental diets were maize-soybean meal (MS), MS with enzymes (MSE) and maize-dehulled lupine seed with enzymes (MLE). Die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units under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eight replicates per diet). The body weight (BW) gai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digestive organ weights, gait score, latency to lie down and valgus/varus angulation were evaluated. Results: The dehulling process increased protein (25.0% to 31.1%), AME (5.9 to 8.8 MJ/kg) and amino acid contents. The BW gain of broilers fed the MLE diet was similar (p>0.05) to that of those fed the MS diet, but lower than that of those fed the MSE diet. Feed intake of broilers fed the MLE diet was higher (p<0.05) than that of those fed the MS diet and similar (p>0.05) to those fed the MSE diet. Feed conversion of broilers fed the MLE diet was 8.0% and 8.7% higher (p<0.05) than that of those fed the MS and MSE diets, respectively. Broilers fed the MLE diet had the highest (p<0.05) relative proventriculus and gizzard weights, but had poor welfare-related variables.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substitute soybean meal by dehulled lupine seed with enzymes in broiler diets, obtaining similar BW gains in broilers fed the MLE and MS diets; however, a higher feed intake is required. Additionally, the MLE diet reduced welfare-related variables.

적엽 및 제협처리가 콩의 건물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af and Pod Removal on Dry Matter Accumulation of Soybean Plants)

  • 성락춘;박지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24-329
    • /
    • 1993
  • 콩의 생식생장기인 착협시(R3)에 상부 40%와 하부 60%로 구분하여 엽제거와 협제거 처리에 의한 엽수와 엽건물중, 종실부와 종실건물중, 그리고 협과 경건물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2년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적소실험농장에 황금콩을 공시하여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엽하협제거처리로 식물체 하부의 엽수와 엽건물중이 증가되었다. 2. 종실부와 종실건물중은 상엽하협제거로 감소되었다. 3. 상엽하협제거는 하부의 경건물중을 증가시켰으나 상부의 협건물종은 감소시켰다. 4. 상엽하협제거에서 엽/종실 비율은 3.53로 가장 높았고 수수지수는 27%로 가장 낮았다. 5. 하엽상협제거는 상엽하협제거보다 동화\ulcorner질의 전류량이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