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cooking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3초

콩절편의 조리 방법에 따른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bean Jeolpyon by Different Cooking Method)

  • 정해옥;한영실;이종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75-280
    • /
    • 1992
  • Sensory evaluation and Instron test were carried out to study me effect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soybean jeolpyon. Cooking methods studied were rice cake steamer, steaming pot, pressure cooker and microwave oven.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or and flavor between samples cooked by various methods. Moistness of samples by steaming pot and rice cake steamer was similar. Tenderness of samples by rice caker and pressure cooker was better man others. 2. After 24 hours elapsed, me quality of soybean jeolpyon showed me order of by rice cake steamer, steaming pot, pressure cooker and microwave oven. 3. It showed mat soybean ieolpyon by microwave oven was harder man others through Instron test. 4. Hardness of jeolpyons were increased as storage time increased. The rate was higher by pressure cooker and microwave oven man by rice cake steamer and steaming pot.

  • PDF

일반 식용유와 기능성 식용유의 조리 특성 비교 -흡유율, 조리시 튀는 정도, 표준 조리법 작성을 중심으로- (Cooking Characteristics of Emulsifier-containing Oil -Degree of Oil Absorption and Spattering During Cooking, and Standard Recipe for Fried Foods-)

  • 문수재;오혜숙;이명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9-107
    • /
    • 1996
  •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Hicook with lecithin and GMS as emulsifier were examined for effect on the reduction of oil levels in fried foods. Hicook and soybean oil were used in stir-frying and pan-frying, and in case of Hicook the weight of oil absorbed and spattered during cookin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case of soybean oil. Next this study attempt to standardize the recipe for preparation of selected Korean foods, especially in regards of the amount of oil used during cooking. The foods studied were all used frequently in Korea, they inculded stir-fried vegetables, stir-fried rice, and pan-fried fish and soybean curd. The results showed that Hicook, even in a half amount, made it possible cooking food with good properties, and calorie content of cooked foods could be lowered considerably. The trained panelists evaluated sensory characteristics of foods, flavor, appearance, and overall acceptability. Sensory qualities of food prepared with Hicook were highly acceptable, and rated better than controls in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But because stir-fried food was accepted greasy and oily in customarily, the appearance was rated lower than comtrol. In summary, application of hicook offers means of lowering fat levels while keeping sensory quality good. The emulsifier in Hicook is responsible for reduction of oil content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fried foods.

  • PDF

재래식 간장 및 된장 제조가 대두 단백질의 영양가에 미치는 영향 제1보 재래식 메주 제조의 성분변화 (The Effect of Korean Soysauce and Soypaste Making on Soybean Protein Quality Part I. Chemical Changes During Meju Making)

  • 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2-18
    • /
    • 1976
  • 대두를 이용하여 재래식 메주를 실험실에서 제조하고 발효과정중에 일어나는 경시적 화학조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메주중의 수분은 발효기간중 점차적으로 증발되어 발효 2개월 후에는 원료대두의 수분함량과 같은 수준으로 되었다. 대두의 건물중 조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 함량은 수침, 삶음과 메주발효중 크게 변화하지 않으나 탄수화물 함량은 수침과 발효중 상당히 감소하였다. 메주제조과정 중 대두 영양분 회수율은 탄수화물이 58%, 단백과 조지방이 각각 93%이었다. 대두의 총 질소중 수용성 질소율은 대두를 삶는 과정중 79% 에서 21% 로 감소하였으나 메주발효 1주일동안 30% 로 증가되었으며, 이후 3개월동안 거의 같은수준을 유지하였다. 총 질소중 유리 아미노태질소 농도는 원료대두에서 7% 였고 삶음 과정에서 3% 로 감소하였으나 메주발효과정중 다시 원료대두에서와 같은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총 질소 중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는 삶음과 발효과정에서 계속 증가하여 발효 종료 후 2%에 도달하였다. 대두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수침, 삶음 및 3개월간의 메주발효과정 중 크게 변화되지 않았으나, serine과 염기성 아미노산 즉, lysine arginine 및 histidine이 메주발효 1개월 동안 원료대두의 $81{\sim}87%$로 감소되었으며 계속되는 발효 3개월동안 같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100 g 조단백질중 아미노산 함량은 원료대두에서 99 g 이었으나 메주 발효 1개월후 93 g 으로 감소되어 메주발효과정중 6%의 아미노산 감소를 나타나내었다.

  • PDF

동결이 두류의 cooking time과 맛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reezing upon the cooking time and eating quality of beans)

  • 이덕례;최윤희;김명곤;윤세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4호
    • /
    • pp.219-226
    • /
    • 1992
  • 동결이 두류의 cooking time, 맛 그리고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검정콩과 대두를 충분히 수화시킨 후 동결하여 $100^{\circ}C$의 물에서 가열하였을 때 cooking time은 각각 10분과 20분으로서 동결하지 않은 두류에 비하여 cooking time이 1/2로 단축되었다. 관능시험의 결과 동결한 두류는 동결하지 않은 두류에 비하여 텍스쳐, 향미 및 전체적 선호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의 결과로 얻은 관능점사에 의한 텍스쳐와 Instron으로 측정한 puncture force간의 상관관계식을 이용하여 puncture force로써 관능적 텍스쳐를 판정할 수 있었다. 또한 두류의 동결시에 일어나는 미세구조의 변화를 검토한 결과 동결에 의한 세포벽의 손상은 없었으나 cooking 후 단백립을 싸고 있는 지방구의 배열이 파괴됨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동결은 단백립을 싸고 있는 지방구의 배열을 파괴함으로써 열수가 쉽게 침투되어 cooking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콩의 종류와 건조 방법에 따른 비지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ybean Curd Residue Powder by Different Soybean and Drying Methods)

  • 김은지;정희남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56-364
    • /
    • 2023
  • This study compar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ybean curd residue and black soybean curd residue produced by hot air-drying and freeze-drying. Regardless of drying method, the crude protein, crude ash, crude fiber contents, pH, L, a, b color values and water soluble index were higher in soybean curd residue, whereas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higher in black soybean curd residu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ater absorption index, oil absorption capacity and emulsion activity were observed between soybean curd residue and black soybean curd residue in freeze-drying. On the other hand, the emulsion stability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hot-air drying and freeze-drying. The crude protein and crude fiber contents of soybean curd residu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ot-air drying and freeze-drying. Freeze-drying resulted in higher crude ash contents, pH, water absorption index, water soluble index, oil absorption capacity, emulsion activity and emulsion stability than hot-air drying. Hot-air drying have caused significantly higher water contents, water activity,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soybean curd residue than freeze-drying. In conclusion, soybean type and drying methods affect the physicochem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residue, which could be important factors in the manufacture of processed foods.

단체급식소 및 가정에서 식용유의 사용실태와 산패도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Rancidity of Edible Soybean Oil by Cooking Frequency in Mass Meal Services and Homes)

  • 서은숙;한소현;문범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13-220
    • /
    • 1994
  • Customary usage of oil at homes and rancidity of edible soybean oil by cooking frequency at homes and mass meal services were investigated. 80% of house wives bought the cooking oil by 1.8ι unit container and 70% of them read either the manufactured date or explanatory note for use. 85% of house wives kept oil in the storage case under sink or in the pantry chest, and 80% of oils were used once or twice and 20% used three times for cooking. Acid value(AV), iodine value(IV), peroxide value(POV), carbonyl value(CoV) and thiobarbituric acid value(TBAV) of fresh soybean oil were lower than standard level. In the rancidity by cooking frequency, the acid value, peroxide value, carbonyl value and thiobarbituric acid value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oil was used once and iodine value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used once and twice at both mass meal services and homes. The level of the acid value, iodine value, carbonyl value and thiobarbituric acid value of oil used at mass meal servic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ose of oil used at homes. But, the peroxide value of oil used thrice at mass meal servic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homes.

  • PDF

조리과정 중 콩나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Soybean Sprout according to Preparation and Cooking Process)

  • 박초희;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97-403
    • /
    • 2014
  • 본 연구는 조리과정 중의 콩나물을 데치기 전, 데친 후, 무친 후로 나누어 조리한 뒤 항산화 관련 물질의 함량과 항산화 효능을 비교 측정하여 한국 고유의 조리방법인 나물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조리과정을 달리한 콩나물을 80% 에탄올에서 추출한 수율은 데치기 전 1.42%, 데친 후 0.65%, 무친 후 6.50%로 무친 후가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무친 것이 $79.52{\pm}1.41$ mg GAE/100 g FW로 가장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의 경우에도 무친 것이 $6.21{\pm}0.16$ mg CE/100 g F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4가지의 항산화 활성(DPPH assay, ABTS assay, FRAP assay, reducing power)에서도 무친 후의 콩나물이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였고 데치기 전, 데친 후의 순서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항산화 효능 면에서 콩나물을 섭취할 경우 가능하면 물에 장시간 끓이는 조리법은 피하고 무치는 조리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발아콩가루 첨가가 인절미의 이소플라본 함량 및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rminated Soybean Powder Addition on Isoflavon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Injulmi)

  • 정진영;김우정;정해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4호통권94호
    • /
    • pp.545-551
    • /
    • 2006
  •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germinated soybean powder on Injulmi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Injulmi was prepared with five different levels of germinated soybean powder (0%, 4%, 8%, 12% and 16%)and the physical properties were examined.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while the protein, fat and ash conte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germinated soybean powder content. Total isoflavone contents, 3.39${\sim}$15.35 mg% before cooking, slightly increased to 3.94${\sim}$15.96 mg% after cooking. Genistin, genistein, daidzin and daidzein, which are blown to be the major functional isoflavone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93% of total isoflavone contents. The color of Injulmi darkened slightly and became greenish yellow with the addition of germinated soybean powder. Textural profile analysis showed that hardness and gumminess increased, but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germinated soybean powder level. Sensory test showed that Injulmi prepared with up to 8% added germinated soybean powder was evaluated as being equally acceptable as Injulmi without germinated soybean powder.

쌀, 콩나물, 물고기의 수세(水洗) 및 조리(調理)중 수은(水銀) 함량의 변화 (Changes in the Mercury Content of Some Foods during the Washing and Cooking Processes)

  • 박선옥;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43-549
    • /
    • 1987
  • 식품에 수은이 오염(汚染)되었을 경우 수세(水沈) 및 조리(調理)중 수은함량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수은 오염이 우려되는 쌀, 콩나물, 물고기가 사용되었으며 수은의 검출은 무염화(無炎火) 원자흡광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수은을 인위적으로 1ppm수준으로 오염시킨 쌀을 3회 수세시 전체 수은량의 24%가, 4회 수세시 31%가 감소되었으나 취반(炊飯)에 의해서는 유의적인 함량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수은 80ppm으로 오염된 콩나물을 3회 수세한 경우 수은잔류량의 약 26%가 감소하였으나 가열조리에 의해서는 전체 수은량의 감소가 없었다. 콩나물의 가열조리시 수은은 고형물에서 국물로 용출(溶出)되었으며 용출량은 가열시간, 소금농도와 첨가하는 물의 양에 따라 23-41%의 범위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수은 1ppm으로 오염된 물고기의 가열조리시 전체 수은량의 감소는 없었으나 이때 수은은 고형물에서 국물로 용출되었으며 용출량은 조리용수(調理用水)의 소금농도에 의해 2-10%의 범위에서 달리 나타났다. 물고기를 조리후 비가식부(非可食部)를 버리는 경우 오염(汚染)된 수은의 32%가 제거되었다.

  • PDF

Biomass Gasification 공정에서 발생하는 Tar 제거연구 (Removal of Tar from Biomass Gasification Process)

  • 김주회;조영민;김종수;김상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552-561
    • /
    • 2018
  • 화석연료의 고갈과 환경문제를 대응하기 위한 대체에너지 중 재생가능하고 탄소중립(Carbon-neutral)자원인 바이오매스 (Biomass)를 연료로 이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바이오매스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에너지 생산 시스템은 열화학전환방법이 대표적이다. 이 가운데 가스화 기술을 이용해 합성가스 (syngas)를 생산해 보일러나 엔진 등에 적용하여 열과 전기를 생산한다. 하지만 합성가스 (syngas)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타르 (tar)가 발생되며 낮은 온도에서 응축되기 때문에 배관 및 엔진 등에 막힘 현상을 일으켜 공정 효율을 감소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타르를 제거하기 위해 대부분의 가스화 공정에서 물을 이용한 wet scrubber를 사용하고 있는데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물과 oily material (soybean oil, waste cooking oil, mineral oil)을 이용하여 제거효율이 높은 순으로 나타내자면 Soybean oil>Waste Cooking Oil>Mineral oil>Water 순서로 나타났고 제거효율은 각각 약 97%, 약 70%, 약 63%, 약 30%의 효율을 보여주었으며 식물성 오일 종류인 soybean oil을 사용하였을 때 타르 제거 효율이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