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Korean Soysauce and Soypaste Making on Soybean Protein Quality Part I. Chemical Changes During Meju Making

재래식 간장 및 된장 제조가 대두 단백질의 영양가에 미치는 영향 제1보 재래식 메주 제조의 성분변화

  • Lee, Cherl-Ho (Department of Food Preservation, The Royal Veterinary and Agricultural University)
  • 이철호 (덴마크 왕립농과대학 식품저장학교실)
  • Published : 1976.03.28

Abstract

Fermented soybean Mejus were prepared in the laboratory with varying lengths of fermentation and the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during the Meju making were determined. The moisture of cooked soybean was gradually evaporated during the Meju fermentation, and after 2 months of fermentation the water level reached to the level of the raw soybean. The concentrations of crude fat, crude protein and ash of the dry matter of soybean did not change considerably during soaking, cooking and Meju fermentation of up to 3 months, whereas carbohyrates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soaking and Meju fermentation. The percentage retention of the nutrients were 58% for carbohydrates and 93% for crude fat and crude protein. The nitrogen solubility of soybean decreased drastically during cooking, from 79% to 21%, while Meju fermentation increased it to approximately 30% in the first week and this level remained constant for the duration of the fermentation. The concentration of free amino nitrogen in total nitrogen of soybean decreased during cooking, from 7% to 3%, but fermentation of Meju liberated it to the level of raw soybean. The concentration of free amino-nitrogen in the total-N of soybean was increased by cooking and further increased during Meju fermentation. The amino acid pattern of soybean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during soaking, cooking and the Meju fermentation up to 3 months. Serine and the basic amino acids, lysine, arginine and histidine, decreased to the range $81{\sim}87%$ of the raw soybean during the first month of Meju fermentation and thereafter remained almost constant. The total amino acid per 16g nitrogen was 99 g incooked soybean and 93 g in 1 month Meju, indicating a 6% reduction.

대두를 이용하여 재래식 메주를 실험실에서 제조하고 발효과정중에 일어나는 경시적 화학조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메주중의 수분은 발효기간중 점차적으로 증발되어 발효 2개월 후에는 원료대두의 수분함량과 같은 수준으로 되었다. 대두의 건물중 조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 함량은 수침, 삶음과 메주발효중 크게 변화하지 않으나 탄수화물 함량은 수침과 발효중 상당히 감소하였다. 메주제조과정 중 대두 영양분 회수율은 탄수화물이 58%, 단백과 조지방이 각각 93%이었다. 대두의 총 질소중 수용성 질소율은 대두를 삶는 과정중 79% 에서 21% 로 감소하였으나 메주발효 1주일동안 30% 로 증가되었으며, 이후 3개월동안 거의 같은수준을 유지하였다. 총 질소중 유리 아미노태질소 농도는 원료대두에서 7% 였고 삶음 과정에서 3% 로 감소하였으나 메주발효과정중 다시 원료대두에서와 같은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총 질소 중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는 삶음과 발효과정에서 계속 증가하여 발효 종료 후 2%에 도달하였다. 대두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수침, 삶음 및 3개월간의 메주발효과정 중 크게 변화되지 않았으나, serine과 염기성 아미노산 즉, lysine arginine 및 histidine이 메주발효 1개월 동안 원료대두의 $81{\sim}87%$로 감소되었으며 계속되는 발효 3개월동안 같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100 g 조단백질중 아미노산 함량은 원료대두에서 99 g 이었으나 메주 발효 1개월후 93 g 으로 감소되어 메주발효과정중 6%의 아미노산 감소를 나타나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