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matic chromosome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18초

Relationships between LET and RBE of lonizing Radiation in the induction of Somatic Mutations of Drosophila melanogaster

  • 유미애;정운혁;이원호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3-111
    • /
    • 1987
  • The effects of LET (linear energy transfer) of radiation on the induction of somatic chromosome mutations or gene mutations of Drosophila melanogaster were studied. For detecting somatic chromosome mutations and gene mutations, Drosophila wing spot system and eye-color spot system were used, respectively. The frequencies of somatic chromosome mutations or gene mutations induced after third instar larval treatment with 23 MeV neutrons, thermal neutrons, X-rays were examined. From these data, the RBE(relative biological effectiveness) values of 23 MeV neutrons relative to X-rays for induction of somatic chromosome mutations or gene mutations were calculated.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high LET radiations are efficient than X-ray in producing not only somatic chromosome mutations but also gene mutations.

  • PDF

한국산 개미취속 및 근연 분류군의 체세포염색체수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omatic Chromosome Numbers of Korean Aster L. and Its Allied Taxa)

  • 정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2-299
    • /
    • 1997
  • 국내에 분포하는 개미취속 및 근연 분류군 17종류에 대하여 다양한 분류형질중 체세포염색체수를 조사하여 분류군에 대한 정확한 학명과 분류학적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들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동일 분류군내에서 개체간의 변이없이 일정하였고 분류군간에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기본수에 의하여 x=9와 x=8의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x=9인 유형은 배수성에 의하여 세분되었다. 본 연구에서 단양쑥부쟁이와 제주쑥부쟁이, 눈갯쑥부쟁이의 체세포 염색체수가 처음으로 밝혀졌으며, 국내에서 버드쟁이나물로 동정되어 왔던 개체들은 체세포 염색체수와 잎 형태를 조사한 결과, 가새쑥부쟁이의 변이체로 보는 것이 타당하고 사료된다.

  • PDF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s of Somatic Hybrids between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and Brassica of oleracea L. var capitata

  • Lian, Yu-Ji;Lim, Hak-Tae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33-38
    • /
    • 2001
  • Protoplasts isolated from inbred lines of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cabbage) and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Chinese cabbage) were fused by PEG-mediated method, and somatic hybrid cells were differentiated into plants. for the identification of somatic hybrid plants, ploidy level, plant morphology, and cytological analysis were performed. All of the regenerated plants derived from fused protoplasts were shown to be 2X-4X, or higher ploidy level, presumably due to somatic hybridization or chromosome doubling. The morphology of leaves, petioles, and flowers showed an intermediate phenotype between Chinese cabbage and cabbage. Chromosome numbers in these somatic hybrids ranged mostly from 33 to 38. According to Genomic in situ hybridization (GISH) pattern, signals from both fusion parents of B.campestris or B.oleracea were detected in different colors when chromosomes of putative somatic hybrids were observed.

  • PDF

Rat의 DNA Polymerase$\beta$ cDNA가 도입된 Transgenic Drosophila의 체세포 돌연변이 유발에 관한 연구 (Hypersensitivity of Somatic Mutations and Mitotic Recombinations Induced by Mutagens in Transgenic Drosophila bearing Rat DNA Polymerase $\beta$)

  • 최영현;유미애;이원호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0-105
    • /
    • 1995
  • The effects of DNA polymerase $\beta$ on the somatic chromosome mutations and mitotic recombination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transgenic Drosophila beating chimetic gene consisting of a promoter region of Drosophila actin 5C gene and rat DNA polymerase $\beta$. For detecting the somatic chromosome mutations and mitotic recombinations, the heterozygous (mwh/+) strains possessing or lacking transgene poi 13 were used. The spontaneous frequency of small mwh spots, due to deletion or nondisjunction etc., in the non-transgenic w strain and the transgenic p[pol $\beta$]-130 strain was 0.351 and 0.606, respectively. The spontaneous frequency (0.063) of large mwh spots, arises mostly from somatic recombination between the centromere and the locus mwh, in the transgenic p[pol $\beta$]-130 strain was about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0.021) of the non-transgenic w strain. The mutant clone frequencies of small and large mwh spots induced by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and ethyl methanesulfonate in the transformant p[pol $\beta$]-130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host strain w.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rat DNA polymerase $\beta$ participate at least in the somatic chromosome mutations and mitotic recombination processes.

  • PDF

배종양 세포와 체세포 간의 융합 세포에서 X 염색체 재활성화의 조절과 성염색체에 대한 상염색체 비율의 결정 (Control of X Chromosome Reactivation and Determination of the Ratio of Sex Chromosome to Autosome in Embryonal Carcinoma Cell-Somatic Cell Hybrids)

  • 이광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5-88
    • /
    • 1996
  • OTF9-63 (OTF9)와 P19S1O1A1 (P19) 배종양 세포들의 체세포에 존재하는 불화성 X 염색체의 재활성과 유발 능력을 조사하였다. 배종야 세포와 체세포들의 융합에 의해 얻어진 HATr 클론들의 형태, 염색체 복제 양상을 비롯하여 X 염색체에 존재하나 그 위치는 상당히 먼 유전자들인 Hprt와 Pgk-1의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OTF9 세포는 불활성 X 염색체를 재활성화 시킬 수 있는데 반해 P19 세포는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유합세포는 장기간 배양되었을 때 성염색체의 수가 감소하였으며, 결국 1:2의 성염색체:상염색체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배종양 세포-체세포 융합세포의 이용은 초기 배발생 과정에서 시작되어 난자형성 과정의 감수분열 전까지의 유지되는 X 념색체의 재활성화 기작을 연구하기 위한 실험 방법을 제공한다.

  • PDF

A cytotaxonomic study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ex Kitam. and A. macrocephala Koidz.

  • Chung, Gyu-Young;Kim, Mi-Suk
    • Plant Resources
    • /
    • 제3권3호
    • /
    • pp.179-183
    • /
    • 2000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chromosome numbers and karyotype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ex Kitam. and A. macrocephala Koidz.. The somatic chromosome numbers of two species were same; basic chromosome number x=12, and somatic chromosome numbers 2n=24. The present result of A. japonica Koidz. ex Kitam. was same to previously reports and that of A. macrocephala Koidz. was reported first in this study. Size and shape of chromosome were some different from A. japonica Koidz. ex Kitam. and A. macrocephala Koidz.. The karyotype of A. japonica Koidz. ex Kitam. was described as follows; 2n : 24 : 8L + 14M +2S : 2 $A^{sm}$ +2 $B^{m}$ +2 $C^{m}$ +2 $D^{st}$ + 2 $E^{m}$ +2 $F^{m}$ +2 $G^{m}$ +2 $H^{sm}$ + 2 $I^{m}$ + 2 $J^{m}$ + 2 $K^{m}$ + 2 $L^{m}$ . And the karyotype of A. macrocephata Koidz. was described as follows; 2n : 24 : 10L +12M +25 : 2 $A^{m}$ +2 $B^{sm}$ +2 $C^{sm}$ +2 $D^{sm}$ +2 $E^{sm}$ +2 $E^{sm}$ +2 $G^{sm}$ +2 $H^{m}$ +2 $I^{m}$ 2 $J^{m}$ +2 $K^{m}$ +2 $L^{m}$ . .

  • PDF

한국산 쑥속의 체세포 염색체수에 의한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f Korean Artemisia L. using somatic chromosome numbers)

  • 박명순;장진;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47-253
    • /
    • 2009
  • 한국산 쑥속 20분류군의 분류를 위하여 체세포 염색체수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들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2n = 16, 18, 34, 36, 50, 52, 54로서 기본 염색체수는 x=8, 9, 10, 13, 17이었으며, 실제비쑥(A. japonica var. angustissima 2n = 36)의 체세포염색체수는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밝혀졌다. 사철쑥 (A. capillaris 2n = 18), 섬쑥(A. japonica var. hallaisanensis 2n = 36), 갯제비쑥(A. japonica subsp. littoricola 2n = 36), 개똥쑥(A. annua 2n = 18), 개사철쑥(A. carvifolia 2n = 18), 큰비쑥(A. fukudo 2n = 16), 맑은대쑥(A. keiskeana 2n = 18), 넓은잎외잎쑥(A. stolonifera 2n = 36), 그늘쑥(A. sylvatica 2n = 16), 물쑥(A. selengensis 2n = 36), 산쑥 (A. montana 2n = 52), 뺑쑥(A. lancea 2n = 16), 산흰쑥(A. sieversiana 2n = 18) 등의 13분류군의 염색체수는 기존 보고와 일치하였으며, 기존 보고와 다르게 파악된 종류는 제비쑥(A. japonica var. japonica 2n = 18, 36 vs 2n = 36), 더위지기(A. sacrorum 2n = 18, 54 vs 2n = 54), 덤불쑥(A. rubripes 2n = 16, 34 vs 2n = 16), 쑥(A. indica 2n = 34, 36 vs 2n = 34), 참쑥(A. codonocephala 2n = 18, 50, 54 vs 2n = 50), 황해쑥(A. argyi 2n = 34, 36, 50 vs 2n = 34)의 6분류군이었다. 한국산 쑥속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제비쑥, 더위지기, 참쑥, 황해쑥, 산쑥, 그늘쑥의 분류에 매우 유용한 형질이었다.

Petunia hybrida와 Nicotiana sanderae의 원형질체융합에 의한 잠정적 체세포잡종 식물체 생산 (Production of Putative Somatic Hybrid of Petunia hybrida and. Nicotiana sanderae by Protoplast Fusion)

  • 정재동;노영희;최수옥;지선옥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5-110
    • /
    • 1995
  • Petunia hybrida와 Nicotiana sanderae의 원형질체를 융합하여 체세포잡종식물을 얻고자 융합산물의 배양에 의해 얻은 개체들에 대해 유전분석을 하였다. 재분화 개체중 융합된 것으로 인정되는 개체의 peroxidase pattern은 두 모본의 band를 모두 가진 개체(A-D patterns)에서 나타난 band중 p. hybrida에서 나타난 band 이외에 최상부에 1개의 band가 추가되었는데 이는 융합을 판별할 수 이는 중요한 marker 로서 가능성이 있으며, aspartate aminotransferase isoenzyme pattern은 두 모본의 양상이 모두 나타나거나 N. sanderae의 상부 band가 소실된 개체도 있었다. 염색체 검경에서 P.hybrida는 2n=14, M sanderae는 2n=18개로 나타났으며, 동위효소검정에서 체세포 잡종일 것으로 추정되는 개체들은 2n=32-36으로 나타났다. 표현형 관찰에서 체세포잡종으로 인정되는 개체의 형태적 특징은 두 모본의 중간형태를 나타내었다.

  • PDF

중국 Yunnan 지역 갈퀴덩굴속 식물에 대한 염색체 연구 (Chromosome study of Galium elegans and G. asperifolium (Rubiaceae) from Yunnan, China)

  • 정금선;이상우;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6-219
    • /
    • 2009
  • 중국 Yunnan 지역일대에서 채집한 갈퀴덩굴속(Galium L.) 2 분류군, Sect. Cymogaliea Pobed의 Galium elegans Wall. ex Roxb 와 Sect. Leptogalium Lang의 Galium asperifolium Wall. ex Roxb 의 체세포염색체수를 처음으로 밝혔다. G. elegans는 2개 지역에서 채집한 개체 모두 2n = 22(X = 11)의 2배체로 확인되었다. G. asperifolium는 5개 지역의 개체에 대해 체세포염색체수 조사 결과 2n = 33, 44, 55(X = 11)의 3배체, 4배체, 5배체 등이 확인되었다. 중국 Yunnan지역에 분포하는 G. elegans는 대부분 2배체로 확인되었고, G. asperifolium은 종내 다양한 배수체를 가지며, Mt. Canghsan의 개체군에서는 3배체와 4배체종이 혼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덕 ( Codonopsis lanceolata ) 의 세포유전학적 연구 II. 지역별 염색체형의 차이 (Cytogenetic Studies of Codonopsis lanceolata Benth. Et. Hook. Geographical Variety of Somatic Chromosomes in Local Type)

  • 윤의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1-35
    • /
    • 1992
  • The somatic chromosome numbers were counted to be 2n = 16 of Codonopsis lanceolata. Chromosomes 2 and 7 of Sokrisan and Koheung II has a hetero satellite on short arm. Chromosome 5 of Bakwoonsan showed homo satllite on short arms. Short arms of chromosomes 1 and 5 has homo satellite and short arms of chromosomes 2 and 7 has hetero satellite of Jil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