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air exchange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1초

Ecological Factors Influencing Severity of Cashew Fusarium Wilt Disease in Tanzania

  • Lilai, Stanslaus A.;Kapinga, Fortunus A.;Nene, Wilson A.;Mbasa, William V.;Tibuhwa, Donatha D.
    • 식물병연구
    • /
    • 제27권2호
    • /
    • pp.49-60
    • /
    • 2021
  • Cashew (Anacardium occidentale L.) is an important cash crop in Tanzania as a source of income to cashew growers and provides foreign exchange for the country. Despite its significance, the crop is threatened by fast spreading disease known as cashew Fusarium wilt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ield assessment and laboratory tes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incidences of the disease, severity, ecolog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m and explored the pathogen host specificity in six cashew growing districts.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P<0.001) variation of disease incidences and severity among the studied districts. The results further revealed that there is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the disease versus the evaluated ecological factors. The soil pH, soil temperature,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depicted positive correlation of disease incidence and severity versus ecological factors at ρ=0.50 and ρ=0.60, ρ=0.20 and ρ=0.94, ρ=0.11 and ρ=0.812, ρ=0.05 and ρ=0.771 respectively while nitrogen, phosphorus, and carbon depicted negative correlations at ρ=-0.22 and ρ=-0.58, ρ=-0.15 and ρ=-0.94, ρ=-0.19 and ρ=-0.12 respectively. In terms of host range, none of the weed species was found to be a carrier of Fusarium pathogen implying that it is host specific or semi selectiv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ested ecological parameters fav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Fusarium pathogen. Thus, management of the disease requires nutrients replenishment and soil shading as essential components in developing appropriate strategies for the control and prevention of further spread of the disease.

오이 촉성재배와 반촉성재배 농가들의 토양 및 시비관리기술 평가 (Evaluation of Soil and Fertilizer Management Techniques Applied by Farmers in Forcing and Semi-forcing Cucumber Cultivation Facilities)

  • 이주영;장병춘;성좌경;이수연;김록영;이예진;박양호;강성수;현병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83-991
    • /
    • 2012
  • 본 연구는 현재 오이재배농가에서 활용하고 있는 우수한 기술을 파악하고 체계화하여 다른 오이재배농가의 고품질 오이생산 및 소득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그 얻어진 결과는 아래와 같다. 오이 촉성재배 농가들의 토양조건은 하성평탄지 사양질 내지 식양질 토양이었고, 유효토심은 60~100 cm, 작토심은 20~28 cm이었다. 오이 반촉성재배 농가들의 토양조건은 하성평탄지 내지 곡간지에 위치한 사양질 또는 사력질 토양으로, 유효토심은 50~100 cm, 작토심은 20~28 cm이었다. 오이 촉성재배 농가들의 토양관리는 볏짚 $3,000{\sim}15,000kg\;ha^{-1}$을 시용하고, 밑거름으로 퇴비, 유박, 파쇄목, 화학비료 등을 시용하였으며, 이들의 3요소 성분 (질소-인산-가리)의 평균 시용량은 815-464-529 kg $ha^{-1}$ 이었다. 오이 반촉성재배 농가들은 볏짚을 평균 $3,000kg\;ha^{-1}$ 정도를 시용하였고, 밑거름은 퇴비, 유박, 화학비료 등을 시용하였으며, 이들의 3요소 성분 (질소-인산-가리)의 평균 시용량은 197-135-151 kg $ha^{-1}$ 이었다. 웃거름은 촉성재배농가들의 경우 4종류의 양액을 제조하여 2~3일 간격으로 한 종류씩 관비형태로 시용하였고, 반촉성재배 농가들은 농가마다 다르게 수용성비료들을 용액으로 제조하거나, 자가 제조 발효액 또는 미생물제 등을 2~3일 간격으로 관비형태로 시용하였다. 오이 묘의 정식은 경운 로타리 후 정식하였다. 하우스 내 볏짚의 시용은 월동기 토양온도를 증진시키거나 높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공기의 유통과 뿌리 뻗음을 좋게하고, 특히 토양 중 염류와 영양성분들의 집적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이 촉성재배시 호당 평균수량은 $168,000kg\;ha^{-1}$ 이었고, 평균 조수익은 381,000 천원 $ha^{-1}$ 이었으며, 반촉성재배 시 평균수량은 $115,000kg\;ha^{-1}$ 으로, 평균 조수익은 177,000 천원 $ha^{-1}$ 이었다. 농가의 소득은 월동기인 12~ 3월의 오이 가격이 높아 농가소득에 영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판별분석을 이용한 토지이용별 토양 특성 변화 연구 (Use of Discriminant Analysis to Identify Soil Quality Variation by Land Use)

  • 고경석;김재곤;이진수;김탁현;이규호;조춘희;오인숙;정영욱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3호
    • /
    • pp.207-21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회동저수지 상류 수영강 유역에 발달된 토양을 대상으로 지질 및 토지이용별로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그 영향을 다변량 통계분석법인 주성분 및 판별분석을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연구지역내 토양의 토성은 안산암에서 발달한 토양이 화강암의 것보다 세립질이며 용출 무기성분, 점토 및 유색광물의 함량도 높았다. 경작지 토양 내 염류 집적(EC, 양이온, 음이온)과 pH증가는 대부분 경작과정에 투입된 비료의 영향에 의한 것이며 임야 토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유기물 농도는 경운에 의한 유기물의 산화 촉진 및 작물 수확에 기인하는 것이다. 토지이용별 무기성분의 함량은 밭>과수원>논>임야 토양 순으로 나타났으며, 논 토양의 높은 $SO_4\;^{2-}$함량은 담수 상태 환원조건하 침전된 황화광물형태가 산화조건의 용출 실험에 의해 용해되어 증가되는 것에 기인한다. 주성분 분석결과는 토지 이용이나 지질에 따른 토양 특성을 잘 나타내었으며, 주성분 1은 시비, 광물 풍화작용 및 질소질 비료에 의한 이온교환 반응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토양 용출 성분과 성분비를 이용한 두 종류의 판별분석결과는 모두 토지이용별로 판별함수 1과 2에 의해 뚜렷하게 구분되며, 토양 성분을 이용한 판별분석에서 판별함수 1은 경작에 의한 비료의 영향을 나타내며 밭, 과수원, 논, 임야 토양 순서로 증가하였다. 판별분석에 의한 토지이용 특성의 조사 및 예측자료는 비교적 잘 일치하였으며 토지 이용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도 사용될 수 있었다.

혼합배지 조제에 이용되는 유·무기 물질들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Used as Container Media)

  • 최종명;정해준;최종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4호
    • /
    • pp.529-535
    • /
    • 2000
  • 혼합배지 조제에 이용되는 부숙 가공된 왕겨, 톱밥, 수피 등 유기물질과 질석, 펄라이트, 폐암면의 물리 화학성을 분석하여 혼합배지 조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건식수피나 습식수피는 1.0mm 이상의 입자분포가 72.1% 및 69.1%를 나타내어 부숙가공된 왕겨나 톱밥의 34.7 및 33.7%보다 월등히 높았다. 수입질석은 1.0mm 이상의 입자가 89.9%로 국산질석의 25.7%보다 높아 수입질석의 입자가 컸다. 토양물리적 특성에서 용기용수량에서는 러시아산 피트가 79.3%로 가장 높았고 습식수피 58.2%로 낮아 보수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기상률에서 톱밥과 러시아산 피트는 약 4.1%로 측정되어 작물재배에 이용할 경우 통기성 불량으로 인한 작물생육이 저조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부숙가공된 유기물질들의 화학적 특성에서 톱밥이 가장 높아 $2.30mS{\cdot}cm^{-1}$로 측정되었고, 기타 유기물질들의 전기전도도는 $0.25mS{\cdot}cm^{-1}$ 이하로 매우 낮았으며, 질소는 대부분 처리에서 1.5% 미만이었다. 양이온치환용량의 경우 수입질석이 64.0meq/100g로 국산질석의 27.2meq/100g보다 약 2.4배 높았다. Ca 및 Mg함량은 국산질석이 수입질석 보다 함량이 낮았으며, Na함량은 수입질석이 국산질석 보다 무려 38배 가량 높았다.

  • PDF

지속가능한 생태도시 및 생태마을에서의 거주자의 역할 (The Role of Residents for the Sustainable Ecopolis and Ecovillage)

  • 곽인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109-122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oles of residents for the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aco-polis(kologisches Bauen), eco-village and Symbiotic Housing. These buildings will achieve energy efficiency through design strategies such as passive solar heating system, natural cooling and day lighting. Their infrastructure will feature parking on the periphery, extensive pedestrian paths, outdoor ground lights that preserve stellar visibility, and environmentally sensitive technologies such as low writer use fixtures. And they will restore biodiversity while protecting the wildlife, wetlands, forests, soil, air and water. Their houses wile be designed to support home-based occupations, offering high-speed Internet access and other options to promote a localized, sustainable economy. To support and encourage the evolution of sustainable settlements,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nstructing the physical facilities and the social functions relating with residents. The roles of residents are important to provide a high Quality lifestyle and to integrate a supportive social environment with a low-impact way of life. This study concluded the four main roles of residents for the sustainable of Eco-polis and Ecovillage. 1. Residents assist transition towards a sustainable society as eco-conscious consumers in the planning stage. 2. Residents live in a ecological way for the sustainable ecovillage. 3. Residents exchange information and education for increasing the community glue as a communication network. 4. Residents support and transmit their cultural vitality and tradition for the next generation. So, users are expected to encourage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planning, design, ongoing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the sustainable ecovillage.

  • PDF

대기중 난분해성 유기염소계 농약의 계절별 농도변화 (Seasonal Variations in the Concentration of Persistent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Atmosphere)

  • 정예표;최민규;여현구;천만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9-85
    • /
    • 2001
  • 경기도 안성시 한경대학교에서 1999년 7월부터 11월까지 2주간격으로 대기중 OCPs를 측정하였다. 현재도 사용중인 것으로 보고된 endosulfan I과 II의 농도가 오래 전에 사용 금지된 다른 OCPs와 대사물질의 농도보다 훨씬 높았다. 그리고 모화합물인 heptachlor보다는 대사물질인 heptachlor epoxide가 더 높은 농도를 보였다. 이것은 이 성분이 사용된 지 상당히 되었지만, 환경중에서 독성이 강한 대사물질로 전환되어 잔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모든 OCPs는 가을보다 여름에 높은 농도를 보였다. 온도가 높은 여름에 air-surface exchange과 관련된 휘발작용으로 농도가 높아지고 온도가 낮은 가을에 농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endosulfan I과 II는 온도의 영향뿐만 아니라 사용량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Changes i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Coir Used as the Bag Culture Substrate of Greenhouse Tomatoes for Three Years

  • Song, Seung-Geun;Lee, Kyo-seok;Lee, Dong-Sung;Rhie, Ja-Hyun;Hong, Byeong-Deok;Bae, Hui-Su;Seo, Il-Hwan;Chung, Doug-Yo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03-509
    • /
    • 2016
  • To identify causes for drastic decrease in yield of tomato with repeated culturing number of the bag culture substrate of greenhouse tomatoes we investigate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a coir used as the bag culture substrate to grow tomato at the Booyeo tomato experimental institute located in Booyeo, Chungnam Province for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The results showed that total porosity ranged from 65.4 to 73.1% for the bulk densities of coir ranging from 0.12 to $0.14g\;cm^{-3}$. The volumetric water contents measured at 0.01 bar as air entry point were 25% (before), 33% ($1^{st}yr$), 45% ($2^{nd}yr$), and 37% ($3^{rd}yr$). Organic matter contents ranged from 82.0 to 96.2% (highest in $1^{st}yr$). pH and EC ranged from 4.47 to 6.47 (highest in $2^{nd}yr$), and from 22.2 to $53.5dS\;m^{-1}$ (highest in $1^{st}yr$)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ranged from 71.0 to $191.7cmol\;kg^{-1}$ (highest in $3^{rd}yr$). The surface structure observed with electrical microscope showed that the number of large pores decreased with increasing cultivating time while the proportion of smaller pores increased, indicating that the coir was consistently decomposed. Therefore, we could conclude that these changes of al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coir may influence the holding capacities of water and nutrients,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quality of culture substrate of greenhouse tomatoes.

난지도 지역의 대기수은 지화학 (Geochemistry of Total Gaseous Mercury in Nan-Ji-Do, Seoul, Korea)

  • 김민영;이강웅;신재영;김기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11-622
    • /
    • 2000
  • 대규모 면오염원으로 간주되는 난지도지역을 중심으로 2000년 봄 기간중 대기-지표간 수은의 교환율을 측정하고, 측정자료를 기초로 수은의 교환현상을 분석하였다. 측정결과에 의하면 난지도지역은 대규모 면오염원으로 대량의 수은을 배출할 뿐아니라 동시에 대규모의 침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주기별로 농도, 농도구배, 플럭스의 절대치를 분석한 결과 대규모 배출과 침적은 오후시간대에 왕성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의 발생빈도에 대한 분석결과는 배출이 새벽 또는 저녁에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비해, 침적은 주로 오후시간대에 집중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풍향대별로 발생빈도와 교환율을 비교한 바에 따르면, 대규모 침적을 유도하는 외부배출원이 동쪽지역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특정 풍향에서 침적이 집중된 점을 감안하여, 침적이 집중된 방향의 자료군과 배출이 지배적으로 발견된 전체자료를 이용하여 조건별 환경인자의 변화동향을 배출/침적비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오염인자들의 농도는 외부여건에 따라 규칙적인 변화양상을 보여주었다. 상관분석의 결과는 이들의 거동이 교환현상의 수직적인 방향-침적 또는 배출-의영향을 민감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의 결과는 배출시에 기온과 같은 요인에 의해 유도되는 부분이 그리고 침적시에는 기온, 오존, 비메탄계 탄화수소와 같이 외부인자의 영향을 반영하는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난지도지역을 중심으로 한 수은의 자료를 추정한 결과 연간규모로 약 6kg의 수은이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 자생지(生地生) 환경(環境) 특성(特性) (Habitat Environment of Epimedium koreanum Nakai)

  • 박경열;최병열;이은섭;김순재;박철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1-56
    • /
    • 1998
  • 본 연구는 1995년부터 1997년까지 경기도와 강원도 5개군 7개소를 중심으로 자생하는 삼지구엽초의 환경특성을 구명하여 삼지구엽초 작물화재 배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된 자생지는 대체로 북서 사면에 표고 $60{\sim}400m$, 경사도 $2{\sim}20%$인 곳의 냇가에서 $5{\sim}80m$ 주위로 물줄기를 따라 장타원으로 위치하고 있었다. 2. 자생지 토양은 잔자갈이 있는 양토 또는 사양토로서 가비중이 $0.74{\sim}1.26g/cm^3$, 공극율 $52.5{\sim}72.1%$로 나타났다. 3. 토양화학성은 pH $4.1{\sim}5.8$, 유기물함량 $4.9{\sim}6.6%$, 유효인산 $21{\sim}125\;ppm$, 치환성양이온 (me/100g)은 $K^+\;0.35{\sim}1.09,\;Ca^{++}5.42{\sim}18.73,\;Mg^{++}\;0.99{\sim}1.53$, CEC는 $14.8{\sim}34.3me/100g$이었다. 4. 자생지는 주로 개암나무, 떡갈나무, 참나무 등 낙엽광엽활엽수에 의하여 차광되어 취, 둥굴레, 삽주, 뱀딸기, 제비꽃 등 반음지식물과 함께 자생하고 있었다. 5. 삼지구엽초 군락에 도달하는 광투과 정도는 노지 대비 relative photon flux density $3.5{\sim}13.1%$ 상대조도는 $3.3{\sim}11.9%$ 였으며 기온은 $4.3{\sim}6.5^{\circ}C$낮았다. 또한 지온은 5월에서 8월까지 $17.5{\sim}20.1^{\circ}C$로 경과되어 외기기온의 $25.1{\sim}30.8^{\circ}C$에 비하여 낮았으나 변화폭이 작았다.

  • PDF

바이오매스량과 식생구조가 토양 탄소함유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서서울호수공원과 양재 시민의 숲을 대상으로 - (Analyzing the Influence of Biomass and Vegetation Type to Soil Organic Carbon - Study on Seoseoul Lake Park and Yangjae Citizen's Forest -)

  • ;김윤정;류희경;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3-134
    • /
    • 2014
  • 탄소축적량 증진을 위한 도시공원 설계 및 계획에 적합한 식재구조와 토양 관리방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저감에 기여하는 도시공원 설계와 관리를 위하여, 서서울호수공원과 양재시민의 숲을 대상으로 바이오매스량과 공원조성 시기 및 식재구조가 다른 조사구에서의 토양 탄소함유량을 지상부 지하부 탄소저장량의 측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대상 도시공원으로 조성시기가 다른 서서울호수공원(2009년)과 양재 시민의 숲(1986년)을 선정하였다. 식생과 토양 특성에 따른 토양 탄소함유량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바이오매스량과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측정을 통해 지상부 지하부 탄소저장량을 분석하였다. 바이오매스량 측정에는 상대생장식을 적용하였으며, 토양에 관해서는 토양 탄소함유량(TOC)과 pH, 양이온치환용량(CEC), 전질소량(TN), 토양 총 균수와 같은 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 바이오매스량은 양재 시민의 숲이 서서울호수공원보다 높아, 조성된 지 오래된 공원의 바이오매스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토양 탄소함유량은 양재시민의 숲이 서서울호수공원 보다 낮았으며, 이는 양재시민의 숲에서의 대기오염과 산성비 노출에 의한 토양의 산성화 진행에 따른 영향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토양 탄소함유량은 단층식재지가 다층식재지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적 시점에서 볼 때, 토양 개선은 식생 생장을 도모한다. 따라서 도시공원의 토양 특성 개선을 위하여, 석회성 비료 시비에 의한 pH 조절과 답압 제어 및 낙엽층 방치에 의한 토양 양분 증진을 통한 공원관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