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Used as Container Media

혼합배지 조제에 이용되는 유·무기 물질들의 물리·화학적 특성

  • Choi, Jong Myung (Division of Horticulture & Landscape Architecture, Pai Chai Univ.) ;
  • Chung, Hae Joon (Division of Horticulture & Landscape Architecture, Pai Chai Univ.) ;
  • Choi, Jong Seung (Division of Horticulture & Landscape Architecture, Pai Chai Univ.)
  • 최종명 (배재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원예조경학부) ;
  • 정해준 (배재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원예조경학부) ;
  • 최종승 (배재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원예조경학부)
  • Published : 2000.08.31

Abstract

Organic materials such as composted rice-hull, saw dust, and pine bark, and inorganic materials such as vermiculite, perlite, and recycled rockwool were commonly employed as container media in domestic greenhouse industr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get informations in soil physico chemical properties of those materials. Composted dry-peeling bark and wet-peeling bark had 72.1% and 69.1%, respectively, in particles larger than 1.0 mm, which were much higher than 34.7% of composted rice-hull and 33.7% of composted saw dust. Imported vermiculite had 89.9%, but domestic vermiculite had 25.7% in particles larger than 1 mm. In soil physical properties, Russian peat had the highest container capacity of 79.3%, and wet-peeling bark had the lowest container capacity of 58.2%. However, Russian peat and composted saw-dust had 4.1% in air space indicating that possible problems could occur in soil aeration when those are employed for container grown crops. Saw dust had $2.3mS{\cdot}cm^{-1}$ in electrical conductivity, while other composted organic materials had less than $0.25mS{\cdot}cm^{-1}$. Imported vermiculite had 64.0 meq/100 g in cation exchange capacity, which was 2.4 times higher than those of domestic vermiculite, 27.2 meq/100 g. Domestic vermiculite had higher Ca and Mg and less Na contents than those of imported vermiculite.

혼합배지 조제에 이용되는 부숙 가공된 왕겨, 톱밥, 수피 등 유기물질과 질석, 펄라이트, 폐암면의 물리 화학성을 분석하여 혼합배지 조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건식수피나 습식수피는 1.0mm 이상의 입자분포가 72.1% 및 69.1%를 나타내어 부숙가공된 왕겨나 톱밥의 34.7 및 33.7%보다 월등히 높았다. 수입질석은 1.0mm 이상의 입자가 89.9%로 국산질석의 25.7%보다 높아 수입질석의 입자가 컸다. 토양물리적 특성에서 용기용수량에서는 러시아산 피트가 79.3%로 가장 높았고 습식수피 58.2%로 낮아 보수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기상률에서 톱밥과 러시아산 피트는 약 4.1%로 측정되어 작물재배에 이용할 경우 통기성 불량으로 인한 작물생육이 저조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부숙가공된 유기물질들의 화학적 특성에서 톱밥이 가장 높아 $2.30mS{\cdot}cm^{-1}$로 측정되었고, 기타 유기물질들의 전기전도도는 $0.25mS{\cdot}cm^{-1}$ 이하로 매우 낮았으며, 질소는 대부분 처리에서 1.5% 미만이었다. 양이온치환용량의 경우 수입질석이 64.0meq/100g로 국산질석의 27.2meq/100g보다 약 2.4배 높았다. Ca 및 Mg함량은 국산질석이 수입질석 보다 함량이 낮았으며, Na함량은 수입질석이 국산질석 보다 무려 38배 가량 높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