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elfare effects

검색결과 1,514건 처리시간 0.025초

복지국가의 사회복지비 지출 변화$(1982{\sim}1992)$에 관한 실증적 연구 : Fuller-Battese Model을 이용한 분석 (A Study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s$(1982{\sim}1992)$ of Welfare States : An Analysis Using Fuller-Battese Model)

  • 강철희;김교성;김영범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2권
    • /
    • pp.7-40
    • /
    • 2000
  •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1982{\sim}1992)$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s of 12 welfare states. This paper focuses on two questions. First, to what extent have there been changes in social welfare expenditure (total social welfare expenditures, income support expenditures, social service expenditures) of 12 welfare states? Second, what are the causes of the changes in social welfare expenditures? Using Comparative Welfare States Data Set by Stephens(1997) and Social Expenditure Database by OECD (1999), this paper attempts to answer two questions. Fuller-Battese model, a data analysis method in pooled cross-sectional time-series analysis, is adopted to identify variables predicting social welfare expenditure changes. This paper analyzes the predictors separately according to the types of welfare states by Esping-Andersen (1990). Predictors are different by the types of welfare states; thus, economic variables such as GDP and financial deficiency have effects on social welfare expenditures of Liberal and Corporatist welfare states. while they have no effects in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es. Political variables has effects on social welfare expenditures of Corporatist welfare states, not of Liberal and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es. Demographic variables has effects on social welfare expenditures of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es rather than Liberal and Corporatist welfare states. This paper provides an additional knowledge about social welfare expenditure changes of 12 welfare states and discusse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welfare state in Korea.

  • PDF

The Impacts of Social Welfare Worker's Interpersonal Stress on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Ability

  • Kim, Hyunjoo;Im, Geumok;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67-7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job burnout,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elfare worker's in social welfare center and efficient response of welfare worker'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the interpersonal stress of social welfare worker's in social welfare center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terpersonal stress as a dependent variable of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stress coping ability as a moderating variable were select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job burnout, turnover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ability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erpersonal stress of social welfare worker'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lso,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copying ability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and the direc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장애인복지비 지출의 파급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Spillover Effects of the Welfare for the disabled Capital Expenditures)

  • 김금환;박애경;김윤재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3호
    • /
    • pp.121-131
    • /
    • 2012
  • 사회복지관련 예산의 급격한 증가가 함께 사회복지관련 사업도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사회복지정책을 수행하는 정부 및 지자체에 의한 지원과 보조사업 추진의 당위성 및 논거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며, 본 연구는 후생경제학 입장에서 장애인복지관련 예산이 국가경제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장애인복지정책의 달성을 위한 예산 지출은 기업 및 개인의 소비행위를 연속적 및 직 간접적으로 파생시키게 되며,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장애인복지예산의 경제적 효과로써 생산, 부가가치, 고용, 취업 등에 얼마나 기여하는가를 계량적으로 추정하여 제시하였다. 수도권 3개 지자체의 장애인복지관련 예산지출에 의해 연간 1조 3천억원의 생산을 유발시키며, 8,015.9억원의 직간접 부가가치를 파급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17,673.2명의 고용 및 26,825.2명의 취업을 창출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장애인 사회복지예산을 소비지출로 인식하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사회적 논란 야기 및 재정압박 요인으로 작용하는 현시점에서 복지 분야에 대한 정부 및 지자체의 장애인복지정책에 의한 개입 지원 보조의 당위성 논의의 타당성은 결국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뒷받침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사료되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또한 복지예산은 소멸성 지출이 아니며 우리나라 사회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파생시키는 중요한 산업임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 연구를 통해 정책적 지원 및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 PDF

The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cusing on Mediation Effects of Self-efficacy

  • Park, Yeun-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85-191
    • /
    • 2016
  • This study verified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empowering leadership,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o this end, the study chose self-efficacy as an intervening variable and OCB as a dependent variable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their works. The study found that empowering leadership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self-efficacy while both self-efficacy and empowering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OCB. Self-efficacy has medit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OCB.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workers' self- efficacy and OCB through empowering leadership in social welfare centers.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사회적위축이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성취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and Social Withdrawl on Career Decision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Achievement Motivation)

  • 이형하;김지선;김지원;송현경;최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183-184
    • /
    • 2019
  •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패널 6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사회적위축이 성취동기를 매개로 진로결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다문화청소년 1,283명이다. 주요 분석변수는 독립변수로 진로장벽, 사회적위축, 매개변수로 성취동기, 종속변수로 진로결정성을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1.0을 사용할 것이다.

  • PDF

사회복지법인 운영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Regional Economic Effect of the Management Social Welfare Foundation - focused on Daegu Metropolitan City)

  • 채현탁;임우현;김영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375-383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복지법인이 설립 운영됨으로써 지역사회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산업연관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대구광역시 소재 사회복지법인 운영의 지역경제파급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총생산유발효과가 43,445억원, 총부가가치유발효과가 19,400억원, 총고용유발 효과가 37,411명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기관에 대한 소비지향적인 인식을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기관에서 제공하는 사회서비스와 연계한 고용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이를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별도의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기관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확대시킬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넷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기관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지역사회로 적절히 홍보함으로써 사회서비스 제공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책임성을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 Kwak, Mi-Kyung;Cho, Sung-Je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711-71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0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in OO city, Gyeongsangbuk-do, Kore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ir emotional commitment, continuous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the higher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uch as emotional, continuous, normative commitment, resulting in positive effects on the achievement of goals and values that are pursued by the welfare facilities. This study aims to become foundational data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다문화 청소년 부모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tress on Depression in Multicultural Youth Paren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 이형하;라연희;송현주;용정이;윤정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181-182
    • /
    • 2019
  •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패널 6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사회적위축이 성취동기를 매개로 진로결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다문화청소년 1,283명이다. 주요 분석변수는 독립변수로 진로장벽, 사회적위축, 매개변수로 성취동기, 종속변수로 진로결정성을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1.0을 사용할 것이다.

  • PDF

빅데이터를 활용한 양파 관측의 사회적 후생효과 분석 (Analysis of Social Welfare Effects of Onion Observation Using Big Data)

  • 주재창;문지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7-332
    • /
    • 2021
  • This study estimated the predictive onion yield through Stepwise regression of big data and weather variables by onion growing season. The economic feasibility of onion observations using big data was analyzed using estimated predictive data. The social welfare effect was estimated through the model of Harberger's triangle using onion yield prediction with big data and it without big data. Predicted yield using big data showed a deviation of -9.0% to 4.2%.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social welfare effect, the average annual value was 23.3 billion won. The average annual value of social welfare effects if big data was not used was measured at 22.4 billion won. Therefore, it was estimat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cial welfare effect when the prediction using big data was used and when it was not was about 950 million won. When these results are applied to items other than onion items, the effect will be greater. It is judg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prove the justification of the agricultural observation project. However, since the simple Harberger's triangle theory has the limitation of oversimplifying reality,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economic value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measuring the effect of agricultural observation under a more realistic rational expectation hypothesis in future studies.

서울시 사회복지 예산지출의 계량적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Quantitative Effect of Seoul Social Welfare Budget Spending)

  • 김금환;조순점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2호
    • /
    • pp.163-173
    • /
    • 2014
  • 사회복지관련 예산의 급격한 증가가 함께 사회복지관련 사업도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사회복지정책을 수행하는 지자체인 서울시에 의한 지원과 보조사업 추진의 당위성 및 논거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는 후생경제학 입장에서 사회복지관련 예산 지출이 서울지역 및 타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계량적으로 살펴보았다. 사회복지정책의 달성을 위한 예산 지출은 기업 및 개인의 소비행위를 연속적 및 직 간접적으로 파생시키게 되며,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산업연관표를 재 작성하여 사회복지 예산 지출의 경제적 효과로써 생산, 부가가치, 고용, 취업 등에 얼마나 기여하는가를 계량적으로 산정하여 제시하였다. 지자체인 서울시의 사회복지관련 예산지출에 의해 연간 10조 2백억원의 생산을 유발시키며, 6조 4,936억원의 직간접 부가가치를 파급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132,992.3명의 고용 및 203,430.3명의 취업을 창출시키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복지 예산 지출을 소비지출로 인식하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사회적 논란 야기 및 재정압박 요인으로 작용하는 현 시점에서 복지 분야에 대한 정부 및 서울시의 사회복지정책에 의한 개입 지원 보조의 당위성 논의의 타당성은 결국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뒷받침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의 기초자료를 제시함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복지예산은 소멸성 지출이 아니며 우리나라 사회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파생시키는 중요한 산업임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 연구를 통해 정책적 지원 및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