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viewing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8초

포스트 코로나, 코로나 이후 온라인 미술시장 (Post Corona, Online Art Market after Covid19)

  • 권은용
    • 트랜스-
    • /
    • 제10권
    • /
    • pp.15-29
    • /
    • 2021
  • 코로나 팬데믹 이후, 전염병의 창궐 속에서 개인의 건강과 안녕을 위한 수단으로 '언택트 경제' 비대면 경제활동이 주요 이슈가 되면서, 쿠팡, 마켓컬리 같은 온라인 마켓이 생필품을 구매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 부상했다. 이처럼 코로나가 야기한 집합과 국가간 이동제한은 사회 전반적인 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람들의 행동 방식과 소비습관, 나아가서는 라이프 스타일에까지 큰 변화를 불러왔다. 미술시장 역시 많은 변화를 맞이했다. 집합의 제한, 국가간 이동의 제한 상황 발생은 미술시장 규모에 일차적으로 타격을 입혔으며 나아가 작품이 거래되는 방식, 거래되는 작품의 특성, 작품을 구매하는 사람에게 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가 미술시장에 미친 영향을 온라인 미술시장 중심으로 살펴보고, 앞으로 야기할 변화와 대응방식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확장된 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한 유튜브 크리에이터 특성과 채널 접근 요인이 사용자 지속 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YouTube Creator Characteristics and Channel Access Factors on Users' Continuous Viewing Intentions: An Application of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조재희;박상혁;오승희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1권3호
    • /
    • pp.1-18
    • /
    • 2024
  •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YouTube creator characteristics and channel access factors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watching content, noting that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has diversified media audiences' content preferences and access routes.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effects of YouTube creator trustworthiness, attractiveness, familiarity, and social influence, as well as the effects of recommendation services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and perceived enjoyment. The study found that creator credibility and recommendation servic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 of content, while intimacy and charm were important factors in increasing the easy of use and playfulness of content. These perceived usefulness, ease, and playfulness also had a strong positive impact on users' intention to continue watching the channel. This suggests that trust and intimate relationships with creators and appropriate content recommenda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user satisfaction and channel persist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s analysis of creator and channel access factors based on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s that it shows the potential for extending and applying the exist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the digital content environment.

숏폼 브랜디드 콘텐츠 노출 유형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인지된 소속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Determinants the Effect of Exposure Type of Short-form Branded Content on Consumer Respons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ense of Belonging)

  • 김규리;최정혜;박경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642-657
    • /
    • 2022
  • 4차 산업혁명과 팬데믹은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중심으로 각광 받고 있는 숏폼 브랜디드 콘텐츠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비대면 마케팅에 대한 새로운 전략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소셜 미디어 상에서 숏폼 브랜디드 콘텐츠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사회적 시청 현상을 중심으로 노출 유형 (직접 시청 vs. 사회적 시청)이 숏폼 브랜디드 콘텐츠와 콘텐츠가 포함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더불어 인지된 소속감을 매개 변인으로 제시하고, 사회적 시청 과정에서 소비자가 인지하는 소속감이 노출 유형과 소비자 태도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 효과를 주는지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노출 유형은 콘텐츠와 콘텐츠가 포함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인지된 소속감 역시 매개 변인으로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공헌 일자리를 통한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 후 사회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Social Participation after Retirement of Baby Boomers through Social Contribution Jobs)

  • 김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205-216
    • /
    • 2022
  •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 후 사회공헌 일자리 통한 사회 참여 경험을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면접을 통한 자료 분석 결과 퇴직 후 사회공헌 일자리에 참여한 베이비붐 세대들은 일하고 싶은 강한 욕구를 나타냈고 일자리 참여로 인해 보람과 자기 계발의 기회가 주어졌으며 이로 인해 가족들도 일자리 참여를 긍정적으로 여겼다. 또한 자조 모임과 커뮤니티를 통해 프로그램을 위한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의 관심사를 나누는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일자리로서는 보수가 너무 적고 매년 면접을 다시 봐야 하는 불안정성과 불연속성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다. 사회공헌 일자리의 미래 방향성에 대해서는 베이비붐 세대의 기술과 전문성을 좀 더 활용할 수 있는 일자리의 필요성과 퇴직 후 소득보장으로서의 가교 일자리 정책과 더불어 제도개선 및 규제개혁을 통한 시장성과 공공성을 지닌 산업의 육성과 지원으로 퇴직 베이비붐 세대의 인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이 강조되었다.

소셜미디어 음식 콘텐츠 이용수준에 따른 20-30대의 건강행동 및 식습관에 대한 단면 조사연구 (Health behaviors and eating habits in people's 20s and 30s according to food content usage level on social media: a cross-sectional study)

  • 방서연;정복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392-403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adults' health behaviors and eating habits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social media use. Methods: From May 27 to July 11, 2022,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f 452 male and female social media users in their 20s and 30s, and their eating habits and health behavio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ir degree of social media use. For each of the three levels of food content use, the frequency of social media content use, and the total score range of average social media viewing time per day were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a group with a score of less than 2 points was classified as low-use; a group with a score of 2 or more and less than 3 points was classified as middle-use; and a group with a score of 3 points or more was classified as high-use. Results: The use of food content was higher in women than in men (P < 0.001), and higher in those in their 20s than in those in their 30s (P < 0.001).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food content use showed a higher rate of post-use hunger than the group with a low level (P < 0.01). The experience of eating after using food content was also higher in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use than in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use (P < 0.001). The group with a normal or high level of food content use had more negative eating habits than the group with a low level. Conclusions: The study highlighted the need to provide desirable food content to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ith negative eating habits and to promote them so that they can use the right healthy nutrition-related content.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분석 (Preference Analysis of Forest Therapy Program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 김윤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4-442
    • /
    • 2016
  •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보았다. 편의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방법을 이용하여 성인 남 여를 대상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와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척도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척도(PWI-SF: Psycho social Well-being Index Short Form)를 근거로 성인 620명을 건강군, 잠재적 스트레스군,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세 군 사이의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였다.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호흡법 호흡체조, 자유롭게 숲속걷기, 물 흐르는 소리 듣기, 카운슬링 상담 등 전문가 코칭, 스트레스 관련 강의, 대인관계 커뮤니케이션 강의, 경관보기, 숲 해설 듣기, 삼림욕 풍욕 일광욕)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고위험 스트레스군은 카운슬링 상담 등 전문가 코칭, 스트레스 관련 강의, 대인관계 커뮤니케이션 강의 등의 인지적인 접근의 프로그램을, 건강군은 호흡법 호흡체조, 자유롭게 숲속걷기(신발착용), 물 흐르는 소리 듣기, 경관보기, 삼림욕 풍욕 일광욕 등의 오감을 활용하는 감성적인 접근의 프로그램을 각각 상대적으로 높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적 스트레스군에 있어서는 두드러진 선호도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가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Design of Virtual Reality content for supervising abusement

  • Kim, Minji;Lim, Ch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4호
    • /
    • pp.9-15
    • /
    • 2019
  • The government has defined domestic violence as one of the four major social evils and tried to prepare laws and systems to prevent it. Nevertheless, domestic violence has emerged as a serious social issue, and compare to the number of domestic violence cases that are constantly increasing, the report rate of domestic violence is significantly lower. This suggests the need to improve citizens' perception of domestic violence as the issue to solve it together in society, not as a private matter at home. Most of existing contents for preventing domestic violence and improving awareness are simple viewing forms of video contents, which have little effect on recognition. We aim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social awareness about domestic violence by producing Virtual Reality (VR) contents that have great features of user's immersion and empathy. In this VR content, the user can interact with various objects in the virtual reality of domestic violence and directly or indirectly experience the victim's position. Users who view the violent environment from the victim's point of view can have a subjective empathy for the problem, which is expected to induce more active awareness about domestic violence.

Relationship of Parenting Style and Perceived Value of Characterized Children's Fashion Products

  • Kang, Keangyoung;Kim, K.P. Johnson;Kim, Hyeyoung
    • 패션비즈니스
    • /
    • 제17권3호
    • /
    • pp.15-29
    • /
    • 2013
  • In the children's market, characters are applied to products to stimulate children to buy a product directly or to implore their parents to buy it for them. To sell characterized products, marketers consider both parents and children.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dentify which parenting style factors affect the evaluation of characterized children's fashion products and to test how parenting style affects the evaluation of value importance of characterized children's fashion products. The parenting style factors studied were first categorized as communication, children's social acceptance, educational involvement, and media exposure. Responses from 259 parents residing in Woodbury, MN, and Ellicott City, MD,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 factor analysis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Parents with high "Susceptibility to child peer pressure" attached importance to "Social Value" when buying characterized products. On the other hand, parents who were highly involved in their child's life and frequently intervened in their "Child's TV-viewing" attached importance to educational value. Educational value was a unique contributor to the evaluation of characterized products as compared to other fashion products. Marketers can therefore leverage both the social and educational value of characterized products.

TV 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V media on adolescent body image)

  • 김재숙;이미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957-96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end the social comparison theory in an attempt to examine the effect of TV media on adolescent body images. The research was a survey and the subjects were 895 male and female adolescents in Taejon, Korea. The measuring instruments were 2 sets of stimuli of male and female body silhouettes an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s TV viewing periods were 3∼4 hours per day and their involvements in TV media were moderate degree. 2) The results of perceptual body images showed that adolescent favored thin body type as an ideal body and had distorting tendency that their bodies were larger than the actual sizes. 3) The results of attitudinal body images showed three factors such as \"appearance evaluation\", \"appearance orientation\", and \"fitness orientation\". 4) TV media had significant effects on perceptual and attitudinal body images. It is conclud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social comparison theory that people compare themselves to others to satisfy their needs for self-evaluation and for judgments of their own personal worth since TV media give strong influence on adolescents through presenting social comparison models to body images.

  • PDF

국악공연의 관람 결정요인 척도 타당화 (A Validation Study on Scale of Determina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 전주희;장인희;최배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65-275
    • /
    • 2019
  • 본 연구는 공연시장 내에서 일반적으로 낮은 대중 선호도를 보이는 국악공연의 소비자 확보와 증가를 통한 시장 활성화를 위해 국악공연의 관람 결정요인 척도를 타당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문화예술 관련 종사자 및 전문가 7인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한 뒤 국악공연 소비자 유형별 관람 결정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KJ법을 이용한 개방형 설문 결과를 8개 요인, 총 65문항으로 범주화하였다.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6개 요인, 35문항이 추출되었고 확증적 요인분석을 실시함으로서 구조의 적절성을 확인한 뒤 국악공연 관람 결정요인 척도의 구성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일반 한국성인의 국악공연 관람 결정에 있어 흥미유발요인, 명성 실력요인, 정서 정보적 요인, 창의성요인, 가격합리성요인, 사회관계요인 순으로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둘째, 국악공연 관람 결정요인의 일반적인 경향은 국악공연 관람 결정요인 중 가격합리성요인과 흥미유발요인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정서 정보적 요인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