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Validation Study on Scale of Determina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국악공연의 관람 결정요인 척도 타당화

  • 전주희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
  • 장인희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
  • 최배석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 Received : 2019.05.03
  • Accepted : 2019.06.28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scale of deteminants for wat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to activate the market by procuring and increa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consumers that exhibit generally low preference in the performance market. Accordingly, FGI was conducted on seven employees and professional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and then open survey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eight factors and a total of sixty-five items using the KJ method to find the viewing decision factors per consumer typ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Afterwards, a six-factor and thirty-five items were extracted after conduct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tructural appropriateness, and then the feasibility of the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viewing decision factor scale was verified.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irst, for general Korean adults making decisions to view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there was positive impact in the order of interest-creating factors, fame and talent factors, emotional and information factors, creativity factors, reasonable price factors, and social relation factors. Second, the general tendency of decision factors to view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showed relatively high levels in reasonable price factors and interest-creating factors amo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viewing decision factors, while emotional and information factor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low.

본 연구는 공연시장 내에서 일반적으로 낮은 대중 선호도를 보이는 국악공연의 소비자 확보와 증가를 통한 시장 활성화를 위해 국악공연의 관람 결정요인 척도를 타당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문화예술 관련 종사자 및 전문가 7인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한 뒤 국악공연 소비자 유형별 관람 결정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KJ법을 이용한 개방형 설문 결과를 8개 요인, 총 65문항으로 범주화하였다.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6개 요인, 35문항이 추출되었고 확증적 요인분석을 실시함으로서 구조의 적절성을 확인한 뒤 국악공연 관람 결정요인 척도의 구성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일반 한국성인의 국악공연 관람 결정에 있어 흥미유발요인, 명성 실력요인, 정서 정보적 요인, 창의성요인, 가격합리성요인, 사회관계요인 순으로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둘째, 국악공연 관람 결정요인의 일반적인 경향은 국악공연 관람 결정요인 중 가격합리성요인과 흥미유발요인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정서 정보적 요인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체육관광부, "문화비전2030, 사람이 있는 문화," www.mcst.go.kr, 2018.
  2. 문화체육관광부, (재)예술경영지원센터 "2019 공연계 주목해야 할 키워드 6," www.gokams.or.kr, 2019.
  3. 지역문화진흥원,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문화 여가생활 변화 실태조사," www.rcda.or.kr, 2018.
  4. 문화체육관광부, "2016 문화향수 실태조사," www.korea.kr, 2016.
  5. 문화체육관광부, "2018 문화향수 실태조사," www.korea.kr, 2018.
  6. 문화체육관광부, (재)예술경영지원센터 "2018 공연예술 실태조사," www.gokams.or.kr, 2018.
  7. 박현승, 허식, "전통예술 참여동기 요인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문화경제연구, 제16권, 제1호, 2013.
  8.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pp.17-25, 2009.
  9. 이재화, 창작국악 공연유형에 따른 관람만족 및 관람가치에 대한 분석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41-44, 2010.
  10. 서혜윤, 한국음악공연 관객이 동기와 공연 서비스품질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1. 문갑수, 부산지역 뮤지컬 관객의 만족도 형성에 관한 연구: 마케팅믹스와 관람동기 요인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36-38, 2010.
  12. 문화체육관광부, (재)예술경영지원센터 "2008 연극, 뮤지컬 관람객 조사보고서," www.gokams.or.kr, p.73, 2018.
  13. 김보름, 천혜정, "국악공연 관람객의 관람동기 및 관람만족도가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여가학 연구, 제14권, 제1호, 2016.
  14. 김지영, "예술관광으로서 클래식 공연의 관람동기 분석: 영리, 비영리 공연 비교 연구," 관광연구논총, 제21권, 제1호, 2009.
  15. 홍세희, "특별기고: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