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assistance in Korea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2초

비정부기구를 통한 남북한 구강보건의료 교류의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oral health services exchange from South and North Korea through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 한동헌;신터전;명훈;이승표;김종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10호
    • /
    • pp.705-711
    • /
    • 2015
  • South Korea's oral health car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have played a crucial role in South-North relations, although a formal intergovernmental relationship is difficult to establish and also easily breaks down. Humanitarian assistance by NGOs in the oral health care sector is an area that receives wide support from South Korean society for its urgency and for its appeal to humanity. This humanitarian assistance started in the late 1990's and continued to grow until the late 2000's. This assistance continued throughout the tension between the two administrations that resulted in a radical decrease in overall assistance from South Korea to North Korea. However, concerns remain about the transparency and efficiency of NGO activities. In this article, the NGOs and their major activities are delineated, and South Korean legislation is examined. A current act, the Law on the Development of South and North Korean Relations serves as a basis for governmental regulation and support of NGO's. Humanitarian assistance in the oral healthcare area is directly related to the oral health of the North Korean people, and it should not be influenced by political changes. Long-term planning and close discussions between NGOs, their North Korean counterparts, a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re needed. NGOs need to overcome their shortcomings such as a lack of expertise and shortage of financial support. For this, NGOs must improve their administration transparency and professionalism.

직장인 스트레스 반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mployee's Stress Response Scale)

  • 이정은;최보라;정영은;송광헌;강민재;채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3-160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mployee's stress response scale (ESRS) and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 item generation, and tes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Items were developed via literature review, review of instruments, and data acquired from email-survey of counselors in the field of Employee Assistance Program (EAP). In order to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employees. Results :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ESRS suggested 4 factor structures (work-related, anger, somatization, depression & anxiety) with a total of 25 items. ESRS showed a relativel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Hospital Anxiety-Depression scale (HAD), Perceived Stress Scale (P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dex (PWI), which showed ESRS had high convergent validity. Cronbach's ${\alpha}$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95 and .610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ESRS is reliable and valid brief scale for measuring stress responses of employees. This scale would be useful in quantitatively evaluating job stress in workplace.

협력형 차량 안전 시스템의 잠재적 안전 효과 분석 연구 (Potential Safety Benefit Analysis of Cooperative Driver Assistance Systems Via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s)

  • 강지웅;송봉섭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28-141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6대 협력형 차량 안전 시스템 대한 잠재적인 사회적 안전효과를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협력형 차량 안전시스템의 도입 및 확산을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어떠한 파급효과를 가져올지에 대하여 안전 시스템 별 정량적 분석이 필요하다. 국내에서 사고유형 기반으로 분석이 이루어진 사례들이 있으나, 사고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분석방법론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해서 우선 승용차나 승합차만을 대상으로 한 국내 사망교통사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 시나리오를 분류한다. 다음으로 사고 시나리오를 분석하여 협력형 차량 안전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결과적으로 사망 사고 빈도수를 통해 안전 시스템의 잠재적인 사회적 안전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안전효과의 정량적 분석을 이용하여 협력형 차량 안전 시스템의 인증을 위한 대표 평가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사회보험으로서 수발보험 도입 가능성 모색을 위한 연구 : 독일의 예를 중심으로 (A Study for the Possibility of Introduction of the "Pflegeversicherung" in Korea : Focused on the German Modell)

  • 정재훈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8권
    • /
    • pp.359-402
    • /
    • 2002
  • In Korea we should prepare for the exploding need to nursing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 to the aged society. Therefore the german model; of "Pflegeversicherung (a nursing social insurance)" which is introduced in 1995, could help us to plan for the aged society in next Years. In Germany the discussion about the proper measures against the need to nursing as social risk was begun in early 1990s. The need to nursing was thought as social risk because of the aged society, the burden of the family member who take the responsibility for the nursing, and the fiscal crisis of social assistance system which was caused to the exploding cost of nursing for the poor people. Among the some alternatives the "Pflegeversichrung" as a social insurance model! with the' pay-as-you-go system' was introduced step by step in the years of 1995 and 1996. Such german modell was possible on the basis of the stabil social insurance system, especially medical insurance system, the corporatism between the employer and the employee and the developed democratic political system in which the compromise is achieved at the cost of all concerned parties. In Korea we have no experience as like in Germany. But, in Korea, we can start more effectively to look after the possibility of any system which helps the people with need to nursing, when we have understood the factors in policy-making for the introduction of "Pflegeversicherung."

  • PDF

차원계수방식에 의한 다차원적 빈곤 측정 (Measurement of Multidimensional Poverty by Counting Approach)

  • 최균;서병수;권종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1호
    • /
    • pp.85-111
    • /
    • 2011
  • 다차원적 빈곤접근에 있어 빈자의 구분방식에는 복합지수방식, 합집합 및 교집합방식이 있는데 이들 방식들은 타당하지 않은 문제들이 있었다. Alkire와 Foster는 이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합집합과 교집합의 중간 형태로서 결핍차원들의 개수를 경계선으로 이용하는 차원계수방식을 이론화하였다. 차원계수방식에 의해 우리나라의 다차원적 빈곤을 측정한 결과, 3개 결핍차원을 정책적 차원빈곤선으로 하는 경우 다차원적 빈곤율은 20% 수준으로서 10명 중 2명이 다차원적으로 빈곤하였다. 다차원적 빈곤율이 높은 것은 자산, 소득, 사회보장, 건강 등 여러 차원으로 결핍의 폭이 넓은데 기인하였다. 여성, 한 부모, 노인, 비경제활동인구 등 취약계층일수록 다차원 빈곤의 폭이 넓고 가중되고 있었다. 연구결과 현행 기초생활보장제도가 탈 빈곤유도와 기초생활보장이라는 두 가지 정책목표를 각각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근로능력 유무에 따라 수급자선정과 지원체제를 이원화하고 차원계수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유용하다고 본다.

  • PDF

농촌고령자 생활안전서비스 개발을 위한 식생활 상태 평가 (An Evaluation of the Dietary Status for Developing Assistance Programs for Daily Lives of Elderly Individuals in Rural Korea)

  • 윤진숙;송민경;이혜진;이신영;조희금;최윤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3-173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etary risk factors in elderly individuals in rural Korea by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service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ir health. The sample included 1,000 free-living elderly individuals aged 65 and over in rural Korea. A three-stage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based on 2010 Korean census data was employed. Data on the dietary status and the need for assistance in meal management were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The dietary status was evaluated based on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NSI) checklist, and the outcomes for three groups classified base on their family type were examined. According to NSI scores, more than 70% of the subjects faced some nutritional risk. The activities most requiring assistance in meal management included preparing meals (18.3%) and purchasing food items (11.7%).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having meals at community senior centers at least once a week. The results indicate that those subjects from single-individual households were most likely to face some nutritional risk and require, assistance in purchasing food items and preparing meals. In addition, these subjects were least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ir health and dietary management. To improve the dietary status of elderly individuals in rural Korea, any service programs should facilitate their daily activities by focusing on improving their diet, particularly that of those from low-income, single-individual households.

정년제도와 사회보장 : 1980년 이후 OECD 회원국들의 노후 소득보장 정책의 변화 (Retirement Age and Social Security)

  • 나병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2권
    • /
    • pp.169-198
    • /
    • 2000
  •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early retirement in the OECD countries and discuss implication of that in the old age policy in Korea. The increase of the early retirement in the almost all OECD countries is a common fact. Especially the rate of early retirement rapidly increased in the 1980s, mostly reflecting the high rate of unemployment and states' policies to reduce it. However, it varies across countries: the unemployment compensation pathway in France, the mixture of social assistance and private insurance in England, VUT in Netherland, the privatization of the early retirement in the U. S., and partial retirement and labor market policy in Sweden. The early retirement in the advanced countries contributes to de-institutionalization and de-standardization in life course model. It resulted in the erosion of the ordinary conception that the retirement was the beginning of the old age. And the last phase of life course became blurred. With respect to the problem of the early retirement,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the OECD countries. Above all, the retirement age is 55 years in many companies and the public pension is not universalized in Korea. Accordingly the policy for income security of the old age in Korea should be connected with social security policy such as the gradual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and the expansion of the public pension and labor market policy such as job training for the old age, transformation of the seniority wage system etc.

  • PDF

중소기업의 스마트팩토리 도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정부지원기대와 과업기술적합도를 포함하여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Introduce Smart Factory in SMEs - Including Government Assistance Expectancy and Task Technology Fit -)

  • 김정래
    • 벤처혁신연구
    • /
    • 제3권2호
    • /
    • pp.41-76
    • /
    • 2020
  • 본 연구는 스마트팩토리 도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4차산업혁명의 핵심분야인 스마트팩토리 도입에 있어서 어떤 요인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이며, 아직까지 스마트팩토리 분야에서 기술 수용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학술적 실무적 의의가 있다고 믿는다. 정보기술의 수용요인 연구에 설명력이 검증된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UTAUT 이론의 4가지 독립변수인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촉진조건에 추가로 스마트팩토리의 특성상 중요한 요인으로 예상되는 정부지원기대(Government Assistance Expectancy)를 독립변수에 추가하였다. 또한 스마트팩토리 기술수용의 기술적인 요인을 확인하고자 과업기술적합도(Task Technology Fit)변수 추가하여 스마트팩토리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과업기술적합도의 선행변수인 과업특성(Task Characteristics)과 기술특성(Technology Characteristics)이 과업기술적합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도 진행하였다. 새로운 기술에 대한 신뢰(Trust)의 정도가 기술의 수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어 신뢰를 매개변수로 추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정보기술에 의한 혁신이 사용자에게 불가피하게 거부감을 야기할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혁신저항(Innovation Resistance)을 조절역할을 하는 연구변수에 추가하여 실증적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정부지원기대, 과업기술적합도는 스마트팩토리 도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영향력의 크기는 정부지원기대(β=.487) > 과업기술적합도(β=.218) > 성과기대(β=.205) > 사회적영향(β=.204) 순으로 나타났다. 과업특성과 기술특성은 모두 과업기술적합도에 정(+)의 영향이 확인되었으며, 과업특성(β=.559)이 기술특성(β=.328)보다 과업기술적합도에 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에 대한 매개 효과 검정에서 6개 독립변수 각각과 스마트팩토리 도입의도 간에 신뢰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역할은 확인되지 않았다. 혁신저항의 조절효과 검정을 통해, 혁신저항이 정부지원기대와 스마트팩토리 도입의도 간 정(+)의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혁신저항이 크면 클수록 정부지원기대가 스마트팩토리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혁신저항이 적은 경우보다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 소득이전과 사적 소득이전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Income Transfers and Private Income Transfers in Korea)

  • 손병돈
    • 사회복지연구
    • /
    • 제39호
    • /
    • pp.343-364
    • /
    • 2008
  • 본 연구는 패널데이타를 이용해서 공적 소득이전과 사적 소득이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그 함의를 찾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 2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사적 이전소득의 변화량에 대한 공적 이전소득의 변화가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발견을 하였다. 첫째, 공적 소득이전이 사적 소득이전을 구축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 이전소득이 증가할수록 사적 이전소득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적 소득이전의 사적 소득이전 구축효과는 사회보험에서는 불분명하지만, 공공부조에서는 분명하게 나타났다. 둘째, 우리나라 사적 소득이전의 동기는 이타적 동기가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적 이전소득 수혜자의 소득이 감소할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이혼이나 사별로 혼자가 된 경우, 입원경험이 있는 등 욕구가 클수록 사적 이전소득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공적 복지의 보다 적극적인 확충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특히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부조의 확충이 더욱 절실한 것으로 보인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노동공급 효과 (The Effec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on labor supply)

  • 이상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2호
    • /
    • pp.71-91
    • /
    • 2004
  • 2000년 10월부터 시행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기존에 근로무능력 빈곤가구에게만 제한되어 지급되던 현금지원을 근로능력 빈곤가구에게로 확대하였다. 근로능력가구에 대한 현금지원은 전국민에게 기초보장을 제공한다는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저소득층들의 노동공급을 감소시킬 것이라는 우려를 야기하여 왔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1-5차 자료를 이용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영향을 받을 프로그램집단으로 근로능력가구의 저학력자를 설정하고 이중차이모델(difference-in-difference model)을 이용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노동공급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취업과 근로시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에서는 근로능력자에 대한 현금지원이 노동공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제시한다기보다는, 오히려 제도내용이나 실시기간의 제한성 또는 조건부수급제도의 영향 등을 반영한 것으로 보여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