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Income Transfers and Private Income Transfers in Korea

공적 소득이전과 사적 소득이전의 관계

  • 손병돈 (평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08.11.04
  • Accepted : 2008.12.11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Using data from Korea Welfare Panal Study(KWP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income transfers and private income transfers in Korea. This research is analyzed by the procedure of OLS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per shows that public income transfers crowded out the private income transfers. Specially public assistance crowed out the private income transfers. The amount of public income transfers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private income transfers. The amount of public assistance income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private income transfers. But social insurance transfers do not have influence on the private income transfer. Second, the private income transfers in Korea are altruistically motivated.

본 연구는 패널데이타를 이용해서 공적 소득이전과 사적 소득이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그 함의를 찾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 2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사적 이전소득의 변화량에 대한 공적 이전소득의 변화가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발견을 하였다. 첫째, 공적 소득이전이 사적 소득이전을 구축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 이전소득이 증가할수록 사적 이전소득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적 소득이전의 사적 소득이전 구축효과는 사회보험에서는 불분명하지만, 공공부조에서는 분명하게 나타났다. 둘째, 우리나라 사적 소득이전의 동기는 이타적 동기가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적 이전소득 수혜자의 소득이 감소할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이혼이나 사별로 혼자가 된 경우, 입원경험이 있는 등 욕구가 클수록 사적 이전소득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공적 복지의 보다 적극적인 확충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특히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부조의 확충이 더욱 절실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