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 person households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1초

연관규칙을 이용한 가구별 소비 트렌드의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Consumption Trend using Association Rule)

  • 최정아;정용규
    • 서비스연구
    • /
    • 제5권1호
    • /
    • pp.105-111
    • /
    • 2015
  • 올해 초 통계청에서 발표한 '한국 사회동향 2012'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을 기준으로 한국의 1인 가구가 전체 가구 중 23.9%로 4인 가구의 22.5%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1년까지 가장 많던 2인 가구를 제쳤다. 금융업계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1인 가구는 25.3%로 총 453만 9,000가구 이상으로 추정된다. 즉 우리나라의 네 가구 중 한 가구는 1인 가구인 셈이다. 더 나아가 통계청의 '2010~2035년 장래 가구 추계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35년 1인 가구가 세 가구 중 한 가구로 해당되는 상황인 34.3%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1인 가구의 증가원인은 혼인율 감소, 이혼율 증가, 저 출산, 고령층의 증가 등으로 간추려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도 1인 가구는 증가 추세이다. 2011년 기준으로 1인 가구는 2억 4200만 가구로 그 비율이 13%에 달했고 중국과 미국의 1인 가구 비율은 30%에 달하며 스웨덴, 노르웨이, 필리핀, 덴마크는 전체 가구의 약 40% 수준까지 이른다. 현재까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지만, 매우 빠른 속도로 상승하는 것으로 볼 때 이를 뛰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정부에서는 1인 가구 급증을 주시하며 대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이런 내용을 통계수치로 나타낸 자료를 통해 1인 가구의 특징을 알아낼 수 있다. 또한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1인 가구와 소비트렌드 사이간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미래의 소득수준에 따른 1인 가구의 증가율을 예측할 수 있다.

TV 및 인터넷 음식 관련 프로그램의 특성이 고정시청자의 식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1인 가구를 중심으로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V and Internet Food-related Programs on Dietary Self-efficacy of Regular Viewers - focused on single household)

  • 김선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307-313
    • /
    • 2019
  • 2019년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가구 형태가 된 1인 가구 시대의 도래와, 인터넷, 모바일이 미디어를 주도함에 따라, 국민의 라이프 스타일도 급격히 바뀌고 있다. 1인 가구 세대의 최대 화두는 식생활로, TV 미디어 및 인터넷 먹방, 쿡방 등 이에 관련된 프로그램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본 연구는 TV 및 인터넷 음식 관련 프로그램의 콘텐츠 특성이 고정시청자의 식생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더 나아가 청년층, 장년층, 노년층 1인 가구 집단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음식 관련 프로그램의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전 연령대에 거쳐 고정 시청자의 식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청년층은 오락성과 유용성이 식이 자기효능감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4년) 자료에 근거한 가구원수별 구성원의 영양상태 및 대사증후군 유병율 평가 (Evaluation of the Nutrition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of the Memb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 이진영;최수경;서정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2-244
    • /
    • 2019
  • 본 연구는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4년) 자료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성인의 가구원수별 가구원의 영양섭취 및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의 분포와 대사증후군 유병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식생활 및 영양섭취상태, 대사증후군 발생은 가구원수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지표인 EQ-5D 지수는 1인 가구에서 0.879, 2인 가구 0.927, 3인 이상 가구에서는 0.934로 1인 가구에서 가장 낮은 삶의 질 지수를 나타냈고 2인 및 3인 이상 가구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INQ 값이 1 미만인 영양소는 조섬유, 칼슘, 칼륨, 리보플라빈, 비타민 C로 권장량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원수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1인 가구에서 단백질, 조섬유, 칼슘, 인, 칼륨,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비타민 C의 INQ는 2인 및 3인 이상 가구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나 1인 가구의 영양섭취가 질적으로 좋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사의 전반적인 질을 나타내는 MAR은 1인 가구 0.78, 2인 가구 0.83, 3인 이상 가구 0.82로 나타나 1인 가구가 2인 가구, 3인 이상 가구와 비교할 때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01). 1인 가구 대상자의 37.2%가 대사증후군을 나타내었고 2인 가구 35.1%, 3인 이상 가구에서는 25.8%로서 가구원수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본 연구에서는 전국 규모의 대표성을 지닌 국가조사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인 가구의 식생활 및 영양섭취상태를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최근 1인 가구가 크게 증가되고 가구원수가 다양화되는 시점에서 가구원수별 구성원의 영양섭취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한 것은 가정의 형태와 환경 변화에 적합한 맞춤형 식생활 교육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는 의의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1인 가구 연령별 외식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dine-out expenditure among single-person household by age)

  • 주의영;경민숙;함선옥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47-159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the dine out behavior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using the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in 2019.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pondents had different dine out behaviors according to their age. 20s~30s and 40s~50s single-person household tend to dine out more frequently than 60s~70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st important selection criteria when choosing a restaurant (p=0.063), but 39.7% of 20s~30s 43.1% of 40s~50s, and the 38.3% of 60s~70s respondents selected 'the taste of food', and the young people (20s~30s) who chose 'cleanliness of the restaurant' were second with 39 people (15.5%), but in the opinion of 40s~50s and 60s~70s, 'price level' was the second most important selection criteria. Besides, frequency of buying food at home was the influencing factor for 20s~30s' monthly expenditure of dinning out, while frequency of buying food at home, monthly expenditure of buying delivery or take-out food were the factors for 40s~50s. Lastly, gender, occupation as well as monthly expenditure of buying delivery or take-out food were the factors for 60s~70s' monthly expenditure of dinning out. As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the expenditures single-person household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staurant bus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necessary for food service industry to generate different business strategy to single-person household by age.

건축주 입장을 고려한 LED조명 프로그램의 한계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Limit Analysis of the LED Lighting Subsidy Program Considering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Building Clients)

  • 황성욱;박중성;채우규;이학주;송일근;김정훈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18-25
    • /
    • 2013
  • Various DSM (Demand Side Management)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and carried out to use the limited energy resources of human-beings reasonably. LED lighting is one of essential DSM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is ongoing vigorously. Recently, one-person households have been increased and the electricity consumption pattern is different with conventional households because residents live as a single. On the other hand, owners of the one-person households tend to not prefer to install high efficient appliances due to the cost increasement. Therefore, the existing DSM subsidy programs should be revaluated so that the owners decide to install high efficient appliances.

1인 독거가구 중 우울증 유병과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Single-Person Households)

  • 김재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611-619
    • /
    • 2022
  • 본 연구는 2017년,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인 독거가구 중 우울증 및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변수는 인구사회, 경제학적 변수, 건강상태 및 건강행동 변수를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우울증 유병은 활동제한 여부(OR: 4.753, p-value: <.0001), 현재흡연 여부(OR: 2.013, p-value: 0.044)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고, 자살생각은 가구소득(OR: 3.526, p-value: 0.043), 주관적 건강상태(OR: 2.945, p-value: 0.007), 활동제한(OR: 2.263, p-value: 0.003), 현재흡연 여부(OR: 2.000, p-value: 0.023)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이처럼 1인 독거가구는 그 자체로 심리적 불안감을 가질 수 밖에 없고, 사회경제적, 신체적으로 위기에 처하여 정신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밖에 없으므로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중재를 통해 비관적 결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해야할 것이다.

농업종사가구와 비농업종사가구에 대한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 양주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3-56
    • /
    • 201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life satisfaction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using 1~4th KReIS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data, to investigate whether to affect o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mployment industry of householder. and to examine various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The summary of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life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economic value. Also it is examined that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have a significant effect for life satisfaction. Especially, it i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mental health is larger than one of physical health for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t is investigated that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higher than two or more person household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in life satisfaction. It was proved that life satisfaction of agricultural households is higher than non-agricultural ones.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life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industrial characteristic and mental health rather than another determinants.

중장년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연구: 다인 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Deprivations on Depression of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 - A Focus on the Comparison between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

  • 고아라;정규형;신보경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9호
    • /
    • pp.55-7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1인 가구 중장년과 다인 가구 중장년의 사회경제적 박탈과 우울의 변화궤적을 살펴보고,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 관계를 검증한다. 분석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자료 제7차(2012년)부터 제11차(2016년) 중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총 4,212건을 활용하였다. 두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박탈과 우울이 다인 가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박탈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인 가구는 유의하지 않았다. 나아가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모두 사회경제적 박탈이 높을수록 우울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중장년의 사회경제적 박탈과 우울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중장년 1인 가구에 대한 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소가구 증가에 대응한 공동주택지 지구단위계획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strict Unit Plan in Apartment Housing with the Increase of 1~2 person Households)

  • 윤정중;최상희
    • 지역연구
    • /
    • 제34권3호
    • /
    • pp.29-42
    • /
    • 2018
  • 우리 사회의 인구성장이 둔화되고 가구형태도 1~2인의 소가구가 53.3%로 과반을 넘고 있어 향후 이를 주거단지에서 어떻게 계획으로 수용하여 적절한 주거공간을 만들어갈지가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가구화 증가 추이에 대해 기존의 지구단위계획이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소가구화에 대응한 향후 지구단위계획의 요소별 개선방안과 적용성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6개 주거단지를 대상으로 소가구와 관련한 지구단위계획의 지침과 내용을 분석하고 문헌고찰 및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1인 가구 증가에 대응하여 다양한 주거유형의 지구단위계획상 반영이 필요한 사항들을 제안하고, 소형공동주택, 쉐어하우스, 독신자전용주거 등 1인 가구 주택특성에 맞는 가구 획지, 건축물 배치, 건축물 형태 및 외관 등과 관련한 계획요소도 제시하였다. 또한 무인택배시설, 게스트하우스 등 부대복리시설의 도입, 유치원 등 수요가 낮은 부대복리시설의 재검토 등 1인 가구 거주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계획요소와 방안들은 향후 공동주택의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과 운영기준 등을 작성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베트남 가구 규모에 따른 가정간편식 소비행동 (Home Meal Replacement (HMR) Consumption Behavior of Vietnamese Consumers by Household Size)

  • 최승균;홍완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31-541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volving a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Vietnam's customized HMR program and formulating a marketing strategy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s of HMR consumption behavior by household siz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The number of single households using HMR as a general meal at home was higher than multiple-person households. Moreover, there was a high preference for 'ready to heat' and 'ready to eat' products, which are relatively easy to cook and prepare. It was observed that single households preferred department stores, hypermarkets, and convenience stores for purchasing HMR when compared to multiple households, and that single households preferred to acquire information through TV/radio and internet advertisements. Among the HMR selection attributes, single households valued taste, quantity, price, preparation process, preparation time, and ease of storage as important. Reflecting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developing HMR in Vietna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duct that can nutritionally replace the general meal with a focus on convenience.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products that possess various attributes such as convenience, health, and eco-friendl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