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eath blight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6초

2004년 주요 농작물 병해 발생개황 (Review of Disease Incidence of Major Crops of the South Korea in 2004)

  • 명인식;박경석;홍성기;박진우;심홍식;이영기;이상엽;이승돈;이수헌;최홍수;최효원;허성기;신동범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89-92
    • /
    • 2005
  • 2004년은 전년에 비해 기온이 높았고 강수량이 적었다. 벼 못자리 병, 잎도열병 발생 필지,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과 고추 역병, 탄저병 및 바이러스병, 시설참외의 급성 시들음 증상, 흰가루병 등이 2003년에 비해 증가하였다. 특히 벼잎집무늬마름병과 흰잎마름병은 전년에 비해 2배 이상 병 발생이 증가하였다. 벼 이삭도열병이 전년 $3\%$에서 2004년 $0.7\%$로 감소된 것은 출수기 동안 평균기온은 높았으나 강수일수, 강수량 및 습도가 낮아 잎도열병균이 이삭으로의 전파를 억제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고추역병은 전년에 비해 크게 감소되었다. 그리고 발표하지 않은 다른 병에 의한 피해는 다소 감소 혹은 유사한 수준이었다.

Rhizoctonia solani가 생산하는 Trehal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Trehalase from Rhizoctonia solani)

  • 오태광;서영배;고영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3-60
    • /
    • 1992
  • 벼 문고병원균인 Rhizoctonia solani의 균사체에서 비조절 trehalase을 초음파처리, gel filtration 및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를 통해서 분리하여 단일 단백질임을 확인하였다. 분리된 trehalase는 분자량이 54000, pI가 5.1인 단백질로 최대 역가가 pH 5.4, $45^{\circ}C$에서 나타났다. Trehalase 에 대한 Km치는 3.11mM, Vmax는 105.$\mu mol min^{-1}\times mg^{-1}$로 나타났고 벼 문고병 농용항생제인 validamycin은 trehalase에 대해서 non-competitive inhibiton을 하였다.

  • PDF

Preventive Effect of Ebelactone B, an Esterase Inhibitor on Rice Sheath Blight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 Chun, Hyo-Kon;Ko, Hack-Ryong;Moon, Hang-Sick;Kho, Yung-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5권6호
    • /
    • pp.335-340
    • /
    • 1995
  • Two types of Rhizoctonia solani esterases induced by cutin hydrolysate were partially purified by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gel filtration. The esterase I with hydrolyzing activity toward both ${\rho}-ni-trophenyl$ butyrate and ${\rho}-nitrophenyl$ palmitate and the esterase II with hydrolyzing activity toward only ${\rho}-ni-trophenyl$ butyrate were inhibited by ebelactone B, an esterase inhibitor produced by actinomycetes with $IC_{50}$ values of 0.01 and $0.09{\;}\mu\textrm{g}/l$, respectively. Spraying on rice seedling with ebelactone B at a concentration of $30{\;}\mu\textrm{g}/ml$ completely suppressed infection by R. solani. Ebelactone B could not protect the wounded rice seedling and did not show any inhibitory effect on the mycelial growth at a concentration of 1 mg/m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belactone B, an esterase inhibitor protects rice plants from infection with R. solani by inhibition of penetration, not through fungitoxic or fungicidal effect.

  • PDF

In Vivo Antifungal Activities of 57 Plant Extracts Against Six Plant Pathogenic Fungi

  • Choi, Gyung-Ja;Jang, Kyoung-Soo;Kim, Jin-Seok;Lee, Seon-Woo;Cho, Jun-Young;Cho, Kwang-Yun;Kim, Jin-Cheo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184-191
    • /
    • 2004
  • Methanol extracts of fresh materials of 57 plants were screened for in vivo antifungal activity against Magna-porthe grisea, Corticium sasaki, Botrytis cinerea, Phyto-phthora infestans, Puccinia recondita, and Blumeria graminis f. sp. hordei. Among them, seven plant extracts showed disease-control efficacy of more than 90% against at least one of six plant diseases. None of the plant extracts was highly active against tomato gray mold. The methanol extracts of Chloranthus japonicus (roots) (CjR) and Paulownia coreana (stems) (PcS) displayed the highest antifungal activity; the CjR extract controlled the development of rice blast, rice sheath blight, and wheat leaf rust more than 90%, and tomato gray mold and tomato late blight more than 80%. The PcS extract displayed control values of more than 90 % against rice blast, wheat leaf rust, and barley powdery mildew and more than 80% against tomato gray mold. The extract of PcS also had a curative activity against rice sheath blight and that of CjR had a little curative activity against rice blast. On the other hand, the extract of Rumex acetocella roots reduced specifically the development of barley powdery mildew. Further studies on the characterization of antifungal substances in antifungal plant extracts are underway and their disease-control efficacy should be examined under greenhouse and field conditions.

Protox 저해 제초제 내성 형질전환 벼(CPPO06)에서의 병 발생 조사 (Disease Assessment in Transgenic Rice (CPPO06) Resistant to the Protox-inhibiting Herbicide)

  • 김가혜;이호택;박세정;김아형;권현욱;김주형;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18권1호
    • /
    • pp.24-28
    • /
    • 2012
  • Protox 유전자를 형질전환하여 protox 저해 제초제에 대한 내성이 증가한 벼를 모품종인 동진벼와 다른 벼 품종인 일품벼, 추청벼, 온누리벼와 같이 충북 청원, 경기 수원 그리고 전남 광주에 있는 형질전환 작물 격리포장에서 재배하면서 포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식물병을 조사하여 식물병원균에 대한 감수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충북 청원 포장에서는 벼 도열병, 깨씨무늬병, 잎집무늬마름병, Fusarium 마름증상 등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수원 포장에서는 깨씨무늬병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고, 다른 포장에서 볼 수 없었던 이삭누룩병의 발생이 CCPO6벼와 온누리벼에서 0.28%와 0.37%의 발병수율을 보였다. 광주 포장에서는 깨씨무늬병의 발생이 다른 병보다 심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모든 포장에서 Fusarium에 의한 마름증상을 제외하고 벼 품종간에 있어서 발생량에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Fusarium에 의한 마름증상은 다른 벼 품종보다도 제초제를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은 CCPO6벼에서 높은 발병주율을 보였다.

점액세균 KR025의 분리 동정 및 생리활성물질의 탐색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yxobacteria KR025 and Searching of Their Bioactive Compounds)

  • 김병섭;안종웅;조광연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45-349
    • /
    • 1998
  • Fifty isolates of myxobacteria were isolated from soils from several areas in Korea during 1996-1997 and bioactivity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of these isolates was examined. A myxobacterial isolate KR025 showed good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Pyricularia oryzae, Cryphonectria parasitica, Colletotrichum lagenarium, and C. gloeosporioides but did not against Rhizoctonia solani, Fusarium oxysporum and Pythium ultimum. The bacterium was identified as Myxococcus fulvus based on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tifungal substances were extracted from culture broth and bacterial cell of Myxococcus fulvus KR025 by ethyl acetate. Antifungal substance of Myxothiazole (100 ${\mu}{\textrm}{m}$/ml) produced by Myxococcus fulvus KR 025 controlled 97.0% rice blast, tomato late blight, wheat leaf rust, and barley powdery mildew and showed 45.0 and 82.6% disease control of rice sheath blight and cucumber gray model, respectively.

  • PDF

Control Efficacy of Phloretin Isolated from Apple Fruits Against Several Plant Diseases

  • Shim, Sang-Hee;Jo, Su-Jung;Kim, Jin-Cheol;Choi, Gyung-J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3호
    • /
    • pp.280-285
    • /
    • 2010
  • In the course of a searching natural antifungal compounds from plant sources, we found that the methanol extract ($3,000\;{\mu}g/ml$) of Malus domestica fruits had potential of control against rice blast (Magnaporthe grisea) and tomato late blight (Phytophthora infestans). Under bioassay-guided purification, we isolated phloretin, a phenolic compound, with in vivo antifungal activity against M. grisea. By 1-day protective application of phloretin ($500\;{\mu}g/ml$), the compound strongly inhibited the disease development of M. grisea and P. infestans on rice and tomato seedlings, respectively. And red pepper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coccodes also was moderately suppressed. However, rice sheath blight (Rhizoctonia solani AG1), and barley powdery mildew (Blumeria graminis f. sp. hordei) were hardly controlled. In addition, the compound showed in vitro antifungal activity against some plant pathogenic fungi including Phytophthora capsici, Alternaria panax, Sclerotinia sclerotiorum, R. solani AG4, and M. grisea.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antifungal activity of phloretin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한국(韓國)에서의 벼 잎집무늬마름병 발생변동(發生變動)에 관(關)한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Ecological Studies on the Transition of Sheath Blight of Rice in Korea)

  • 유승헌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283-316
    • /
    • 1977
  • 한국(韓國)에 있어서 벼 잎집무늬마름병(病)의 발생변동(發生變動), 병원균(病原菌)의 배양적(培養的) 특성(特性)과 병원성(病原性), 발병환경(發病環境), 재배법(栽培法)과 발병관계(發病關係), 품종(品種)의 저항성(抵抗性) 등(等)에 관(關)하여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韓國)에 있어서 벼 잎집무늬마름병(病)의 발생면적(發生面積)은 다비재배(多肥栽培), 조기조식재배(早期早植栽培) 및 통일계품종(統一系品種)의 확대보급등(擴大普及等)으로 인(因)하여 매년(每年) 증가(增加)되었고 특(特)히 1971년(年)부터 전국적(全國的)으로 급격(急激)히 발생면적(發生面積)이 증가(增加)되어서 1976년(年)에는 전체수도재배면적(全體水稻栽培面積)의 약 65.2%에서 본병(本病)이 발생(發生)하였다. 2. 우리나라에 분포(分布)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균(病菌)의 배양적(培養的) 성질(性質) 및 병원성(病原性)에는 많은 변이(變異)가 있었으며 병원균(病原菌)의 생육최적(生育最適) 온도(溫度)도 $25^{\circ}C$에서 $30^{\circ}C$사이로 균주간(菌株間)에 차이(差異)가 있었다. 한편 병원균(病原菌)의 배양적(培養的) 성질(性質)과 병원성(病原性)에는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없었다. 3. 잎집무늬마름병균(病菌)의 PDA배지상(培地上)에서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은 채집지(採集地)의 기온(氣溫)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었다. 즉 채집지(採集地)의 기온(氣溫)이 높은 지역(地域)의 균주(菌株)들은 기온(氣溫)이 낮은 지역(地域)의 균주(菌株)들에 비(比)해 $35^{\circ}C$ PDA배지(培地)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양호(良好)하였고 반대로 $12^{\circ}C$ PDA배지상(培地上)에서는 기온(氣溫)이 낮은 지역(地域)에서 채집(採集)한 균주(菌株)들이 기온(氣溫)이 높은 지역(地域)에서 채집(採集)한 균주(菌株)들 보다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양호(良好)하였다. 4. 잎집무늬마름병균(病菌)을 접종(接種)한 수도엽(水稻葉)으로부터 얻은 Pectin polygalacturonase 및 Cellulase의 역가(力價)는 접종(接種)3일(日)째에 최대(最大)였고 Pectin methylestrase의 역가(力價)는 접종(接種) 4일(日)째에 최대(最大)였으며 병원성(病原性)이 강(强)한 균주(菌株)에서는 Pectin methylestrase의 활성(活性)이 높은 경향(傾向)이었고 병원성(病原性)이 약한 균주(菌株)에서는 Pectin methylestrase의 활성(活性)이 낮은 경향(傾向)이었으나 다른 효소(酵素)들은 병원성(病原性)과 관계(關係)가 없었다. 5. 배지(培地)에 형성(形成)된 균핵(菌核)을 건조처리(乾燥處理)하였을 경우(境遇)의 저온저항성(低溫抵抗性)은 매우 강(强)하여 $-20^{\circ}C$에서도 발아력(發芽力)을 상실(喪失)치 않았으나 습윤처리(濕潤處理) 하였을 경우(境遇)에는 저항성(抵抗性)이 매우 약(弱)하여 $-5^{\circ}C$에서도 발아력(發芽力)을 상실(喪失)하였다. 포장(圃場)에서 월동(越冬)한 균핵(菌核)의 발아율(發芽率)도 답토양(沓土壤)의 건습(乾濕)에 따라 18%~70%의 차이(差異)를 나타내며 담수상태(湛水狀態)에서 월동(越冬)한 균핵(菌核)은 건조(乾燥)한 토양(土壤)에서 월동(越冬)한 균핵(菌核)보다 발아율(發芽率)이 낮았다. 6. 잡초(雜草)에 대(對)한 기생성(寄生性)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벗풀(Sagittaria trifolia L.), 물달개비(Monochoria vaginalis Presl), 여뀌(Polygonum hydropiper L.). 피(Echinochloa crusgalli P. Beauv), 한련초(Eclipta prostrata L.), 강아지풀(Septaria viridis P. Beauv.), 좀바랭이(Digitaria sangvinalis Scapoli) 등(等)에서 잎집무늬마름병반(病斑)이 형성(形成)되었다. 7. 질소배비구(窒素倍肥區)에서는 잎집무늬마름병(病)의 피해(被害)가 증가(增加)하였고 가리배비구(加里倍肥區)에서는 감소(減少)하였으나 규산시용구(硅酸施用區)에서는 피해감소(被害減少)의 효과(效果)가 없었다. 규산시용구(硅酸施用區)에서는 도체내(稻體內)의 질소함량(窒素含量)과 전분함량(澱粉含量)이 다같이 감소(減少)하였다. 8. 생육전기(生育前期)의 이병경율(罹病莖率)은 밀식구(密植區)가 높았으나 생육후기(生育後期)에는 소식구(疎植區)의 1주당(株當) 분얼수(分蘖數)가 많아 이병경율(罹病莖率) 및 피해도(被害度)가 높아졌으며 주당(株當) 1본식(本植)한 구(區)에서는 피해(被害)가 적었다. 9. 잎집무늬마름병(病)에 대(對)한 수도(水稻) 품종(品種)의 피해도차이(被害度差異)는 출수일수(出穗日數)와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었다. 즉 출수일수(出穗日數)와 피해도(被害度)와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6월(月)13일(日) 이앙(移秧)한 구(區)에서는 r=-0.707이었고 6월(月) 25일(日) 이앙(移秧)한 구(區)에서는 r=-0.496으로 비교적 높은 상관(相關)을 나타내어 출수(出穗)가 빠른 것이 피해(被害)가 크고 낮은 것이 피해(被害)가 적은 경향(傾向)이었다. 또한 본병(本病)은 분얼(分蘖)이 많은 품종(品種)일수록 피해(被害)가 심(甚)하였다. 10. 생육전기(生育前期)의 이병경율(罹病莖率)은 출수후(出穗後)의 피해도(被害度)와 상관(相關)이 없었으나 생육후기(生育後期)의 이병경율(罹病莖率)은 피해도(被害度)와 상관(相關)이 높았다.

  • PDF

벼잎집무늬마름병균 및 고추역병균에 대한 N-Phenyl-O-phenyl-thionocarbamate 유도체들의 살균활성에 관한 비교분자 유사성 분석 (Comparative Molecular Similar Indice Analysis on Fungicidal Activity of N-phenyl-O-phenylthionocarbamate Derivatives against Rice Sheath Blight and Phytophthora Blight)

  • 성민규;유재원;장석찬;성낙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187-191
    • /
    • 2007
  • 벼잎집무늬마름병균(RS: Rhizoctonia solani) 및 고추역병균 (PC: Phytophtora capsici)에 대한 N-phenyl-O-phenylthionocarbamate 유도체 중, N-phenyl 치환체(X)들의 살균활성에 관한 비교분자 유사성 지수분석(CoMSIA) 모델을 유도하고 기질분자와 ${\beta}-tubulin$ 사이의 수소결합성을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CoMSIA 모델들의 기여도로부터 두 균주에 대한 살균활성은 공통적으로 수소결합 받게장이 가장 크게 기여하였다. 두 균주 사이의 살균활성에 있어서 선택성은 N-phenyl 고리상 para- 및 meta-치환기로서, RS에서는 수소결합 주게가 아닌 작용기를 그리고 PC에서는 수소결합 받게가 아닌 작용기들의 역할에 기인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RS에서는 meta-위치에 입체적으로 작고 음하전을 선호하는 치환기(X)가 그리고 PC에서는 para-위치에 수소결합 받게가 도입된다면 두 균주에 대한 살균 활성이 증가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