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ear effect

검색결과 4,319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 of Aging and Freezing Conditions on Meat Quality and Storage Stability of 1++ Grade Hanwoo Steer Beef: Implications for Shelf Life

  • Cho, Soohyun;Kang, Sun Moon;Seong, Pilnam;Kang, Geunho;Kim, Youngchoon;Kim, Jinhyung;Chang, Sunsik;Park, Beomyo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40-448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shelf life of $1^{++}$ grade Hanwoo beef by evaluating the changes in meat quality and storage stability under distribution conditions similar to those during export to Hong Kong and China. Four muscles of the loin, striploin, tenderloin, and top round muscles were obtained from 10 animals of $1^{++}$ grade Hanwoo steers. The distribution conditions were 0, 7, or 14 d of aging at $2^{\circ}C$ and continuous storage at $-18^{\circ}C$ for 0, 3, 6, or 9 mon. The lightness (CIE $L^*$) values decreased as the duration of freezer storage increased (p<0.05). The water-holding capacity of 4 muscles increased as the aging time increased when they were frozen for 3 mon (p<0.05). The cooking loss values of the four muscl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duration of freezer storage increased (p<0.05). The Warner-Bratzler shear force val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oin, striploin, and top round muscles as the aging time increased (p<0.05). The changes in volatile basic nitrogen (16.67-18.49 mg%) and thiobarbituric reactive substance values (0.75-0.82 mg MA/kg mea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the meat was frozen for 9 mon after 14 d of aging. On the basis of these observations, the shelf life of $1^{++}$ grade Hanwoo beef during distribution should be limited to less than 9 mon of freezer storage at $-18^{\circ}C$ after 14 d of aging at $2^{\circ}C$.

유한 원통셸의 큰 끝단 종진동을 발생시키는 감쇠파에 대한 분석 연구 (Study on Analysis of Evanescent Waves Generating the Strong End Axial Vibration of a Finite Cylindrical Shell)

  • 길현권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361-367
    • /
    • 2011
  • 진동하는 원통셸에서는 파동의 크기를 유지하며 전파하는 진행파 (굽힘파, 종파, 전단파)와 전파함에 따라서 파동의 크기가 지수 함수적으로 급격히 감쇠하며 소멸되어가는 감쇠파가 발생한다. 감쇠파의 영향은 일반적으로 가진 지점 혹은 구조물의 끝단 지점 부근에 국한되어 작게 발생되게 된다. 그러나 원통셸의 경우 상당히 큰 감쇠파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쇠파로 인하여 종진동이 끝단 부근에서 상당히 크게 발생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저자의 유한 원통셸의 종진동 측정 실험 논문에서 관찰되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큰 감쇠파에 의한 원통셸의 끝단 종진동 현상을 해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통셸의 진동해석을 위하여서는 파동 전파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해석 결과를 실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진동하는 원통셸의 끝단에서 모드 변환 (굽힘파와 감쇠파간의 변환)에 의하여 상당히 큰 감쇠파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감쇠파의 영향은 원통셸 끝단의 큰 종진동을 발생시키며, 원통셸 전체 길이의 1/3 지점까지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였다.

산란 노계육이 첨가된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특성 비교 (The Study on the Quality of Sausage Manufactured with Different Mixture Ratios of Spent Laying Hen and Pork Meat)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71-277
    • /
    • 2014
  • 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에 산란 노계육의 첨가량(0, 10, 20, 30%)을 다르게 하여 제조한 소시지를 냉장온도($4{\pm}1^{\circ}C$)에서 7일간 저장한 후, 소시지의 일반성분, pH, TBARS, WHC, 전단력, 가열 감량, 총 미생물수, 육색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산란 노계육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산란 노계육을 10% 첨가한 T1, 산란 노계육을 20% 첨가한 T2, 산란 노계육을 30% 첨가한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7일간 저장한 후 실험하였다. 일반성분 중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은 산란 노계육이 첨가된 소시지에서 유의성이 없으며, 조지방 함량은 산란 노계육의 첨가구에서 특히 T3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소시지의 이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pH, TBARS 및 총 미생물수는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며, 보수성은 산란 노계육의 첨가구에서 증가하였고, 산란 노계육의 첨가량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가열 감량은 대조구와 T1, T2 보다 T3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산란 노계육이 첨가된 유화형 소시지의 육색은 명도와 황색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적색도는 산란 노계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훈련된 관능검사요원에 의한 관능검사 결과, 다즙성과 기호성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나 경도는 산란 노계육의 첨가량이 많은 T3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면 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 산란 노계육의 첨가는 소시지의 품질 변화 없이 첨가 가능성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보-기둥 접합부를 고려한 5층 철골골조구조물의 비탄성 정적해석 (Pushover Analysis of a Five-Story Steel Framed Structure Considering Beam-to-Column Connection)

  • 강석봉;이재환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29-13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횡력을 받는 구조물 거동에 대한 보-기둥 접합부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5층 철골구조물을 KBC2005 건축구조설계기준에 맞게 구조설계 하였으며 접합부를 완전 강접합부로 이상화한 경우와 반강접 접합부로 설계하였다. 철골 보 및 기둥의 모멘트-곡률관계는 화이버모델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반강접 접합부의 모멘트-회전각 관계는 3-매개변수 파워모델을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구조물 거동에 대한 고차모드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KBC2005 등가정적 횡하중과 고차모드를 고려한 횡하중을 재하하였다. 5층 철골구조물은 개별 골조와 연결골조의 2차원 구조물로 이상화하였다. 횡하중을 받는 2차원 구조물에 대한 푸쉬오버 구조해석을 실시하여 지붕충변위-밑면전단력, 초과강도계수, 연성계수, 반응수정계수와 같은 설계계수, 접합부 요구연성도 그리고 소성힌지 분포 등을 확인하였다. 예제 구조물은 기준의 반응수정계수 보다 큰 값을 보였고 고차모드의 반응수정계수에 대한 영향은 거의 없었고 KBC2005 횡하중은 안전한 편에 속했다. TSD 접합부는 예제 구조물에서 경제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eat Quality and Volatile Flavor Traits of Duroc, Berkshire and Yorksire Breeds

  • Dashmaa, Dashdorj;Cho, Byung-Wook;Odkhuu, Ganbat;Park, Kyoung-Mi;Do, Kyoung-Tag;Lee, Ki-Hwan;Seo, Kang-Seok;Choi, Jae-Gwan;Lee, Moon-Jun;Cho, In-Kyung;Ryu, Kyeong-Seon;Jeong, Da-Woon;Hwang, In-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07-816
    • /
    • 2011
  •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difference in objective and subjective meat quality properties among the pure-breed boars of Duroc, Berkshire and Yorkshire. Ten longissimus lumborum (LD) muscles were collected from each breed after 24 h slaughtering. The breed typ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intramuscular fat content, moisture (p<0.01), pH, sarcoplasmic protein solubility and color (p<0.05), whereas cooking loss and Warner Blazer shear force (WBsf) did not differ among the breeds. The Yorkshire breed showed significant (p<0.05) lower sarcoplasmic protein solubility, pH and CIE $a^*$ value when compared with other breeds. The sensory panels identified Duroc as having greater overall acceptability and higher rating values than other breeds. The oleic acid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Berkshire (29.85 %) than in the Duroc (40.19 %) and Yorkshire breeds (38.18 %, p<0.05). The Yorkshire breed showed the most desirable ratio of polyunsaturated and saturated fatty acids (0.31) than the Berkshire (0.16) and Duroc breeds (0.15, p<0.05). 40 volatile compounds have been identified and quantified, while aldehydes were the most abundant among flavor substances. Aldehyd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oleic acid content (p<0.05). Current data indicated that each breed had their own merits and deficiencies in terms of meat qualityThe Yorkshire breed showed a greater number of weak points. Furthermore, this study indicated that individual fat-driven flavor components were greatly influenced by fatty acid composition.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did not show any negative effects on meat flavor if cooked meats were consumed soon after cooking.

적소두단백질(Red Bean Protein)과 Transglutaminase를 첨가한 돈육 근원섬유 단백질의 물성 증진 효과 (Effect of Red Bean Protein and Microbial Transglutaminase on Gelling Properties of Myofibrillar Protein)

  • 장호식;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82-790
    • /
    • 2011
  • 본 연구는 TGase 첨가에 따른 근원섬유 단백질과 비육류 단백질인 적소두단백질 또는 대두단백질간의 상호작용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1에서는 비육류 단백질 함량에 따른 물성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실험 2에서는 TGase 반응시간에 따른 최적 조건을 평가하였다. 가열수율은 비육류 단백질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적소두단백질 1%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가열수율을 나타내었다(p<0.05). 반면에 겔 강도 및 점성도는 근원섬유 단백질 단독 처리구와 비육류 단백질을 첨가한 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또한 전기영동 결과는 가열 전 TGase 첨가 후 4시간 반응시켰을 때는 모든 처리구에서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실험1), TGase 첨가 후 10시간 반응시킨 모든 처리구에서는 biopolymer 밴드가 나타났다(실험2). 또한 TGase 반응시간에 따른 겔 강도는 10시간째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하지만 10시간의 반응시간은 배양시간이 너무 길어 산업적으로 이용하기 부적합 하기 때문에 TGase함량을 0.5%로 증가시켜 효소와 단백질간의 최적 반응시간을 평가하고 비육류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물성을 증진시키는 연구가 앞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원부재료의 투입 순서가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Order of Material Addi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fication Sausage)

  • 진상근;김일석;남영욱;조주현;허선진;강석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7-162
    • /
    • 2007
  • Silent cutter작업 시 T1(지방을 얼음 다음 투입), T2(지방을 얼음보다 앞에 투입), T3(모든 원부재료 일시 투입) 처리구로 하여 모든 처리구들은 4.5분간 커팅하여 최종 유화물의 온도를 15 이내로 제조하여 원부재료의 투입 순서에 따른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T1이 가장 높고 T3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전단가는 T1이 다른 두 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경도와 검성은 T1이 다른 두 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맛은 유의적으로 T2>T1>T3 순이었으며, 육색은 T1과 T2가 T3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유리수분 및 보수력, 기계 측정 육색 전 항목, 조직감의 표면경도, 응집성, 탄력성 및 씹힘성, 관능평가의 향, 다즙성, 연도 및 전체적 기호도는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종합적으로 보면 유화물 제조 시 얼음 다음에 지방을 투입한 T1이 다른 두 구에 비하여 육의 품질 특성상 가장 양호한 결과였다.

단입자파쇄특성에 기초한 화강풍화토의 압축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ression Characteristics of Decomposed Granite Soil Based on Single Particle Crushing Property)

  • 함태규;조용성;김유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8호
    • /
    • pp.103-111
    • /
    • 2004
  • 화강풍화토는 특유의 파쇄성과 압축성이 높은 이유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산정식에 의해 지지력 등을 산출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화강풍화토의 공학적 특성을 보다 상세히 밝히기 위해서는 우선 미시적인 입자자체의 특성을 충분히 검토한 후, 입자 집합체의 거시적인 거동특성과의 관련성을 우선 규명하여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지반공학 분야에서는 하나하나의 입자에 작용하는 응력상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없었고, 또한 일련의 법칙성을 발견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단일의 입자특성은 다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특유한 입자파쇄성과 고압축성을 갖는 화강풍화토의 정확하고 자세한 역학특성을 밝히기 위해서는 미시적인 입자의 특성을 조사해 지반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반내에서의 수분의 존재는 입자파쇄의 활성화를 촉진시키고, 그 결과 압축성의 증가와 전단강도의 저하를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사실상 실제로, 화강풍화토를 재료로 한 성토지반에서 지반침하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는 경우는 주로 화강풍화토 지반의 함수비 변화에 따른 압축특성의 민감한 변화의 결과로 추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미경 관찰을 통한 미시적인 입자형상 분석과 단입자 강도시험을 통한 입자강도특성을 조사하여 화강풍화토의 압축특성과의 관련성 및 입자의 파쇄성과 화강풍화토의 압축특성에 미치는 수분의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원형토조 시험을 통한 반복하중에 따른 부직포의 침하특성 (Characteristics of Settlement for Non-woven Geotextile through Cyclic Loading Model Test)

  • 최찬용;이진욱;김헌기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47-54
    • /
    • 2009
  • 국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자갈 도상궤도는 지속적인 열차반복하중에 의해 마모, 노반으로 관입, 노반표면의 불균질 등에 의해 도상자갈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설계 당초 주요 기능이었던 배수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에 강우가 노반에 체류되고 물로 인해 간극수압이 증가하여 전단강도가 저하되어 점진적으로 노반이 연약화된다. 이 논문에서는 원형모형실험을 이용하여 부직포 3종류에 대하여 0일, 3일, 7일 체수조건으로 하여 반복하중을 재하시킴으로써 부직포의 침하특성과 지지력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0일 체수조건에서 토목섬유 보강과 무보강에 따라 최종 변위는 약 1% 차이가 있으며, 지반의 포화도가 증가함에 따라 침하량이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보강재의 중량이 클수록 소성침하량이 작게 평가되었으며, 임계 함수비를 초과한 경우에는 부직포의 인장강도와 중량에 따라 침하량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한 무보강과 비교해 볼 때 부직포에 의한 토압 저감효과는 있으나, 부직포의 중량에 의한 토압저감 효과는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Effects of using silica fume and lime in the treatment of kaolin soft clay

  • Alrubaye, Ali Jamal;Hasan, Muzamir;Fattah, Mohammed Y.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4권3호
    • /
    • pp.247-255
    • /
    • 2018
  • Soil stabilization can make the soils becoming more stable by using an admixture to the soil. Lime stabilization enhances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soil, which includes reducing soil plasticity, increasing optimum moisture content, decreasing maximum dry density and improving soil compaction. Silica fume is utilized as a pozzolanic material in the application of soil stabilization. Silica fume was once considered non-environmental friendly. In this paper, the materials required are kaolin grade S300, lime and silica fume. The focus of the study is on the determin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oils tested and the consolidation of kaolin mixed with 6% silica fume and different percentages (3%, 5%, 7% and 9%) of lime. Consolidation test is carried out on the kaolin and the mixtures of soil-lime-silica fum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me stabilization with silica fume additives on the consolidation of the mixture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all soil samples are indicated as soils with medium plasticity. For mixtures with 0% to 9% of lime with 6% SF, the decrease in the maximum dry density is about 15.9% and the increase in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is about 23.5%. Decreases in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of the mixtures occur if compared to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of kaolin soft clay itself reduce the compression index (Cc) more than L-SF soil mix due to pozzolanic reaction between lime and silica fume and the optimum percent of lime-silica fume was found to be (5%+6%) mix. The average coefficient of volume compressibility decreases with increasing the stabilizer content due to pozzolanic reaction happening within the soil which results in changes in the soil matrix. Lime content +6% silica fume mix can reduce the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from at 3%L+6%SF, thereafter there is an increase from 9%L+6%SF mix. The optimal percentage of lime silica fume combination is attained at 5.0% lime and 6.0% silica fume in order to improve the shear strength of kaolin soft clay. Microstructural development took place in the stabilized soil due to increase in lime content of tertiary clay stabilized with 7% lime and 4% silica fume toge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