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ven emotion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2초

기준얼굴을 이용한 얼굴표정 분석 및 합성 (Analysis and Synthesis of Facial Expression using Base Faces)

  • 박문호;고희동;변혜란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7권8호
    • /
    • pp.827-83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중요한 감정표현 수단인 얼굴표정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기준얼굴과 그의 혼합 비율의 관점에서 얼굴표정을 분석한다. 기준얼굴은 인간의 대표적인 얼굴표정인 놀람, 두려움, 분노, 혐오, 행복, 슬픔, 그리고 무표정으로 설정하였다. 얼굴 모델의 생성을 위해 일반 얼굴 모델이 얼굴영상으로 정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기준얼굴의 혼합 비율을 구하기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과 Simulated Annealing 방법을 사용하였고 탐색된 얼굴표정 정보를 이용한 얼굴표정 생성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의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 PDF

과학관 전시물 연계 동화 활용 스토리텔링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습정서에 변화를 가져온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Change the Science Academic Emotion of Elementary Students in Storytelling Classes Using Fairy Tales Connected to Exhibits in Science Museum)

  • 최소영;신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3호
    • /
    • pp.300-317
    • /
    • 2019
  • 본 연구는 과학관 전시물 연계 동화 활용 스토리텔링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긍정경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동화를 과학관 전시물과 연관시켜 학교 밖에서도 개인이 과학을 탐구할 수 있도록 탐방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초등교과서에 언급되어지는 동화 4종을 G 과학관 전시물과 연계시켜 활동지 4종류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활동지는 현직 초등교사 7명에게 검토를 의뢰하여 내용 검증을 거쳤다. 개발한 활동지를 통한 수업은 1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매번 1시간 30분씩 연속 4회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긍정경험 검사를 실시하여 본 활동이 과학긍정경험의 하위 영역 중 과학학습정서에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켰음을 확인하였다. 과학학습정서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 참여 학생들과 참여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동화를 전시물과 함께 활용하면 과학적 호기심을 유발시켜 과학적 사고를 하는데 도움을 주고, 과학적 흥미를 유발시켜 놀이장소로 인식하는 과학관 전시물체험을 통해 학습 부담감을 감소시켜 과학에 대한 과학학습정서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서지능(情緖知能)에 관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A literature study on Emotional Intelligence)

  • 김현정;김장현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10권
    • /
    • pp.86-97
    • /
    • 2008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정서지능의 한의학적 개념의 정립하고, 치료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도구: 우리는 정서지능과 관련된 문헌을 분석 및 조사하였다. 결과: 한의학에서 정서지능은 오행, 오지, 칠정의 이론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오지와 칠정은 오행상승과 오행상극의 이론에 따라 정서조절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정서조절 영역 IV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오지, 울증, 칠정조절은 정서의 안정과 정서조절에 적용시킬 수 있다. 결론: 이 연구는 한의학이 서양의학보다 정서지능에 관하여 더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한의학은 정신과 육체를 불가분의 관계로 보기 때문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정서지능의 한의학적 개념의 정립과 문헌적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율곡철학(栗谷哲學)에 있어서 '마음'의 문제 (The Issue of Mind in Youlgok's Philosophy)

  • 이상익
    • 한국철학논집
    • /
    • 제25호
    • /
    • pp.167-196
    • /
    • 2009
  • 율곡의 마음에 대한 논의는 '심성정의일로설(心性情意一路說)'과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로 대변된다. 심성정의일로설(心性情意一路說)은 두 의미를 지닌다. 첫째, 마음과 본성 감정 의지는 각각 별도의 존재가 아니라, 하나의 마음에 속하는 여러 차원의 양상들이라는 것이다. 둘째, '인심과 도심,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사단과 칠정' 등을 각각 이원적으로 대립시키지 않고 일원적으로 통합시켰다는 것이다.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은 이(理)의 규범성과 기(氣)의 능동성이라는 관점에서 마음과 본성 감정의 관계를 설명한 것이다. 율곡은 기(氣)(마음)는 '발(發)하는 작용의 주체'이고, 이(理)(성(性))는 '마음의 작용을 통해 발현되는 내용'이라 하였다. 이렇게 마음의 작용을 통해 본성이 발한 결과를 감정이라 한다. 율곡의 '이승(理乘)'은 '기(氣)를 주재한다(기(氣)의 표준이 된다)'는 의미와 함께 '기(氣)에 의해 실현된다'는 의미를 지닌다. 요컨대 마음은 본성을 실현하는 주체이지만, 또한 마음의 작용은 본성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이(理)(본성)의 규범성과 기(氣)(마음)의 능동성을 동시에 주목하는 것이 율곡철학의 특징이었다.

중·고등학생 자녀를 양육하는 결혼이주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enting stress factors and the copying strategie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rais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 황해영;이미정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415-42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자녀양육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 발생요인과 이에 따른 대처방안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에서 중·고등학생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7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의 스트레스 발생요인에는 개인요인, 가정요인, 사회적요인 그리고 문화적응요인이 있었다. 둘째, 스트레스 발생요인별 대처방안을 살펴보면 그들은 개인요인의 자기효능감에서 문제중심적인 대처를 하지만, 부모역할관에 있어서는 정서중심적인 대처를 하고 있었다. 또한 가정요인인 자녀의 활동성과 사회성은 자녀들의 학교생활적응과 엄마의 양육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며 상황에 따라 각각 다른 대처방안을 나타냈다. 사회적 요인에 있어서 그들은 시댁의 사적 지지체계를 적극 활용하는 등의 문제중심적 대처방안을 사용하였고, 친정을 통해 정서적 위로를 받는 등 정서중심적 대처방안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문화적응요인인 주변의 시선이나 편견에 대해서는 회피, 무시, 망각 등을 드러냈고 이러한 요인에 대해서는 정서중심적인 대처를 하고 있었다.

한복 유형별로 느껴지는 감성의 측정과 비교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Emotions Felt by Each Type of Hanbok)

  • 박은정;정상훈;서종환
    • 감성과학
    • /
    • 제25권4호
    • /
    • pp.33-44
    • /
    • 2022
  • 최근 들어 한옥마을과 같은 전통문화를 즐길 수 있는 장소에서 한복 대여를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한복을 체험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한복을 착용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인증샷을 찍어 SNS에 공유함으로써 한복 체험이 선풍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한옥마을과 같은 특정한 장소에서 할 수 있는 한복 체험을 제외하고는 일상생활에서 한복의 대중화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한복을 일상복으로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한복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한복에서 느껴지는 감성적인 만족까지 반영하여 한복을 디자인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한 한복에서 느끼는 소비자의 감성을 표현하기 위한 감성 어휘 28개를 활용하여 한복 유형별로 느껴지는 소비자의 감성을 7점 리커드 척도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한복 유형별로 '느껴진다'에 해당하는 5점 이상의 점수를 기록한 감성 어휘와 감성 카테고리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복 유형별로 성별에 따른 감성 카테고리의 평균차이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호감 카테고리에서만 남녀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복 유형을 전통 한복(배냇저고리, 색동저고리, 성인 전통 한복, 전통 혼례복)과 현대 한복(아동 생활 한복, 여자 생활 한복, 남자 생활 한복)으로 구분하여 감성 카테고리의 평균차이를 검증한 결과 6개의 감성 카테고리인 '유쾌감, 심미감, 조화감, 신선감, 호감, 안정감'에서 전통한복과 현대한복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한복 유형별로 느껴지는 감성어휘에 대한 분석 결과는 소비자에게 보다 감성적인 만족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기업체 조직의 협력역량 요인에 대한 팀장과 팀원들의 인식을 통한 타당화 연구 (Validation Through Perceptions between Leader and Team Members on Collaborative Competencies in Corporate Organization)

  • 이유나;하유란;이상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284-295
    • /
    • 201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alidate the components of practical collaborative competencies by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corporate personnel on practical collaborative competencies. The study reviewed the theories of collaborative intelligence, collective intelligence, cooperative learning, and learning commun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the study derived seven categories of participative motivation for group activities, ability to share thinking and consciousness, motivation to share experiences, ability to control emotion, ability to promote interaction, creativity, and collaborative performance as the core competencies. To validate the elements, survey was conducted for 186 corporate personne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sonnels perceived the following elements as important collaborative competencies: participative motivation for group activities, motivation to form participatory atmosphere, ability to manage conflict effectively, ability to form relationships, ability to form positive team atmosphere.

편모가정 자녀의 적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ildren's Adjustment in the Single-Mother)

  • 김영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3-127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ildren's adjustment according to the their problems and problem solving pattern in single mother. The data of this study were abtained from 186 children of single-mother. For analysis of data,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hildren's problem are composed seven factors that are house life, emotion, school life, peer-relationships, academic achievement, finicial, future life. The family structural variables to have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s problem are age, sex, father's absence reason, SES, mother postering attitude. 2. The mean value of children's problem solving pattern such as seeking religion support and passive appraisal was highest. The children's problem solving pattern were affected by mother's fostering attitude. 3. The inadequacy among children in single-mother was related to mother fostering attitude after father's loss, children's problem and children's problem solving pattern that emphasizes the interdependence of each element in this children's adjustment network.

  • PDF

Development of Ontology for Thai Country Songs

  • Thunyaluk, Jaitiang;Malee, Kabmala;Wirapong, Chansanam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1권1호
    • /
    • pp.79-88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ontology for Thai country songs by using the seven steps of an ontology development process. Hozo-Ontology Editor software and Ontology Application Management Framework were tools used in this study. Nine classes of ontology were identified: song, singer, emotion, author, language used, language type, song style, original, and content, and it was found that the song class had a relationship with all of the other classes. The developed ontology was evaluated by seeking opinions from experts in the field of Thai country songs, who agreed that the ontology was highly effective. Additionally, the evaluation employed the knowledge retrieval concept, and the precision, recall, and overall effectiveness were measured, with a precision of 92.59%, a recall of 86.21%, and an overall effectiveness (F-measure) of 89.28%.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veloped ontology is highly effective in describing the scope of knowledge of Thai country so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