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same powder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음식용어(韓國飮食用語)의 문헌적(文獻的) 연구(硏究) (A Bibliographical Study of Korean-Food Terms)

  • 이성우;김경진;이효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0-175
    • /
    • 1983
  • The paper is to classify the terms of foods, wines, relish(komyungs), seasonings and cooking processes in Korean cooking 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 The dishes which were made from cereals are Bab(boiled cooked rice), Juk(gruel), Miuem(Thin rice gruel), Noodle, Sujebee, Mandu(Pyun su, dumpling), D'ockuk, Pumbok, Yaksik, D'ock(Korean rice cake) etc. The terms of side dishes are Tang (Kuk, Kaeng), Chigae(Jochi Kamjeang, Jijimee, Tugari, Wakjeoji), Jim(Jeung), Sun, Jungol(Abok jaeng ban, sinsulro, punggujigol), Bockum, Kui, Jorim, Cho, Jun(Jijim, Jeenya, Puchigae, Bindae-dock, Nureumi) Jeok(San-jeok, Nuremjeok, Jijimnureumjeok), Hoe (Saenghoe, Sukhoe, Kanghoe, Sujeonghoe, A chae), Mareum chan (Po, Jaban), Changachi (Jangkwa, Sukchae (namul)-Japchae, Kyujachae), Muchim, Sam, Tuigim, Pyunyuk, sundae, suran, Jeockal (Sikhae), Jockpyun, Mal-i, Jihi, Kee, Pojeok, Gimchi etc. The kinds of Jabgwas are Kangieong(Sanja), Yumilgwa, Suksilgwa, Dasik, Jeonggwa, Yeocgangjeong, Gwapyun etc. The kinds of beverages are Hwachaes and Teas. The terms of the wines in Korean cooking bok are 173 kinds. There are 21 kinds of Relish(komyung). There are 12 kinds of Jang, and the terms of the seasonings are as follows: mustard, cinammon, pep per, powder of peppers, powder of sesame, honey, garlic, ginger, sugar, salt, vinegar, syrup, yunjeup, jochung, sesamol-oil, chojeckuk, sesame, greet-onion, powder of black pepper, oil etc. There are 547 kinds of prepared cooking terms, 36 kinds of cutting terms and 34 kinds of boiling term in food making terms.

  • PDF

Calcium oxide(CaO)를 활용한 깻잎 중 존재하는 자연균총 및 주요 식중독균의 제어 (Bacteriocidal Effect of Calcium oxide (CaO, Scallop-shell Powder) on Natural Microflora and Pathogenic Bacteria in Sesame Leaf)

  • 연지혜;이동하;하상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44-84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질유래 살균소독제인 CaO가 깻잎 중 존재하는 자연균총, E. coli, L. monocytogenes, S. typhimurium에 미치는 저해효과를 알아보았고 chlorine, ethanol, hydrogen peroxide 등과 같은 주요 chemical sanitizer와 비교하였다. CaO를 농도별(0.05-0.2%), 시간별(2-10분) 처리했을 때 총호기성균은 $0.55-1.49\;log_{10}CFU/g$, 대장균은 $0.85-2.56\;log_{10}CFU/g$, E. coli는 $0.16-1.08\;log_{10}CFU/g$, L. monocytogenes는 $0.30-1.14\;log_{10}CFU/g$, S. typhimurium은 $0.19-1.07\;log_{10}CFU/g$의 감소를 보였으며, 특히 0.2%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00 ppm의 chlorine, 20% 이내의 ethanol, 1%의 hydrogen peroxide만큼 우수한 살균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 따라 CaO는 기존의 화학적 살균제를 대체할 수 있는 좋은 천연물질유래 살균소독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약과(藥果) 문화(文化)의 변천에 관(關)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Development of Yackwa)

  • 조신호;이효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3-43
    • /
    • 1987
  • 밀가루에 기름과 꿀을 섞어서 반죽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만들어 기름에 지지고 다시 꿀을 묻힌 약과는 한국인의 대표적인 기호식품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1600년대부터 1943년까지 간행된 모든 한글 조리서 중에서 약과가 기록된 조리서 13권과 1945년 이후의 조리서 14권을 중심으로 약과의 명칭과 모양의 변천, 반죽 재료와 반죽 방법의 변천, 기름에 지지는 방법, 즙청 재료와 방법, 고명 등을 시대적으로 비교 고찰하므로 약과 문화의 시대적 변천 과정을 연구하였다. 1. 약과의 명칭은 약과 과줄 조과라 칭하였으며, 모양은 새 짐승 원형 네모진 모양이 있었다. 크기는 지름이 약 3.5cm, 두께 $0.5{\sim}1.5cm$ 이었다. 2. 약과 반죽의 주재로는 밀가루 꿀 기름 술이었다. 밀가루 이외에 콩가루 찹쌀가루도 사용하였으며 꿀대신 조청 설탕물 설탕시럽 엿녹인 것을 넣기도 하였다. 기름은 주로 참기름을 넣었으나 사라다유 면실유도 넣었다. 술은 청주 소주 약주 막걸리 양주를 넣었으며 물은 끓인물을 넣었다. 그밖에 통깨 생강 후추가루 깨소금 생강즙 잣가루 소금 등을 넣었다. 3. 약과 반죽은 "반죽을 매우 찧어 도마에 놓고 망치로 사방을 모아 두드리라"는 방법과 "국수 반죽 모양으로 너무 치다르지 말고 가볍게 반죽해야 한다"는 두 가지 방법이 있었다. 1940년 이후의 대부분 조리서에서 "가볍게 살살 섞으라"고 하였다. 4. 기름에 지지는 방법은 "기름을 넉넉히 붓고 $120{\sim}160^{\circ}C$의 기름에서 속이 잘 익고 진한 갈색이 나도록 $5{\sim}15$분 가량 지져내라" 하였다. 이때 "기름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모양이 부서지고 너무 높으면 단단해진다"고 하였다. 5. 즙청의 재료로 1940년 이전에는 꿀을 사용하였으나 그 후부터는 굴 조청 엿녹인 것 시럽 등을 사용하였다. 그밖에 향취를 위해 강즙 건강 유자즙을 넣었다. 6. 즙청 방법은 튀겨낸 약과의 기름을 빼고 뜨거울 때 넣어 오래 담가 두어야 연하고 맛이 있다고 하였다. 7. 고명은 잣가루 계피가루 설탕이었다.

  • PDF

흑임자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okies Supplemented with Black Sesame Powder)

  • 임정아;이준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1058-1063
    • /
    • 2015
  • 흑임자 분말의 대체량을 0~8%로 달리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물리 화학적 품질, 항산화 활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쿠키 반죽의 pH는 흑임자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고(P<0.05), 수분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P<0.05), 밀도는 유의적인 차이 없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쿠키의 퍼짐성과 손실률은 흑임자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경도, 명도($L^*$), 적색도($a^*$) 및 황색도($b^*$)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 및 ABTS에 대한 라디칼 소거능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증가하였고(P<0.05), 두 지표 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색에 대한 기호도는 흑임자 분말의 거친 구조가 주로 반영되어 흑임자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부드러운 정도에 대한 기호도는 반대의 경향이 나타났다(P<0.05). 흑임자 분말의 건강 기능성 효과와 관능적 품질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쿠키 제조 시 밀가루에 대한 흑임자 분말의 최적 대체량은 4%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기능성 멸치 스낵의 제조조건 (Processing Conditions of Functional Anchovy Snack)

  • 강동수;최옥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49-354
    • /
    • 2003
  • 멸치의 고부가가치화 및 소비확대를 위하여 멸치의 적당한 수분함량, 조미액의 제조 및 팝핑시간 등을 검토하여 멸치 스낵 제품의 제조를 검토하였다. 설탕 7%, 소금 2%, 간장 5%, 생강 2%, 후추 1%, 마늘 5%, 양파 5%, 함초 추출물 2%, 타우린 0.5%에 물을 넣고 조미액-1을 만들었고, 튀김가루 15%, 물엿 15∼20%, 콩가루 10%, 깨가루 2%에 물을 넣고 조미액-2를 만들었다. 수분이 10%일 때 팽화한 시료는 너무 강한 경도를 나타내어 수분 30%일 때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미액-2에서 튀김가루 10%∼15%의 시료가 적당한 점착량을 보였고, 작업하기에도 편리하였다. 팽화를 위한 적당한 시간은 20초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멸치 스낵의 최적가공조건은 팽화전 시료의 수분함량은 30% 전후가 적당하며, 조미액-2에서 튀김가루는 15%, 물엿의 농도는 10∼20%, 적당한 팽화시간은 20초로 나타났다.

비정제유 첨가가 참치유 보강 에멀젼의 산화방지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ng Unrefined Oil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 Tuna Oil-Enriched Emulsion)

  • 안소진;최은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9-49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dding unrefined oil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 tuna oil-enriched emulsion by determin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inhibi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LDL) oxidation in vitro. The emulsion consisted of tocopherol-stripped canola (18.3 g) and tuna (9.1 g) oil, one of the unrefined oils (4.6 g), such as extra virgin olive, mustard, perilla, or sesame oil, 0.5% acetic acid (64 g), and egg yolk powder (4 g). The control emulsion contained only canola (21.4 g) and tuna oil (10.6 g), as oil sources,with the same composition of the remaining ingredients. The emulsion with added unrefined oil, particularly mustard oil, showed highe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emulsion.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of the emulsion with added unrefined oil were higher at 1,000 ppm than at 500 ppm thus, the effect was concentration-dependent. Adding sesame or perilla oil to the tuna oil-enriched emulsion resulted in higher inhibition of LDL oxidationwhereas adding olive oil increased LDL oxidation. The results clearly showed that adding roasted mustard, sesame, or perilla oil improv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 tuna oil-enriched emulsion by increasing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inhibiting LDL oxidation.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adding unrefined oils produces a healthier fish oil-enriched salad dressing recipe.

한국 음식과 일본 음식의 조미료 사용법 비교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ays of Seasonings)

  • 서혜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3-238
    • /
    • 2004
  • In this paper,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ays of seasonings are studied.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houyu and Miso which are Japanese equivalents of soy sauce and bean paste of Korean foods are used in variety of different seasonings with some other ingredients while Korean counter parts are used only to add salty tastes. (2) Shouyu and Miso lose their flavors after considerable time of heating, while Korean soy sauce and bean pastes increase their tastes after heating. (3) Mirin adds sweety taste and glaze and Sake makes food soft or hard according to the moment of being added during cooking. (4) In Korean foods soy sauce, bean paste and red pepper paste are on the basis of tastes, Dashi is used in almost every Japanese food. (5) Seasoned vegetables of Korean food are prepared only with spices of green onion, garlic and sesame oil while seasoned fishes or vegetables are mixed with Shoyu or salt and vinegar in Japanese food. (6) In making Zorim, Korean traditional sauces are added from the beginning of heating. But in making Nimono, sugar, salt, vinegar, Shoyu and artificial taste are added in order during heating. (7) In grilling, main food for grilling in Korea is meat, which is prepared with a variety of spices such as soy sauce or/and red pepper pastes, garlic, green onion, sesame oil, sesame powder, pepper and sugar while mainly fishes are grilled with salt, occasionally with Shoyu or Miso in Japanese food. (8) Pan frying fishes are taken with soy sauce with vinegar in Korea but Tepura are eaten with Tentsuyu in Japan.

키토산을 첨가한 양념 황석어젓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seasoned whangseoke-jeot with chitosan)

  • 김숙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4-4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asoned Hwangseoke-jeot(a kind of salted and fermented fish) with chitosan having less fishy smell and salty taste. In order to decrease the fishy smell and increase the palatable taste effectively, four types of seasoning were developed, in which minced ginger, garlic and onion were included. In order to improve the color and flavor of seasoned Hwangseoke-jeot, high-quality powdered hot red pepper was also added in all the seasonings. Seasoned Hwangseoke-jeot type 1 had the oil and roasted powder of sesame, which are known to decrease fishy smell and palatable taste, and was the basis of other seasoned Hwangseoke-jeot. Type 2 had the oil and roasted powder of perilla, which also were known to decrease fishy smell and to increase palatable taste effectively. Type 3 had roasted soybean powder and laver to increase savory and palatable taste. It was developed especially for old and young people who like savory taste. Type 4, containing citron syrup, was for the young and children. All the developed seasoned Hwangseoke-jeot samples had better red color and other sensory properies than the control (S-company's seasoned Hwangseoke-jeot), as tested by colorimetry and sensory evaluation. More than 1% (w/v) of chitosan gave an astringent taste to seasoning, so it is recommended not to exceed 1% (w/v) in the seasoning. The developed functional seasonings of jeot would be applicable to other kinds of jeot.

견육요리(犬肉料理)의 연구(硏究) (I) -문헌고찰(文獻考察)- (A Study on Korean Dog Meat Cooking (I) -Bibliographical Study-)

  • 김태홍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47-356
    • /
    • 1989
  • 1670년부터 1943년까지의 문헌 16권을 통하여 견육(犬肉)요리의 종류, 조리법, 양념, 부재료를 조사한 것은 다음과 같다. 1) 견육(犬肉)요리는 14종류로 분류되며, 연대순으로 보면 ${\ulcorner}$찌는법${\lrcorner}$(증(蒸)) 20회(40%), ${\ulcorner}$견육순대${\lrcorner}$ 1회(2%), ${\ulcorner}$견육꽂이구이느르미${\lrcorner}$ 1회(2%), ${\ulcorner}$견육느르미${\lrcorner}$ 1회(2%), ${\ulcorner}$국(갱(羹),탕(湯))${\lrcorner}$ 12회(24%), ${\ulcorner}$익힌 고기 다시 찌는 법${\lrcorner}$ 4회(8%), ${\ulcorner}$구장${\lrcorner}$(구장(狗醬)) 4회(8%), ${\ulcorner}$구적${\lrcorner}$(구적(狗炙)), ${\ulcorner}$구장과 젖${\lrcorner}$(구장(狗醬)과 해), ${\ulcorner}$구포${\lrcorner}$(구포(狗脯)), ${\ulcorner}$구족초${\lrcorner}$(구족초(狗足炒)),${\ulcorner}$구이진초${\lrcorner}$(구이진초(狗彛唇炒)), ${\ulcorner}$백숙${\lrcorner}$등은 각각 1회(2%)이며 50회 기록되었다. 빈도면에서는 ${\ulcorner}$찌는 법${\lrcorner}$ ${\ulcorner}$${\lrcorner}$ ${\ulcorner}$익힌 고기 다시 찌는 법${\lrcorner}$ ${\ulcorner}$구장${\lrcorner}$의 순으로 ${\ulcorner}$찌는 법${\lrcorner}$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2) 견육요리의 전처리에 있어서 씻는 과정은 내장만 씻고 고기는 씻지 않는 것(52.6%)이 전부를 씻는 것(26.3%)보다 많았고, 내장을 많이(42.1%) 이용하였으며 익히는 과정에서는 거의 쪄낸 후(84.2%) 나름대로의 요리를 만들었고 삶어서 이용한 것은(9.0%) 거의 없었다. 3) 전체 견육요리에 이용된 양념은 22가지이며 그 중 많이 이용된 것은 유장(42.1%), 참깨가루(39.4%), 후추가루(36.8%), 식초(36.8%), 간장(28.9%), 고춧가루(26.3%), 참기름(23.6%), 만초가루(23.6%), 천초가루(23.6%) 등이고, 부재료는 5가지이며 그 중 많이 이용된 것은 파(파의 흰부분과 합함 34.2%)와 미나리(21.0%)이다.

  • PDF

한국인 남자대학생의 주요 상용식품의 불용성 및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 분석 (Analysis of Insoluble(IDF) and Soluble Dietary Fiber(SDF) Content of Koran Male College Students)

  • 황선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3호
    • /
    • pp.278-285
    • /
    • 1996
  • Contents of insoluble(IDF), soluble dietary fiber (SDF), and total dietary fiber(TDF) of 30 foods which are consumed commonly by 80 Koeran male college students were determined by Prosky and colleagues' enzymatic-gravimentric method. Foods with highest intake frequency were rice, Kimch'i, and red pepper powder. TDF, IDF, and SDF contents of rice were 0.96, 0.59 and 0.37g/100g wet wt., respectively and tose of Kimch'i were 3.07, 2.19 and 0.88g/100g wet wt., respectively. Red pepper powder contained high amount of TDF(39.37) and IDF (33.13g/100g wet wt.). The TDF content of the 30 foods ranged from 0.70 to 39.37g/100g wet wt. Red pepper (39.37), dried laver(31.36), and dried sea mustard (37.77g/100g wet wt.) contained high amounts of TDF. The IDF content of the 30 foods ranged from 0.13 to 33.13g/100g wet wt. Red pepper powder (33.13), dried laver(15.55) and sesame(15.43g/100g wet wt.) contained high amounts of IDF. SDF of the 30 foods ranged from 0.01 to 25.66g/100g wet wt. Dried sea mustard(25.66), dried laver(15.81), coffee powder (13.17), and garlic(8.72g/100g wet wt.) were good sources of SDF. % ratio of SDF to TDF of the 30 foods was lower than 50% except soybean curd(94.27%), coffee powder (88.93%), garlic(86.17%), dried sea mustard(67.94%), and dried laver(50.41%). It is recommended to increase intake of seaweeds in order to supply TDF adn SDF proper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