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ce area of public transportation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8초

GIS를 이용한 시내버스와 도시철도 공급서비스 수준 측면의 대중교통 사각지대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Blind Spot Analysis for Public Transportation by Level of Service (LOS) in Public Transportation Supply Service)

  • 장경욱;김황배;김영석;오재학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3D호
    • /
    • pp.383-389
    • /
    • 2011
  • 본 연구는 교통기본법(안)에 명시된 대중교통 사각지대 설정과 평가를 위한 3가지 평가척도를 제시하였다. 평가척도는 행정동 단위의 대중교통 노선 및 운행실태에 대한 기초 DB를 적용하여 대중교통 서비스권역, 대중교통 배차간격, 1일 총 운행시간을 각각 A-F(6등급)으로 구분하였다. 대중교통 사각지대 평가척도는 정부 및 지자체에서 대중교통 서비스 낙후지역의 최저 대중교통 공급 및 연계노선 계획, 최저배차계획, 1일 대중교통 총 운행시간 계획에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알뜰교통카드를 활용한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 분석 기준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ing Minimum Level of Service for Public Transportation Using Altteul Transport Card Data)

  • 심상우;정준영;오관교;김민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04-115
    • /
    • 2023
  • 수요대응 교통수단 및 자율주행 대중교통서비스 등 이용자 중심의 대중교통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수요대응 교통수단의 도입 기준인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은 이용자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의 부재로 운영자 중심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파악할 수 있는 알뜰교통카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법정동보다 작은 GRID 분석을 통해 동일 법정동 내에서도 대중교통 접근성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이용자 중심의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식을 적용한 결과 현재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에서는 확보 지역인 많은 법정동이 비확보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알뜰교통카드 데이터의 접근 시간은 이동 시간과 대기 시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확보 여부 판단 기준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연계버스 서비스권역 결정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an Optimal Feeder-Bus Service Area)

  • 이성모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99-211
    • /
    • 1995
  • 본 연구는 대중교통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어 대중교통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지하철과 버스를 중심으로 연계버스 서비스 권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계권역설정은 지하철과 버스의 상호보완적 체계를 이루어 도시체계의 비용손실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는 지하철을 중심으로 첨두시 향도심성 대중교통이용자들이 버스로 직접 도심통행시와 인접지하철역까지 버스를 이용하여 환승으로 도심통행시의 편익을 감안한 모형과 그 해법을 제시하였으며, 권역구획은 범용 GIS Package의 IDRISI를 이용하였다.

  • PDF

지방자치단체의 대중교통 소외지역 수요응답형 교통수단(DRT) 제도 도입에 따른 모형 및 기여도 분석 (Analysis of Models and Contributions of Demand Responsive Transit(DRT) for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Weak Areas)

  • 지민경;김응철
    • 도시과학
    • /
    • 제7권2호
    • /
    • pp.1-9
    • /
    • 2018
  • In this study, Analysis of DRT model and contribustion based on the case of local governments adopting the Demand Responsive Transit(DRT) in order to provide transportation in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weak area. Based on the case of Yeoju Area, the contribution of the DRT was analyzed. The DRT model was established as a fixed and call type model with taxi and bus transpor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happy taxi service in Yeoju Area in 2016, the contribution of DR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happy taxi performance of Yeoju city, it was introduced to 27 villages, and operated 4,188 times. And 9,111 people used it and Yeoju Area supported about 53 million Won. The contribution of local governments was analyzed in terms of local government, users, and social aspects. On local government aspects, we analyzed the budget cuts and complaints resolution. On the user aspects, we analyzed waiting time reduction, walking time reduction, travel time reduction, comfort, punctuality, and stability. On social aspects, we analyzed taxi and regional economy activation, and convenience of mobility.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실시간 수요대응 자율주행 대중교통서비스 도입 방안 연구 (A Study on Introducing Autonomous Public Transportation On-demand Service in Real Time Using Delphi Method)

  • 정준영;심상우;김민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83-196
    • /
    • 2022
  • 국내의 경우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 분석을 통해 대중교통 접근성을 평가하고 있으나 이는 운영자 측면의 평가로 이용자 측면의 대중교통 접근성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알뜰교통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 법정동보다 법정리의 접근시간 및 거리가 크며, 대중교통 접근성이 낮은 유형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 접근 시간에 비해 유형 1은 95%, 유형 2는 64%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대중교통 접근성 문제 해결을 위해 델파이 조사를 통한 실시간 수요대응 자율주행 대중교통차량의 효율적인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 기능은 환승연계 및 D2D, 서비스는 예약 및 정보제공서비스, 노선 운영 방식은 준동적 및 동적 운영, 접근거리는 300m, 노선 운행 거리는 10km, 정시성은 5분 이내와 같이 9개 항목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이 일치하였다.

운수통신 서비스산업의 마크업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Empirical Analysis of the Industrial Markup Determinants in the Transportation & Telecommunication Service Sector)

  • 주연화;강주훈
    • 국제지역연구
    • /
    • 제20권1호
    • /
    • pp.167-181
    • /
    • 2016
  • 한국경제에 있어서 운수통신 서비스 산업은 공공운수 등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동시에 공존하고 있다. 공공부문은 일반적으로 가격규제의 대상이 되며 적정수준의 정상이윤이 보장된다. 본 논문은 생산요소가격으로 구성된 마크업방정식을 설정하고 운수통신산업의 시계열 마크업을 추정하였다. 또한 자기회귀 시차모형을 이용하여 마크업의 생산요소가격 탄력성을 추정하고 마크업의 결정요소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마크업의 임금탄력도는 -0.07, 수입가격 탄력도는 -0.45 그리고 이자율탄력도는 -0.13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운수통신산업의 규제정책에 있어서 수입가격과 이자율이 고려되어야 할 주요 변수임을 밝히고 있다.

대중교통시설과 근린시설의 접근도에 따른 교통이용행태 및 교통비용 (Travel Demand and Transportation Cost of Household According to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 and to Service Facilities)

  • 김성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5-74
    • /
    • 2006
  • 승용차이용이 많이 유발될 수밖에 없는 지역으로의 주거이동은 쉽게 간과되는 가구의 교통비 지출에도 원인이 있다. 가구의 자동차수요를 적게 일으키고 교통비를 절감시키는 주거입지와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주거지역의 공급시설수준에 따른 가구의 교통수용행태를 분석하고 이러한 자료를 기반으로 실제에 가까운 가구의 교통비용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중교통시설을 비롯한 근린시설들에 대한 접근도가 가구의 교통이용행태와 더불어 교통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지역은 광역 함부르크 시이고 1,640가구들을 통행행태에 대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개인의 대중교통이용과 교통거리는 대중교통 공급시설만으로는 큰 영향을 받지 못하고 근린시설공급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이 분석결과에서 나타났다. 또한 대중교통시설 및 근린시설이 부족한 지역일수록 여기에 있는 가구들의 승용차 보유수와 교통거리가 증가되었으며 이에 따라 결국 가구들의 교통비용이 늘어났다. 가구그룹들에서 교통비의 최고치와 최저치 사이에 가구당 월 약 200유로 차이가 났다. 가구가 쉽게 감지하기 어려운 주거입지별 평균 교통비용이 가시화되어 가구들에게 홍보된다면 가구의 주거이동행태를 교통수요가 적은 지역으로 유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농촌 복지·문화 서비스 및 인프라 진단체계 개발 (Development of Diagnosis System about Services and Infrastructure for Rural Welfare and Culture)

  • 김수진;배승종;김대식;임상봉
    • 농촌계획
    • /
    • 제25권1호
    • /
    • pp.51-65
    • /
    • 2019
  • This study developed diagnostic system to understand the level of welfare cultural service and infrastructure in rural areas. The applicability was reviewed through the Delphi survey and the sample survey of 60 villages. The diagnostic indicators consist of three areas: the demand area, supply area, and delivery area. The demand area consists of 8 indicators, 25 indicators for welfare services and infrastructure (healthcare, social welfare) and 32 indicators for cultural services and infrastructure (culture, education, leisure sports). The service delivery area was divided into service supply area access and traffic accessibility (public transport use status and rural transport model status) by each indicator. A diagnostic system was applied to 60 villages. Services and infrastructure for rural welfare and culture were supplied more in the Si area than Gun area. The delivery area was easier to access the Gun area than Si area. In the case of traffic access, public transportation was more frequently used in the Si area than Gun area, and the rural transportation model was found to have a relatively large amount in the Gun area compared to Si area. The diagnosis system about services and infrastructure for rural welfare and culture will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establishment and decision making of regional development policy taking into account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in the future.

대도시권 버스개편추세에 따른 통근전철의 대응 전략 (An improvement strategy of metropolitan commuter railways according to the reformation of bus system on a metropolitan area)

  • 한우진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01-1606
    • /
    • 2004
  • Nowadays, the bus system of a metropolitan area is improving very fast. According to the bus, commuter railways increase their competitive power. For this, trains get the mobility increasing, effective transferring system and unified information service. For the mobility increasing, commuting railway must be faster by flexible train diagram and facilities improvement. And finally, optimal commuter train, 'Liner' is needful. And for effective transferring system, it is necessary that railway station and transferring center of a city be merged. And it is needful that direct management bus by railway company and unification fare system on metropolitan region. Next, for information service system improving, the commuting railway station must be regional transportation hub at first. And it is needful that unified line map of trunk line transportation systems and regionally collective transportation system information book. Therefore, metropolitan commuting railways compete with trunk line bus and cooperate with feeder line bus, and can make optimal metropolitan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 PDF